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문화재 기본정보 | |||||||||
연번 | 종목 | 명칭 | 명칭(한자) | 지역 | 소재지 | 시대명 | 관리자(단체) | 지정일 | 소유자 |
1 |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 종묘제례악 | 宗廟祭禮樂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조선시대 | 종묘제례악보존회 | 1964-12-07 | |
2 |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 양주별산대놀이 | 楊州別山臺놀이 | 경기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 1964-12-07 | ||
3 |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 남사당놀이 | 男寺黨놀이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남사당놀이보존회 | 1964-12-07 | ||
4 | 국가무형문화재 제4호 | 갓일 | 갓일 | 기타 . | 기타 | 1964-12-24 | |||
5 |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 판소리 | 판소리 | 기타 . | 기타 | 조선시대 | 1964-12-24 | ||
6 | 국가무형문화재 제6호 | 통영오광대 | 統營五廣大 | 경남 통영시 | 경상남도 통영시 | 기타 | 통영오광대보존회 | 1964-12-24 | |
7 | 국가무형문화재 제7호 | 고성오광대 | 固城五廣大 | 경남 고성군 | 경상남도 고성군 | 고성오광대보존회 | 1964-12-24 | ||
8 |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 | 강강술래 | 강강술래 | 전남 진도군 | 전라남도 진도군 | 기타 | 강강술래보존회 | 1966-02-15 | |
9 | 국가무형문화재 제9호 | 은산별신제 | 恩山別神祭 | 충남 부여군 | 충청남도 부여군 | 은산별신제보존회 | 1966-02-15 | ||
10 | 국가무형문화재 제10호 | 나전장 | 螺鈿匠 | 기타 . | 기타 | 1966-06-29 | |||
11 | 국가무형문화재
제11-1 | 진주삼천포농악 | 晋州三千浦農樂 | 경남 사천시 | 경상남도 사천시 | 진주삼천포농악보존회 | 1966-06-29 | ||
12 | 국가무형문화재
제11-2 | 평택농악 | 平澤農樂 | 경기 평택시 | 경기도 평택시 | 평택농악보존회 | 1985-12-01 | ||
13 | 국가무형문화재
제11-3 | 이리농악 | 裡里農樂 | 전북 익산시 | 전라북도 익산시 | 이리농악보존회 | 1985-12-01 | ||
14 | 국가무형문화재
제11-4 | 강릉농악 | 江陵農樂 | 강원 강릉시 | 강원도 강릉시 | 강릉농악보존회 | 1985-12-01 | ||
15 | 국가무형문화재
제11-5 | 임실필봉농악 | 任實筆峰農樂 | 전북 임실군 | 전라북도 임실군 | 임실필봉농악보존회 | 1988-08-01 | ||
16 | 국가무형문화재
제11-6 | 구례잔수농악 | 求禮潺水農樂 | 전남 구례군 | 전라남도 구례군 | 구례잔수농악보존회 | 2010-10-21 | ||
17 |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 | 진주검무 | 晋州劍舞 | 경남 진주시 | 경상남도 진주시 | 진주검무보존회 | 1967-01-16 | ||
18 |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 강릉단오제 | 江陵端午祭 | 강원 강릉시 | 강원도 강릉시 | 강릉단오제보존회 | 1967-01-16 | ||
19 | 국가무형문화재 제14호 | 한산모시짜기 | 韓山모시짜기 | 충남 서천군 | 충청남도 서천군 | 1967-01-16 | |||
20 |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 북청사자놀음 | 北靑獅子놀음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북청사자놀음보존회 | 1967-03-31 | ||
