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일본철도연구회
 
 
 
 
 

카페 통계

 
방문
20250524
97
20250525
109
20250526
124
20250527
116
20250528
149
가입
20250524
1
20250525
0
20250526
1
20250527
0
20250528
0
게시글
20250524
1
20250525
3
20250526
0
20250527
2
20250528
1
댓글
20250524
0
20250525
3
20250526
1
20250527
0
20250528
0
 
카페 게시글
일본철도 ABC 간략하게나마 렌트카 정보를 좀 써보고자 합니다. ( 씨거리님 읽어보시면 될듯 )
Polymer 추천 0 조회 668 11.02.26 11:49 댓글 1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1.02.26 13:14

    첫댓글 Polymer님 감동 그 자체입니다. 이 같은 '평범한 일본 여행자가 하기 힘든' 경험을 일목요연하게 전문성 있게 정리해 주시다니. 그것도 회원님의 질문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적지 않은 시간을 들여 답을 해 주시니 너무 고맙습니다. 사실 이 같은 좋은 정보의 글은 자유게시판에서 그냥 흘러가듯 놓아 두기가 아깝습니다. 그 이유는 언젠가는 일철연 회원분들께서 고도로 극대화된 정밀탐사를 할 경우 렌트카를 이용하면 2인 이상이 더 자유자재로 희귀한 로컬 지역에서도 열차 시간표에 쫓기지 않고 운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님의 정성과 과학도로서의 포텐샬을 생각하면 미래의 정부. 기업이건 과학기술부 수장감으로 적극 추천입니다.

  • 11.02.26 12:27

    나중에 님께서 시간이 나시면 개정증보 하셔서 '일본철도 연구게시판'내의 '일본철도여행 게시판'에 정식으로 자료로 올려 놓는 것도 좋을 것 같고, 시간이 없으시면 여러 회원들이 보강하여 '님께서 만든 기초를 토대로'라고 인용하면서 기반 자료로 올려 놓도록 해 보겠습니다.

  • 작성자 11.02.26 12:43

    감사합니다. 올 여름이 가기전에 몇번 더 렌트카 여행을 할 계획이라 그 이후에 좀 더 자세하게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 11.02.26 20:21

    최근 국내서 렌트한 건 3년전에 제주도에서인데 그때를 생각하며 읽어 보았습니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운전석이 반대이니 처음부터 도심에서 운전해 볼 생각은 없습니다. 1. 깜박이도 반대군요. 2. 대충 이해할 것 같구요. 3. 일본에선 직진 신호가 청신호면 우회전할 수 있다고 알고 있고요. 4. 우리나라와 법이 반대네요. 5. 최고 속도가 엄청 낮게 설정되어 있네요. 6. 고속도로 차선은 비슷한거 같구요. 왕복2차선은 우리나라에 88고속도로 빼곤 거의 없죠. 7. 톨비가 상당히 비싸다고 알고 있습니다. 8. 일본 시내 도로상태보니 않좋더라구요. 히로시마 도심 사진보니 좀 그랬던 거 같습니다. 9. 동감하는 부분입니다.

  • 11.02.26 20:20

    10. 신경쓸 부분인거 같습니다. 11. 레류라가 경유를 뜻하나봐요. 12. 우리나라도 요즘 렌트카는 네비가 거의 기본인거 같더라구요. 13. 이건 직접 경험해 봐야 알거 같아요. 단속이 어느정도 심한 지. 요금은 얼마정도 나오는 지, 혹 단속되면 요금 부과는 어떻게 되는 지 등등...14. 렌트카회사에서 꼼꼼하게 체크 안해주나봐요. 우리나라에선 그림으로 체크하잖아요. 그외에도 기름값은 얼마나 차이나는 지가 궁금합니다. 제반 비용을 생각해서 역시 경차가 나을 거 같습니다. 차폭은 생각치 못한 부분이구요. 여러 사람이 여행가면 RV도 좋겠으나 혼자가면 역시 경차가 좋겠어요. 정성껏써주셔서 여러모로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39^^

  • 작성자 11.02.26 20:47

    단속에 걸리면 요금은 상당히 쎈걸로 알고 있는데, 단속카메라 단속이 아니라 주로 경찰차에 의한 단속 등으로 이루어 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렌트카회사에서 꼼꼼하게는 해줍니다만, 혹시나 해서 말이죠 ( 외국인이니까.. ) 그림에 미리 다 체크해줘서 줍니다. 그냥 확인만 하라고 해보더군요.

