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남하오서당
 
 
 
카페 게시글
学汉语 스크랩 중국어 발음과 성조
남하오 추천 0 조회 121 12.09.05 22:0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발음과 성조


1. 발음


   ⑴ 중국어의 음운 : 성모와 운모

      중국어의 음은 包 ba?, 后 hou, 得 de 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들 가운데 ‘b, h, d’등 자음을 성모, ‘ao, ou, e’ 등 모음을 운모라고 한다.


   ⑵ 성모와 그 발음

      중국어에는 모두 24개의 성모가 있으며, 이것을 한어 병음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으며 알파벳의 순서와 발음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① 발음 기호에 의한 분류

       

   b

p

m

f

(v)

d

t

n

   l

g

k

(ng)

h

j

q

(gn)

   x

zh

ch

sh

r

z

c

s

      ② 발음 체계에 의한 분류

         ◇ 쌍순음 (상하의 입술에 의한 음)

            → b, p, m

         ◇ 순치음 (앞쪽 윗니와 아랫입술에 의한 음)

            → f, (v)

         ◇ 설첨음 (혀끝으로 내는 음)

            → d, t, n, l

        ◇ 설근음 (혀뿌리와 경구개에 의한 음)

            → g, k, (ng), h

         ◇ 설면음 (혀 앞쪽과 경구개의 의한 음)

            → j, q, (gn), x

         ◇ 권설음 (말아 올린 혀끝과 경구개에 의한 음) → zh, ch, sh, r

         ◇ 설치음 (혀끝과 앞니에 의한 음)

            → z, c, s


   ⑶ 운모의 종류

      운모가 모두 38개이며, 이것을 한어 병음식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또한 이들의 운모는 단독 또는 성모와 결합되어 중국어의 음절을 이룬다.

      ① 단운모 : i(yi), u(wu), u, ?(yu), a, o, e, e

         → (7종)

      ② 복운모 : ai, ei, ao, ou

         → (4종)

      ③ 부성운모 : an, en, ang, eng

         → (4종)

      ④ 성화운모 : er

         → (1종)

      ⑤ 결합운모(i류) : ia(ya), io(yo), ie(ye), iai(yai), iao(yao), iu(you), ian(yan), in(yin), iang(yang), ing(ying)

         → (10종)

      ⑥ 결합음모(u류) : ua(wa), uo(wo), uai(wai), ui(wei), uan(wan), un(wen), uang(wang), ong(weng)

         → (8종)

      ⑦ 결합음모(?류) : ue??e(yue), uan??an(yuan), un??n(yun), iong(yong)

         → (4종)


2. 발음 요령


   ⑴ 성모의 발음

      ① 쌍순음 (?唇音) : b, p, m

         ◇ b : 두 입술을 부드럽게 다물었다가 갑자기 떼면서 공기가 두 입술 사이로 터져 나가게 하며, 성대는 울리지 않는다.

         ◇ p : 발음 부위는 ‘b’와 같으나, 공기를 순간적으로 분산 파열시켜 내보낸다.

         ◇ m : 두 입술을 다물고 공기를 콧속으로 빠져  나가게 하며, 성대를 울린다.

      ② 순치음 (唇?音) : f, (v)

         ◇ f : 윗니를 아랫입술에 부드럽게 맞댄 다음, 공기를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로 마찰시켜 내되, 성대를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v’는 ‘f’와 같이 발음하며, 비음을 조금 섞여 내는 유성음이다.

      ③ 설첨음 (舌尖音) : d, t, n, l

         ◇ d : 는 혀끝을 윗잇몸에 대었다가 입김이 약하게 내며 발음하며, 무성음이다.

         ◇ t : 발음 부위는 ‘d’와 같으나, 공기를  파열시켜야 하며, 성대는 울리지 않는다.

         ◇ n : 혀끝을 윗잇몸에 대었다가, 공기를 콧속을 통해 내보내며, 유성음이다.

         ◇ l : 혀끝을 윗잇몸에 대었다가, 공기를 혀 양쪽으로 내며, 성대를 울린다.

         [ 참고 ]

         ?자음 ‘b, p, m, f’ 뒤에 모음 ‘o’가 올 경우, 실제적인 음은 ‘bwo, pwo, mwo, fwo’ 이다. 특히 중간에 과도적인 음 ‘w’가 있다는 점에 주의하여 발음한다.