21 | 국가무형문화재 제16호 | 거문고산조 | 거문고散調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67-06-16 | |||
22 | 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 | 봉산탈춤 | 鳳山탈춤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봉산탈춤보존회 | 1967-06-16 | ||
23 | 국가무형문화재 제18호 | 동래야류 | 東萊野遊 | 부산 동래구 | 부산 동래구 | 동래야류보존회 | 1967-12-21 | ||
24 |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 선소리산타령 | 선소리山打令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선소리산타령보존회 | 1968-04-18 | ||
25 | 국가무형문화재 제20호 | 대금정악 | 大笒正樂 | 서울 은평구 | 서울 은평구 | 1968-12-21 | |||
26 | 국가무형문화재 제21호 | 승전무 | 勝戰舞 | 경남 통영시 | 경상남도 통영시 | 승전무보존회 | 1968-12-21 | ||
27 | 국가무형문화재 제22호 | 매듭장 | 매듭匠 | 경기 성남시 | 경기도 성남시 | 1968-12-21 | |||
28 |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 가야금산조및병창 | 伽倻琴散調및倂唱 | 기타 . | 기타 | 1968-12-21 | |||
29 | 국가무형문화재 제24호 | 안동차전놀이 | 安東車戰놀이 | 경북 안동시 | 경상북도 안동시 | 안동차전놀이보존회 | 1969-01-07 | ||
30 | 국가무형문화재 제25호 | 영산쇠머리대기 | 靈山쇠머리대기 | 경남 창녕군 | 경상남도 창녕군 | 영산쇠머리대기보존회 | 1969-02-11 | ||
31 | 국가무형문화재 제26호 | 영산줄다리기 | 靈山줄다리기 | 경남 창녕군 | 경상남도 창녕군 | 영산줄다리기보존회 | 1969-02-11 | ||
32 |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 승무 | 僧舞 | 경기 경기전역 | 경기도 | 1969-07-04 | |||
33 | 국가무형문화재 제28호 | 나주의샛골나이 | 羅州의샛골나이 | 전남 나주시 | 전라남도 나주시 | 1969-07-04 | |||
34 |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 | 서도소리 | 潟소리 | 기타 . | 기타 | 1969-09-27 | |||
35 |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 가곡 | 歌曲 | 기타 . | 기타 | 1969-11-10 | |||
36 | 국가무형문화재 제31호 | 낙죽장 | 烙竹匠 | 전남 보성군 | 전라남도 보성군 | 1969-11-29 | |||
37 | 국가무형문화재 제32호 | 곡성의돌실나이 | 谷城의돌실나이 | 전남 곡성군 | 전라남도 곡성군 | 1970-07-22 | |||
38 | 국가무형문화재 제33호 | 광주칠석고싸움놀이 | 光州漆石고싸움놀이 | 광주 남구 | 광주광역시 남구 | 광주칠석고싸움놀이보존회 | 1970-07-22 | ||
39 | 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 | 강령탈춤 | 康翎탈춤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강령탈춤보존회 | 1970-07-22 | ||
40 |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 조각장 | 彫刻匠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70-07-22 | |||
41 |
| 판소리沈淸歌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70-07-22 1973/11/5해제 | ||||
42 |
| 靴匠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70-07-22 1982/2/5해제 | ||||