    그리고 レギュラ?가 휘발유, 経由(けいゆ)가 경유입니다.

    가격은 http://gogo.gs/ 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여기에다가 환율을 곱하면 되겠죠.

  • 11.02.26 21:23

    레규라 휘발유, 게유 경유는 어디서 본 것 같았습니다. 어쩐지 이상하다 했습니다. 휘발유는 우리나라 보다 약간싼거 같고, 경유는 잘 모르겠네요. 대등소이한 것 같습니다. 신속한 추가 설명 감사드립니다.

  • 11.02.27 22:29

    1. 방향지시등레버와 와이퍼 레버의 위치는 반대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지만..조작은 차이 없습니다. 진행방향으로 볼때 위로 올렸을때 왼쪽 깜빡이가 켜지는 건 만국 공통이 아닐런지....
    3. 우회전용 신호는 있습니다. 삿포로도 중심가 쪽이면 있을듯.... 물론 한가한 지방은 3색등..
    (보다보니.. 방향을 잘못적어서 수정했습니다. =.=a)

  • 11.02.27 22:30

    4. 일본도 마찬가지 입니다. 좌회전시 보행자를 방해하지 않는다면 보행자 신호가 파란불일때도 진행 가능합니다. 단지 일본에서는 파란신호 혹은 빨간신호+좌회전지시등이 없을때는 좌회전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13. OBIS라고 불리우는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20정도가 안전선입니다. 경찰은 기분에 따라서 =.=;;;
    (보다보니.. 방향을 잘못적어서 수정했습니다. =.=a)

  • 작성자 11.02.27 21:44

    댓글 감사드립니다. 참고하겠습니다.

  • 11.02.28 09:31

    저 또한 감사드립니다.

  • 11.04.19 01:50

    한국에서 국제 운전 면허증이라고 하는것은 엄밀히 말하면 운전 허가증입니다.
    영어로 써있는걸 보면 license 라고 안되있고 permit 이라고 되어있죠.
    지정된 기간동안 본국의 운전면허증, 여권, 국제운전면허증(허가증) 세가지를 동시에 소지해야 면허로서의 법적효력이 발생합니다. (국제운전면허를 아예 인정하지 않는 국가도 있지만 인정하는 국가는 모두 동일합니다.)
    이 것이 지켜지지 않았을때 만약 경찰에게 안걸리면 괜찮지만 걸리면 무면허 운전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하시구요.

  • 11.04.19 01:52

    1 의 방향지시등/와이퍼는 일반적으로 방향지시등 스위치가 차량의 바깥쪽으로, 와이퍼가 안쪽으로 설치되지만 일부 수입차종이 본국 편의에 맞춰 좌측 운전석, 우측 운전석 차량에 상관없이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주의하시구요.
    우측 운전석 차량에서 바깥쪽으로 방향지시등이 설치되면 한국과 다르게 올리면 좌측 깜빡이가 켜지는데 이걸 올리거나 내린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스티어링휠의 조작 방향대로 지시등이 켜진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11.04.19 01:54

    즉, 운전석 위치 좌/우에 상관없이 스티어링휠의 좌측에 방향지시등 스위치가 있다면 올리면 우측 깜빡이가 되는거고 스티어링 휠의 우측에 있다면 올리면 좌측 깜빡이가 되는건데 스티어링휠을 돌리면서 작동해보시면 바로 아실 수 있습니다.
    스티어링휠이 돌아가는 방향대로 켜지는겁니다. 단, 처음엔 헷갈릴 수 있으니 꼭 주차장에서 한번 시험 작동을 해보시고 출발하시는게 좋고요.
    개인적으론 좌우측 상관없이 차량의 바깥쪽으로 달린걸 선호합니다. 그래야 기어변속하면서도 방향지시등을 조작할 수 있죠.

  • 11.09.07 14:10

    経由가 아니라 軽油이겠지요? ^^ 발음은 같으니까요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