중국 간펑리튬, 신장지구에 광물사업 추진… 업계 파장 예상
O BMW, 테슬라 주요 전기차 업체에 리튬을 공급하는 중국 간펑리튬(Ganfeng Lithium Co)이 서방 정부 및 국제 인권 단체들로부터 위구르족 등 소수민족 강제노동 등 인권 침해 의혹을 받고 있는 신장지구에서 새로운 배터리 원료 수급 사업을 타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전기차 공급망과 중국 인권침해의 상징인 신장지구 간 연관성이 더욱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 간펑리튬은 국가지원 업체인 ‘신장지질 및 광물투자사’와 자회사 형태로 손을 잡고 신장지구에서 리튬, 니켈 등 중요 광물자원 탐사 및 개발 합작 사업을 추진 중으로, 올해 초 회장이 직접 신장지구를 방문해, 현지 지방 정부 당국자들과 동 사업 계획을 논의한 바 있음.
- 전기차 제조업체들은 이미 원료 광물 채굴과 관련한 열악한 노동 여건과 환경 파괴 등으로 지탄을 받고 있는 상황으로, 간펑리튬의 신장지구 광물 탐사 사업 추진으로 신장지구와의 연관성이 높아짐에 따라, 전기차공급망에 대한 투자자들과 소비자들의 검증도 더욱 엄격해질 것으로 예상됨.
- 동 사업과 관련하여, 간펑리튬 측은 성명을 통해 “환경보호, 사회적책임 및 기업 지배구조의 중요성”을 최우선시하고 있다고 밝히고, “신장지구 내 자원 탐사는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개발까지 이어질지는 현재로선 불확실하다”고 설명하면서, 한 지역 내 과잉 채굴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탐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전략을 실행 중이라고 강조했음.
- 동 사업과 관련하여 테슬라 측은 공식 논평을 거부했고, BMW 측은 성명을 통해 “당사는 간펑으로부터 호주산 리튬을 공급받고 있으며, 신장지구 탐사 사업에 대해서는 통보받은 바 없다”고 밝혔음.
- 지난 6월, 신장지구산 제품이나 원료는 강제노동 생산품으로 전제되어 원칙적으로 수입이 금지되는 ‘위구르족강제노동방지법’ 시행된 이후, 신장지구 관련 공급망은 여러 산업군에서 골칫거리로 전락한 상황으로, 이미 일부 태양광 제품들은 원료 출처 문제로 수입이 중단된 실정임.
- 이러한 상황에서 간펑리튬의 신장지구 광물탐사 추진으로 인해,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테슬라 전기차를 둘러싼 인권침해 연루 의혹은 더욱 더 짙어지게 되고, 중국 내 생산 기지에서 유럽 및 아시아 수출 물량을 담당하는 테슬라의 현 사업전략에도 적잖은 타격이 가해질 것임.
- 테슬라는 지난 5월 보고서에서 간펑 등 4개 리튬 공급업체 등 총 12곳의 채광 및 제련 회사와 직접 공급 계약을 맺고 있다고 언급하고, 이들 공급업체에 대한 실사 결과 아동 노동이나 강제 노동 혹은 비인간적인 처우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고 강조하면서, 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합리적인 기간 내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에는 해당 업체와 계약을 중지할 것이라고 밝혔음.
- 간펑리튬의 신장지구 광물 탐사 추진과 관련해, 강제노동 관련 컨설팅 업체 ‘호라이즌 어드바이저리’의 관계자는 신장지구 내 전기차 산업 집중도가 높아질수록 중국에서 생산되는 배터리가 미국 내 인권 관련 법규 및 국제표준에 저촉될 가능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음.
- 이러한 상황에서 관련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에 빠져 있음. 인권단체들은 신장지구와의 완전한 단절을 촉구하고 있으나, 중국 정부의 눈치를 봐야 하는 기업들로서는 간단한 문제가 아님.
- 물론 이론상으로는 간펑리튬과 관계를 지속하면서 신장지구산 원료는 배제하는 방법을 강구하면 되겠지만, 채굴, 제련, 부품 제조, 조립 등이 여러 지역에서 분산돼 이뤄지는 등 극도로 복잡한 전기차 공급망의 특성상, 산지별 원료 구분이 말처럼 쉽지 않음.
- 이에 따라, 전기차 관련 기업들은 배터리 원료 금속 채굴과 관련하여 “환경 및 인권 관행에서 비롯되는 평판, 규제 및 법적 측면에서 잠재적인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SOC 인베스트먼트 그룹’ 관계자는 지적했음.
출처: 블룸버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