43 |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 조선왕조궁중음식 | 朝鮮王朝宮中飮食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70-12-30 | |||
44 |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 | 처용무 | 處容舞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처용무보존회 | 1971-01-08 | ||
45 | 국가무형문화재 제40호 | 학연화대합설무 | 鶴蓮花臺合設舞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학연화대합설무보존회 | 1971-01-08 | ||
46 | 국가무형문화재 제41호 | 가사 | 歌詞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71-01-08 | |||
47 | 국가무형문화재 제42호 | 악기장 | 樂器匠 | 기타 . | 기타 | 1971-02-24 | |||
48 | 국가무형문화재 제43호 | 수영야류 | 水營野遊 | 부산 수영구 | 부산 수영구 | 수영야류보존회 | 1971-02-24 | ||
49 | 국가무형문화재 제44호 | 경산자인단오제 | 慶山慈仁端午祭 | 경북 경산시 | 경상북도 경산시 | 경산자인단오제 보존회 | 1971-03-16 | ||
50 |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 대금산조 | 大笒散調 | 기타 . | 기타 | 1971-03-16 | |||
51 | 국가무형문화재 제46호 | 피리정악및대취타 | 피리正樂및大吹打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피리정악및대취타보존회 | 1971-06-10 | ||
52 | 국가무형문화재 제47호 | 궁시장 | 弓矢匠 | 기타 . | 기타 | 1971-09-13 | |||
53 |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 | 단청장 | 丹靑匠 | 기타 . | 기타 | 1972-08-01 | |||
54 | 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 | 송파산대놀이 | 松坡山臺놀이 | 서울 송파구 | 서울 송파구 | 송파산대놀이보존회 | 1973-11-11 | ||
55 |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 | 영산재 | 靈山齋 | 서울 서대문구 | 서울 서대문구 | 영산재보존회 | 1973-11-05 | ||
56 | 국가무형문화재 제51호 | 남도들노래 | 南道들노래 | 전남 진도군 | 전라남도 진도군 | 남도들노래보존회 | 1973-11-05 | ||
57 |
(보유자 부재) | 시나위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73-11-05 1975/5/3해제 | ||||
58 | 국가무형문화재 제53호 | 채상장 | 彩箱匠 | 전남 담양군 | 전라남도 담양군 | 1975-01-29 | |||
59 |
(제10호 통합) | 끊음질 | 기타 . | 기타 | 1975-01-29 1995/3/16해제 | ||||
60 |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 소목장 | 小木匠 | 기타 . | 기타 | 1975-01-29 | |||
61 | 국가무형문화재 제56호 | 종묘제례 | 宗廟祭禮 | 서울 종로구 | 서울 종로구 | 종묘제례보존회 | 1975-05-03 | ||
62 |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 경기민요 | 京畿民謠 | 경기 경기전역 | 경기도 | 1975-07-12 | |||
63 |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 줄타기 | 줄타기 | 경기 과천시 | 경기도 과천시 | 1976-06-30 | |||
64 |
(제5호 통합) | 판소리鼓法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78-02-02 1991/11/1해제 | ||||
65 | 국가무형문화재 제60호 | 장도장 | 粧刀匠 | 전남 전남전역 | 전라남도 | 1978-02-23 | |||