      ④ 설근음 (舌根音) : g, k, (ng), h

         ◇ g : 혀뿌리와 연구개가 닿을락말락하게 하여, 입김을 약하게 내는 소리

         ◇ k : 혀뿌리와 연구개가 닿을락말락하며, 입김이 강하게 내는 소리다.

         ◇ ng : 소리가 콧구멍으로 나오고, 그 음이 ‘m’과 비슷하다.

         ◇ h : 혀뿌리와 연구개가 닿을락말락하여 나는 마찰음이다. 이 ‘h’소리는 우리의 “ㅎ” 소리와는 같지 않음에 주의한다.  우리말의 “ㅎ"는 목구멍소리이며, 혀뿌리를 긴장시키지 않고, 목구멍에서만 내는 소리이나, 한어에서 ‘h’ 발음은 혀뿌리를 위로 올리며 입김을 배로부터 끌어내듯 발음한다. 그 과정이 ‘k’ 와 비슷하다.

      ⑤ 설면음 (舌面音) : j, q, (gn), x

         ◇ j : 설면의 앞 부분을 경구개에 붙이고 혀끝을 아랫니 안쪽에 부드럽게 접근시키면서 공기를 설면의 앞 부분과 경구개 사이에서 마찰시켜 나가야 한다. 성대는 울리지 않는다.

         ◇ q : 발음 부위는 ‘j’와 같으나 공기를 좀더 파열시켜 내보낸다.

         ◇ x : 설면의 앞 부분을 경구개 가까이 접근시켜, 공기를 설면의 앞부분과 경구개 사이로 마찰시켜 내보낸다. 성대는 울리지 않는다.

         [ 참고 ]

         ?자음 ‘j, q ,x’ 뒤에 모음 ‘u’ 가 올 경우에 표기는 ‘ju, qu, xu’로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⑥ 권설음 (卷舌音) : zh, ch, sh, r

         ◇ zh : 혀끝을 말아 올려 경구개에 붙였다가 순식간에 떼며 내는 소리. 이때 입김을 약하게 낸다. 무성음

         ◇ ch : 혀끝을 말아 올려 경구개에 닿을락말락하여 내는 소리. 이때 입김을 강하게 낸다.

         ◇ sh : 혀끝을 말아 올려 혀끝이 뒤쪽 잇몸에 닿을락말락하여 나는 소리며, 무성음이다.

         ◇ r : 혀끝이 위로 당겨 올려 경구개에 닿을락말락하여 나는 소리. ‘sh’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음되지만 유성음이다.

      ⑦ 설치음 (舌?音) : z, c, s

         ◇ z : 혀끝을 윗니 안쪽에 가볍게 대었다 순간적으로 떼며, 그 사이로 공기를 마찰시켜 내보낸다. 무성음이다.

         ◇ c : 발음 부위는 ‘z’와 같으나, 공기를 파열시켜 낸다.

         ◇ s : 혀끝을 아랫니 안쪽에 가만히 대고 공기를 설면과 윗니 안쪽 틈새로 마찰시켜 내며, 무성음이다.

      ⑧ 우리말로 표기할 수 없는 음

         우리 글로써 대부분의 한어의 음을 거의 완전히 옮겨 표기할 수 있지만, 그 중 비슷하게는 표시할 수 있어도 정확히 표기할 수 없는 음이 몇 가지 있다.

         ◇ 순치음 : f(v)

         ◇ 권설음 : zh, ch, sh, r

         ◇ 설치음 : z, c

         [ 참고 ]

         ?자음 ‘z, c, s’ 이나, ‘zh, ch, sh, r’ 등의 자음 뒤에 모음 ‘i’ 가 올 때는 ‘z, c, s, zh, ch, sh, r’등의 연속음으로 발음하며, 단독으로 발음되지 않는다. ‘으’소리와 비슷하다.


   ⑵ 운모의 발음

      ① 단운모

         ◇ i : 혀의 앞쪽을 올려서 경구개에 가까이 한다. 턱을 위로 올려 입을 좁히고, 입김은 혀의 앞쪽과 경구개 사이로 흘려내며 마찰시키지 않는다. 우리말의 ‘ㅣ’와 유사한 음이다.

         ◇ u : 혀뿌리가 연구개와 가깝도록 올리며, 동시에 턱을 올려 두 입술을 오므린다. 입김은 혀뿌리와 연구개 사이로 자유로이 흘러내고 조금도 막지 않는다. 우리말의 ‘ㅜ’ 발음과 유사하나 다소 차이가 있다.

