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발해의 발전과 변화 |
◈학습 목표◈ ◆발해의 발전 과정에서 해동성국을 불린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발해의 독자적인 통치 제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1)해동성국으로 불리다
① 발해의 고구려 계승의식
ㄱ.일본에 보낸 외교문서 : 나라 이름을 '고려', 왕을 '고려 국왕'으로 표현
ㄴ. 고구려 계승의식이 강해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과 신라와도 적대관계
돌궐, 일본과는 친선
당, 신라, 흑수말갈▶ ▶▶◀◀◀발해, 돌궐, 일본 |
② 발해의 발전
ㄱ. 무왕 : 활발한 정복활동, 쑹화강과 헤이룽강 유역까지 영토 확장, 연호 사용
장문휴 장군, 당의 덩저우 공격
ㄴ. 문왕 : 당과 친선관계, 당의 제도 수용 (3성6부제, 주자감 설치), 연호 사용, 황상 호칭
ㄷ. 전성기 : 9세기 전반 선왕 때. 당 문물 수용, 유학생 파견, 지방제도 정비
고구려 옛땅 대부분 회복 →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불림
ㄹ.영역 : 북쪽 - 흑룡강, 동쪽 - 연해주, 서쪽 - 요동, 남쪽 - 영흥지방
③멸망 : 9세기 후반부터 귀족 간의 권력 다툼으로 국력 쇠퇴
거란족에게 멸망 (926) --> 지배층은 고려에 귀화
2)통치체제를 정비하다
① 문왕 때의 개혁: 수도를 상경 용천부로 천도, 제도 정비, 왕을 황상, 독자적인 연호 사용
⇒ 당과 대등한 국가 임을 나타냄
② 중앙 정치 제도: 당제도 모방, 운영은 독자적
ㄱ. 왕 밑에 3성 6부제 : 3성은 정당성을 중심으로 운영, 정당성이 6부를 관할
6부의 명칭은 유교 덕목을 사용
정당성 아래 좌사정이 충인의를 통솔
우사정이 지예신을 통솔
ㄴ.중정대: 감찰(= 고려 어사대)ㄷ.문적원: 책과 문서를 관리하고, 외교 문서를 작성하는 기관 (=고려 보문각)
ㄹ.주자감: 국립대학 (=고려 국자감)
③ 지방행정구역
ㄱ. 5경15부 62주 : 상경을 중심으로 5도의 교통망 연결
ㄴ. 촌락은 토착 사회의 지배자인 수령이 다스림←고구려 유민과 말갈족간의 조화를 위함
④군사제도 : 10위(왕궁과 수도 방어), 지방 군사 요충지에도 군대 주둔
|
|
|
|
|
동아 교과서 58쪽 |
|
|
|
1. 다음 중 발해의 5경에 들어 가지 않는 것은?
|
2. 일제 강점기 발해의 유적을 발굴하였던 민족 사학자는 누구일까?
|
|
러시아 니꼴라예프까에 남아 있는 발해의 성터 유적
러시아 니꼴라예프까성에 남아 있는 철벽같은 발해의옹성
니콜라예프카 성터에서 발굴된 발해시대 청동부절(靑銅符節. 길이 5.6㎝). 원래는 두 개가 짝을 이뤄 서로 합하면 옆면에 '합동(合同)'이라는 글자가 완성되는 명령서의 일종이었다. 뒷면에 '좌효위장군(左驍衛將軍) 섭리계'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
상경의 궁궐 터 전경 상경 궁궐 정문터 상경 궁궐 복원도 북한에서 제작한 자료 |
중국 헤이루장 성에서 발굴된 발해의 벼루이다. 복두라는 모자를 쓰고 약간 날카롭게 생긴 발해의 관리 모습이 새겨져 있어 관심을 끈다. |
동아 교과서가 정리한 연표
♪♬오늘 발표는 누가 할까?~~♪♬
1. ♪♬5번 북경입니다.♪♬
2. ♪♬3번 신채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