66 | 국가무형문화재 제61호 | 은율탈춤 | 殷栗탈춤 | 인천 남구 | 인천광역시 남구 | 은율탈춤보존회 | 1978-02-23 | ||
67 | 국가무형문화재 제62호 | 좌수영어방놀이 | 左水營漁坊놀이 | 부산 수영구 | 부산 수영구 | 좌수영어방놀이보존회 | 1978-05-09 | ||
68 |
(제42호 통합) | 북메우기 | 기타 . | 기타 | 1980-09-01 1995/3/16해제 | ||||
69 | 국가무형문화재 제64호 | 두석장 | 豆錫匠 | 기타 . | 기타 | 1980-11-17 | |||
70 | 국가무형문화재 제65호 | 백동연죽장 | 白銅煙竹匠 | 전북 남원시 | 전라북도 남원시 | 1980-11-17 | |||
71 | 국가무형문화재 제66호 | 망건장 | 網巾匠 | 제주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1980-11-17 | |||
72 | 국가무형문화재 제67호 | 탕건장 | 宕巾匠 | 제주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1980-11-17 | |||
73 | 국가무형문화재 제68호 | 밀양백중놀이 | 密陽百中놀이 | 경남 밀양시 | 경상남도 밀양시 | 밀양백중놀이보존회 | 1980-11-17 | ||
74 | 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 | 하회별신굿탈놀이 | 河回別神굿탈놀이 | 경북 안동시 | 경상북도 안동시 |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 1980-11-17 | ||
75 | 국가무형문화재 제70호 | 양주소놀이굿 | 楊州소놀이굿 | 경기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 양주소놀이굿보존회 | 1980-11-17 | ||
76 |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 | 제주칠머리당영등굿 | 濟州칠머리당영등굿 | 제주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제주칠머리당영등굿 보존회 | 1980-11-17 | ||
77 | 국가무형문화재 제72호 | 진도씻김굿 | 珍島씻김굿 | 전남 진도군 | 전라남도 진도군 | 진도씻김굿 보존회 | 1980-11-17 | ||
78 | 국가무형문화재 제73호 | 가산오광대 | 駕山五廣大 | 경남 사천시 | 경상남도 사천시 | 가산오광대보존회 | 1980-11-17 | ||
79 | 국가무형문화재 제74호 | 대목장 | 大木匠 | 기타 . | 기타 | 1982-06-01 | |||
80 | 국가무형문화재 제75호 | 기지시줄다리기 | 機池市줄다리기 | 충남 당진시 | 충청남도 당진시 | 기지시줄다리기보존회 | 1982-06-01 | ||
81 | 국가무형문화재 제76호 | 택견 | 택견 | 충북 충주시 | 충청북도 충주시 | 사단법인 택견보존회 | 1983-06-01 | ||
82 | 국가무형문화재 제77호 | 유기장 | 鍮器匠 | 기타 . | 기타 | 1983-06-01 | |||
83 | 국가무형문화재 제78호 | 입사장 | 入絲匠 | 서울 강남구 | 서울 강남구 | 1983-06-01 | |||
84 |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 발탈 | 발탈 | 기타 . | 기타 | 1983-06-01 | |||
85 | 국가무형문화재 제80호 | 자수장 | 刺繡匠 | 부산 부산전역 | 1984-10-15 | ||||
86 | 국가무형문화재 제81호 | 진도다시래기 | 珍島다시래기 | 전남 진도군 | 전라남도 진도군 | 진도다시래기보존회 | 1985-02-01 | ||
87 | 국가무형문화재
제82-1 | 동해안별신굿 | 東海岸別神굿 | 부산 기장군 | 부산 기장군 | 동해안별신굿보존회 | 1985-02-01 | ||
88 | 국가무형문화재
제82-2 | 서해안배연신굿및대동굿 | 西海岸배연신굿및大同굿 | 인천 인천전역 | 인천광역시 | 서해안배연신굿및대동굿보존회 | 1985-02-01 | ||
89 | 국가무형문화재
제82-3 | 위도띠뱃놀이 | 蝟島띠뱃놀이 | 전북 부안군 | 전라북도 부안군 | 위도띠뱃놀이보존회 | 1985-02-01 | ||
90 | 국가무형문화재