         ◇ ? : 입안의 움직임은 ‘i’와 같이 하고, 입술을 동그랗게 한다. 우리말로는 ‘ㅠ’와 ‘ㅣ’를 동시에 내는 것과 같다.

         ◇ a : 혀뿌리를 내리고, 턱을 크게 벌린다. 우리말의 ‘ㅏ’보다는 더 뒤에서 내는 소리다.

         ◇ o : 혀뿌리를 조금 올리지만, 연구개와의 거리는 멀리한다. 우리말의 ‘ㅗ’와 ‘ㅓ’의 중간음이다.

         ◇ e : 입과 입안의 모양은 ○와 같으나, 입술을 넓직히 발음한다. 우리말의 ‘ㅡ’와 ‘ㅓ’의 중간음이다.

         ◇ e :혀를 조금 올리지만 경구개와의 거리를 둔다. 반쯤 오르는 정도. 턱은 ‘ㅣ’음 때와 같이 좁히지 않고, 입김을 내어 보낸다.  우리말의 ‘ㅔ’와 약간 비슷하다.

      ② 복음모

         위의 단모음들이, 같은 위치에서 빠른 시간에 다른 위치로 옮아가게 되면 복모음이 된다. 중국어에 있어서는 ‘I, u, ?’가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되는 결함 모음 이외에 주음 부호로써 한 글자로 표시되는 복모음은 네 가지이다.

         ◇ ai : 혀를 앞에서 움직이고, 혀의 움직임은 먼저 ‘ㅏ’에서 시작되어, 곧이어 위로 올라 ‘ㅣ’로 향한다.

         ◇ ei : 혀의 움직임이 가운데에서 조금 앞으로 치우친 반승 상태에서 ‘ㅔ’로 시작되어 곧 이어 위로 오르며 ‘ㅣ’로 향한다.

         ◇ ao : 혀의 움직임이 모두 뒤에서 생긴다. 혀의 움직임이 먼저 ‘ㅏ’에서 시작되며, 곧 이어 위로 오르며 ‘ㅗ’로 향한다.

         ◇ ou : 먼저 혀의 움직임이 가운데에서 조금 뒤로 치우친 반승의 상태에서 ‘ㅓ’로 시작되어 곧 이어 뒤로 오르며 ‘ㅗ’로 향한다.

      ③ 부성음모

         자음이 붙은 성모는 ‘an, en, ang, eng’의 넷이다.

      ④ 성화음모

         ◇ er : 성모로 쓰일 때는 순수 모음은 아니다. 혀끝을 약간 위로 말되 경구개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어미로 쓰는 ‘?’의 발음은 단지 앞의 음에 가볍게 붙어 버리고, 음절을 이루지 못하므로, 이 따위는 자음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⑤ 유기음, 무기음

         유기음과 무기음이 차이는 발음 시에 입 밖으로 숨이 나오느냐, 나오지 않느냐 하는 것이다. 

         유기음은 거센 숨소리와 함께 나는 소리로, 숨을 들이마셨다가 그 숨을 순간적으로 ‘탁!’ 터뜨리면서 발음한다. 우리말 자음의 ‘ㅋ, ㅌ, ㅍ, ㅎ’ 발음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목소리보다는 숨소리로 이야기하는 느낌을 받는데, 그것이 바로 유기음이다.

3. 성조


   ⑴ 성조의 뜻

 

      성조란 각 글자의 음마다 지니고 있는 악센트를 일컫는 것으로, 하나의 음절에는 반드시 이 고저 악센트가 있다. 성조의 조형과 조치는 각 지방의 방언에 따라 다르지만, 북경을 중심으로 하는 보통화, 즉 북방 음계를 표준으로 한 현대 중국어는, 네 가지 성조를 가지고 있어 이것을 사성(四?)이라고 한다. ‘제 1 성, 제 2 성, 제 3 성, 제 4 성’이라고 하는 말은 편의상 부르는 이름이고 본래는 ‘음평, 양평, 상성, 거성’이라 하는데, 하나의 예를 들어보자면, “?, 麻, ?, ?”의 발음은 모두 ‘ma’로 우리의 ‘마’로 발음한다.

      ? ?(어머니)     ma    마 →    제 1 성

         麻(삼)         ma    마 ↗    제 2 성

         ?(말)         ma    마 U    제 3 성 

         ?(욕하다)     ma    마 ↘    제 4 성

      ① 제 1 성 : 소리의 가장 높은 곳에서 시작하여 끝까지 평평하게 소리를 지속한다.

