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이수(河洛理數) 최종 테스트 하다가 작괘 방법에 있어 의문점을 발견해서 문의 드려봅니다.
하도수와 낙서수를 사주팔자에 부여해서
천수(天數)는 기수(홀수)의 합이 되고
지수(地數)는 우수(짝수)의 합이 되는데
지수 (地數) 에서는 7과 9가 나올 방법이 없으니 7태궁의 이택괘와
9궁에 있는 삼리화괘가 나올 수 없다는 것입니다.
지수(地數)는 짝수의 합입니다. 짝수 + 짝수 = 짝수 이므로..
다음은 지수가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 입니다.
1이 나오는 경우 - 지수의 합이 10 인 경우
2가 나오는 경우 - 지수의 합이 12,20 인 경우
3이 나오는 경우 - 지수의 합이 30인 경우
4가 나오는 경우 - 지수의 합이 4, 14, 24, 34,40인 경우
5가 나오는 경우 - 없음 . 만약 30보다 큰 수가 나오면 30으로 빼줘야 하므로
6이 나오는 경우 - 지수의 합이 6, 16, 26, 36, 46이 되는 경우
7이 나오는 경우 - 없음.
8이 나오는 경우 - 지수의 합이 8, 18, 28, 38, 48이 되는 경우
9가 나오는 경우 - 없음.
결론적으로 지수는 7과 9는 나올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태택'괘와 '삼리화'괘는 나올 수 없다는 말입니다.
양년,음년에 따라 상하괘가 뒤집혀서 나오는 경우를 제외하고 말입니다.
즉, 선천괘에서는 '택화혁' 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 입니다.
하락이수 원서의 작괘방법에 오류가 없는지 검증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첫댓글 하락이수를 프로그램화 하시는 과정에서
엄격하면서도 정확한 원리원칙을 연구하시는 모습에 경의를 표합니다
선생님의 의문에 대해서는
각종 역학 과목에 대해
그 설계 원리를 오랫동안
연구하신 서흠 이승재 선생께
문의를 드리면 단서를 얻으실 수 있으리라 사료됩니다
과학역연구소 라는 다음 카페에 가셔서 본문을 그대로 올려보시면 아마 답글을 제시해 주실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