제82-4 | 남해안별신굿 | 南海岸別神굿 | 경남 통영시 | 경상남도 통영시 | 남해안별신굿보존회 | 1987-07-01 | ||
91 | 국가무형문화재
제83-1 | 구례향제줄풍류 | 求禮鄕制줄風流 | 전남 구례군 | 전라남도 구례군 | 구례향제줄풍류보존회 | 1985-09-01 | ||
92 | 국가무형문화재
제83-2 | 이리향제줄풍류 | 裡里鄕制줄風流 | 전북 익산시 | 전라북도 익산시 | 이리향제줄풍류보존회 | 1985-09-01 | ||
93 | 국가무형문화재
제84-1 | 고성농요 | 固城農謠 | 경남 고성군 | 경상남도 고성군 | 고성농요보존회 | 1985-12-01 | ||
94 | 국가무형문화재
제84-2 | 예천통명농요 | 醴泉通明農謠 | 경북 예천군 | 경상북도 예천군 | 예천통명농요보존회 | 1985-12-01 | ||
95 | 국가무형문화재 제85호 | 석전대제 | 釋奠大祭 | 서울 종로구 | 서울 종로구 | 석전대제 보존회 | 1986-11-01 | ||
96 | 국가무형문화재
제86-1 | 문배주 | 문배酒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86-11-01 | |||
97 | 국가무형문화재
제86-2 | 면천두견주 | 沔川杜鵑酒 | 충남 당진시 | 충청남도 당진시 | 면천두견주 보존회 | 1986-11-01 | ||
98 | 국가무형문화재
제86-3 | 경주교동법주 | 慶州校洞法酒 | 경북 경주시 | 경상북도 경주시 | 1986-11-01 | |||
99 | 국가무형문화재 제87호 | 명주짜기 | 明紬짜기 | 경북 성주군 | 경상북도 성주군 | 1988-04-01 | |||
100 | 국가무형문화재 제88호 | 바디장 | 바디匠 | 기타 . | 기타 | 1988-08-01 | |||
101 |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 침선장 | 針線匠 | 서울 강동구 | 서울 강동구 | 1988-08-01 | |||
102 | 국가무형문화재 제90호 | 황해도평산소놀음굿 | 黃海道平山소놀음굿 | 인천 인천전역 | 인천광역시 | 황해도평산소놀음굿 보존회 | 1988-08-01 | ||
103 | 국가무형문화재 제91호 | 제와장 | 製瓦匠 | 전남 장흥군 | 전라남도 장흥군 | 1988-08-01 | |||
104 |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 태평무 | 太平舞 | 기타 . | 기타 | 1988-12-01 | |||
105 | 국가무형문화재 제93호 | 전통장 | 箭筒匠 | 경북 경주시 | 경상북도 경주시 | 1989-06-15 | |||
106 |
(보유자 부재) | 벼루匠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1989-12-01 1990/7/20해제 | ||||
107 | 국가무형문화재 제95호 | 제주민요 | 濟州民謠 | 제주 제주도 | 제주특별자치도 | 1989-12-01 | |||
108 | 국가무형문화재 제96호 | 옹기장 | 甕器匠 | 기타 . | 기타 | 1990-05-08 | |||
109 | 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 | 살풀이춤 | 살풀이춤 | 기타 . | 기타 | 1990-10-10 | |||
110 | 국가무형문화재 제98호 | 경기도도당굿 | 京畿道都堂굿 | 경기 경기전역 | 경기도 | 경기도도당굿보존회 | 1990-10-10 | ||
111 | 국가무형문화재 제99호 | 소반장 | 小盤匠 | 기타 . | 기타 | 1992-11-10 | |||
112 | 국가무형문화재 제100호 | 옥장 | 玉匠 | 전남 목포시 | 전라남도 목포시 | 1996-02-01 | |||
113 | 국가무형문화재 제101호 | 금속활자장 | 金屬活字匠 | 충북 괴산군 | 충청북도 괴산군 | 1996-02-01 | |||
114 | 국가무형문화재 제102호 | 배첩장 | 褙貼匠 | 기타 . | 기타 | 1996-03-11 | |||
115 | 국가무형문화재 제103호 | 완초장 | 莞草匠 | 인천 강화군 | 인천광역시 강화군 | 1996-05-01 | |||
116 | 국가무형문화재 제104호 | 서울새남굿 | 서울새남굿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서울새남굿보존회 | 1996-05-01 | ||