      ② 제 2 성 : 중간의 음높이에서 출발하여 가장 높은 곳으로 비스듬히 상승한다.

      ③ 제 3 성 : 조금 낮은 곳에서 가장 낮은 곳으로 내려간 다음 포물선을 그리며 약간 높은 곳까지 다시 상승한다.

      ④ 제 4 성 : 가장 높은 음에서 가장 낮게 급강하한다.


   ⑵ 성조의 개념

      성조(??)는 하는 중국어의 ‘악센트’다. 영어의 악센트는 강조를 위한 “강약 악센트”이나, 중국어에 있어서 성조는 “고저 악센트”로, 같은 발음이라도 성조가 다르면 그 글자의 의미가 같지 않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우리말은 악센트에 관하여 그다지 민감하지 않으나, 중국어의 경우 음절마다 반드시 4종류의 악센트 중 어느 한 가지로 읽어주어야 한다.

      ? ? m?o 는 제 1 성

         毛 m?o 는 제 2 성

         卯 m?o 는 제 3 성

         帽 m?o 는 제 4 성

      위의 예에서 볼 수 있듯, 성조가 다르면 전혀 뜻이 통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현대 중국의 각종 출판물에 사용되는 문자는 약 6,400자 정도면 거의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 이 6,400자를 400 남짓한 상용음으로 발음하게 되면 자연히 동음이의어가 많게 된다. 간단히 계산하여 평균 16자가 뜻은 다르나 음이 같은 셈이 되니, 눈으로 보는 데에는 지장이 없으나 입과 귀를 통한 언어 소통에 있어서는 헤아릴 수 없는 혼란을 일으키리라는 점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다. 이 혼란을 다소나마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위에서 말한 4가지의 같지 않은 억양 즉, 성조를 글자 하나하나에 매긴다. 이렇게 해서 이 혼란은 4분의 1로 줄어지는 셈인데, 결국에 있어 평균 4글자가 음절도 성조도 동일한 것이 되어 이들을 분간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전후 관계, 어휘의 문자 결합 관계 등의 종합적인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중국어에 있어서의 4성의 구별은 언어 소통 상 절대 불가결의 중요한 요소이다. 중국어를 가리켜 4성 멜로디의 연속이라고 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이다.


   ⑶ 경성

      하나의 한자는 반드시 고유의 성조를 가지고 있음은 위에서 말한 바이지만 2개 이상의 한자로 하나의 단어를 이룰 때, 어느 한자나 고유의 성조대로 읽는 경우가 있고, 그 중에 어느 하나가 약하고 짧게 발음되어 고유의 성조가 거의 소멸되다시피 하는 경우의 2 가지가 있다. 이 경우 성조가 거의 소멸된 음절을 경성이라 한다.

      예를 들면, 朋友는 병음 ‘peng’과 ‘y?u’의 2음절로 되어 있으나, 이 때 ‘友 you’ 는 경성으로 하여, 원래의 제3성이 거의 소멸되어 ‘pengyou’ 와 같이 약하고 짧게 발음한다. 경성은 단어에서만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의 경우에도 어미 조사?문말 조사 등은 경성으로 읽는다.


   ⑷ 성조의 변화

      고유의 4성은 언제 어느 때나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수가 있다.

      ① 제 3 성의 변화

         ◇ 제 3 성 + 제 3 성

            → 최초의 제 3 성은 제 2 성으로 변한다.

         ◇ 제 3 성 + 제 2 성, 제 3 성 + 제 4 성

            → 3성은 반3성으로 변화한다.

         3성은 단독으로나 또는 문말?어미 이외는 전부 반3성이 되는 셈이다. 즉 제3성 뒤에 제1성, 제2성, 제4성 및 경성이 오면 앞의 제3성은 “半三?”으로 발음해야 한다. 반3성이라 함은 ‘제3성의 반’이란 뜻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3성의 전반부를 일컫는 것이다.  즉 제3성의 후반 상승부분이 없어져서, 낮게 누른 채 그대로 내뻗어 다음 음절로 직결시키는 억양을 말한다.