117 | 국가무형문화재 제105호 | 사기장 | 沙器匠 | 경북 문경시 | 경상북도 문경시 | 1996-07-01 | |||
118 | 국가무형문화재 제106호 | 각자장 | 刻字匠 | 서울 서초구 | 서울 서초구 | 1996-11-01 | |||
119 | 국가무형문화재 제107호 | 누비장 | 縷緋匠 | 경북 경주시 | 경상북도 경주시 | 1996-12-10 | |||
120 | 국가무형문화재 제108호 | 목조각장 | 木彫刻匠 | 기타 . | 기타 | 1996-12-31 | |||
121 | 국가무형문화재 제109호 | 화각장 | 華角匠 | 인천 남동구 | 인천광역시 남동구 | 1996-12-31 | |||
122 | 국가무형문화재 제110호 | 윤도장 | 輪圖匠 | 전북 고창군 | 전라북도 고창군 | 1996-12-31 | |||
123 |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 | 사직대제 | 社稷大祭 | 서울 종로구 | 서울 종로구 | 조선시대 | 사직대제보존회 | 2000-10-19 | |
124 | 국가무형문화재 제112호 | 주철장 | 鑄鐵匠 | 충북 진천군 | 충청북도 진천군 | 2001-03-12 | |||
125 | 국가무형문화재 제113호 | 칠장 | 漆匠 | 서울 서울전역 | 서울특별시 | 2001-03-12 | |||
126 |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 | 염장 | 簾匠 | 경남 통영시 | 경상남도 통영시 | 2001-06-27 | |||
127 | 국가무형문화재 제115호 | 염색장 | 染色匠 | 전남 나주시 | 전라남도 나주시 | 2001-09-06 | |||
128 | 국가무형문화재 제116호 | 화혜장 | 靴鞋匠 | 서울 송파구 | 2004-02-20 | ||||
129 | 국가무형문화재 제117호 | 한지장 | 韓紙匠 | 전북 전북전역 | 전라북도 | 기타 | 2005-09-23 | ||
130 | 국가무형문화재 제118호 | 불화장 | 佛畵匠 | 경기 고양시 | 경기도 고양시 | 2006-01-10 | |||
131 | 국가무형문화재 제119호 | 금박장 | 金箔匠 | 경기 성남시 | 2006-11-16 | ||||
132 | 국가무형문화재 제120호 | 석장 | 石匠 | 경기 경기전역 | 경기도 | 2007-09-17 | |||
133 | 국가무형문화재 제121호 | 번와장 | 翻瓦匠 | 서울 강북구 | 2008-10-21 | ||||
134 | 국가무형문화재 제122호 | 연등회 | 燃燈會 | 서울 종로구 | 서울 종로구 | 연등회보존위원회 | 2012-04-06 | ||
135 | 국가무형문화재 제123호 | 법성포단오제 | 法聖浦端午祭 | 전남 영광군 | 전라남도 영광군 | (사)법성포단오보존회 | 2012-07-23 | ||
136 | 국가무형문화재 제124호 | 궁중채화 | 宮中綵花 | 경남 양산시 | 2013-01-14 | ||||
137 | 국가무형문화재 제125호 | 삼화사 수륙재 | 三和寺 水陸齋 | 강원 동해시 | 강원도 동해시 | 삼화사 국행수륙대재보존회 | 2013-12-31 | ||
138 | 국가무형문화재 제126호 | 진관사 수륙재 | 津寬寺 水陸齋 | 서울 은평구 | 서울 은평구 | 진관사 국행수륙재보존회 | 2013-12-31 | ||
139 | 국가무형문화재 제127호 | 아랫녘 수륙재 | 아랫녘 水陸齋 | 경남 창원시 | 경상남도 창원시 | 아랫녘 수륙재 보존회 | 2014-03-18 | ||
140 | 국가무형문화재 제128호 | 선자장 | 扇子匠 | 전북 전주시 | 2015-07-08 | ||||
141 | 국가무형문화재 제129호 | 아리랑 | 기타 . | 2015-09-22 | |||||
142 | 국가무형문화재 제130호 | 제다 | 製茶 | 기타 . | 기타 | 2016-07-14 |
*2016년 07월 23일 최종 수정본
첫댓글 문득 제가 궁금해서 찾아 올립니다...
우와 우리의 생각에서 잊어져 가는 전통이 이리 많은가요
너무나 소중한 것들인데.....
오~국향님 최고~^^
이래 많은 줄 몰랐어요
소리공 식구들도 전통을 이어 나가는데 있어 단단히 한몫을 하시고 있습니다.
자랑스러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