         ◇ 제3성 + 제1성

            b?ij?ng     北京    북경

            m?iti?n     每天    매일

            l?osh?      老?    선생님

            j?nzh?ng    ??    긴장하다

 

         ◇ 제3성 + 제2성

            y?y?n      ?言    언어

            l?xing      旅行    여행

            y?uming    有名    유명하다

           ji?jue       解?    해결하다

 

         ◇ 제3성 + 제4성

            z?of?n     早?    아침밥

            b?s?i       比?    시합

            k?oshi      考?    시험

            g?nxie     感?    감사하다

 

         ◇ 제3성 + 경성

            n?inai      ??    할머니

            y?njing     眼睛    

            y?zi         椅子    의자

            z?oshang   早上    아침

 

      ② 연속되는 제 3 성을 읽을 때의 변조(??)

         ◇ 제3성 뒤에 제3성이 올 경우에는 앞의 제3성은 제2성으로 변조시켜 읽어야 한다.

            sh?ubi?o   手表    손목시계

            d?s?o      打?    청소하다

            x?z?o       洗?    목욕하다

            y?f?       ?法    문법

 

         ◇ 제3성이 세 개 연속으로 올 경우

            ?앞의 두 제3성을 모두 제2성으로 변조시켜 준다.

              z?ngt?ngf?    ??府   대통령관저

              zh?nl?ngu?n   展??   전시관

              x?li?nshu?     洗?水   세숫물

              p?om?ch?ng  ???   경마장

 

            ?뒤에 있는 두 개의 제3성 음절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앞의 제3성은 “半三?”으로, 두 번째 제3성은 제2성으로 읽는다.

              h?n y?ngg?n ?勇敢   매우 용감하다

              m?i shu?gu?  ?水果   과일을 사다

              h?n li?oji?     ?了解   잘 이해하다

              xi?o ha?d?o   小海?   작은 섬

 

      ③ 경성의 변화

         경성의 음높이는 앞 음절 성조의 영향을 받아 변한다.

         ◇ 제1성 + 경성

            m?ma      ??    엄마

            t?m?n      他?    그들

            g?ge       哥哥    오빠, 형

            y?fu         衣服    

 

         ◇ 제2성 + 경성

            bizi         鼻子    

           pengyou    朋友    친구

            chengl?     城里    시내

            xuesheng   ?生    학생

 

         ◇ 제3성 + 경성

            w?m?n     我?    우리들

            d?ngle      ?了    이해했다

            h?oba      好?    좋습니다

            x?huan     喜?    좋아하다

 

         ◇ 제4성 + 경성

            b?ba       ??    아빠

            didi         弟弟    남동생

            xiexie      ??    고맙다

            meimei     妹妹    여동생

 

      ④ ‘一’ ‘不’의 변조(??)

         ‘一’는 본래 성조는 제1성이지만 제4성 앞에서는 제2성으로 변하고, 제1성, 제2성, 제3성 앞에서는 제4성으로 된다.

         ◇ 一(y?), 七(q?), 八(b?), 不(bu)의 성조 변화

            ?一 + 제1성 → “一”는 제4성으로 변함

            ?一 + 제2성 → “一”는 제4성으로 변함

            ?一 + 제3성 → “一”는 제4성으로 변함

            ?一 + 제4성 → “一”는 제2성으로 변함

            ?七 + 제4성 → “七”는 제2성으로 변함

            ?八 + 제4성 → “八”는 제2성으로 변함

            ?不 + 제4성 → “不”는 제2성으로 변함

         ◇ 一 + 제4성

            ? yiding   一定    반드시

               yiqie    一切    모든

               yib?n   一半    절반

               yiku?i   一?    함께

         ◇ 一 + 제1성, 제2성, 제3성

            ? yiti?n   一天    하루

               yini?n   一年    일 년

               yiw?n   一碗    한 그릇

         ◇ ‘不’는 원래 제4성이지만 제4성 앞에서는 제2성으로 읽는다.

            ? buy?o   不要    하지 마라

               buguo   不?    하지만

               bubi     不必    ~할 필요 없다

               bucuo   不?    맞다

         ◇ ‘一’나 ‘不’가 중첩된 단어 사이에 쓰일 경우에는 경성으로 읽는다.

            ? t?ngyit?ng ?一?  좀 들어보다

               duyidu  ?一?  좀 읽어보다

               d?ngyid?ng 等一等  잠시 기다리다

               k?nyik?n 看一看  좀 보다

               d?ngbud?ng ?不?  알겠습니까?

               qubuqu  去不去  갑니까?

               h?obuh?o 好不好  좋습니까?

               shibushi 是不是  그렇습니까?

skanskdl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