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정축丁丑 일주
가. 丁火의 특성
나. 丑土의 특성
다. 丁丑 일주의 특성
【물상. 기상 및 기본 성향】
【오행의 변화와 육신(재물, 진로, 적성, 학업, 건강 등)】
【육친】
|
가. 丁火의 특성
▣丁火는 “하늘의 별”을 상징하면서 열기나 빛으로서
“등불이나 촛불, 난로, 전열기구, 전화, TV” 등
각종 전자제품과 금속을 녹이는 용광로처럼
겉으로는 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안으로는 폭발적인 음의 성질을 품고 있는 생명력있는 열기를 뜻한다.
그래서 일간 丁火의 성정은 겉으로 보기에 조용하고 약하게 보이나
내면은 자존심과 집념이 강하고 정신력이 강하며
한편으로 냉정하거나 무심해 보이다가
갑자기 폭발할 수 있는 면이 존재한다.
▣丙火가 빛이라면
丁火는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열에 해당하는데,
이는 인간의 기술과 노력 등으로만들어낸
문명을 일궈내는 힘으로 상징 된다.
⦿춘.하절에는⇨ 쓰임이 적은 가운데 도리어 木에게 피해를 주는데,
이때에도 水가 적당하면 화식火息역할을 한다
⦿추절에는⇨ 金을 제련하여 도구를 만드는데,
이 도구는 다시 木을 다듬어서 의식주에 필요한 생활용품을 생산 한다
⦿동절기에는⇨ 난방기구나 등불의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丁火는 중화가 되면 사계절 모두에 골고루 쓰인다
▣丁火는 “타는 불”, “뜨거운 불”이며,
한편 밤에는 “등불” 또는 “광명”의 의미가 있어
배후나 어두운 곳을 밝히는 불이 된다
⦿자신에게는 고난이 많고 정이 많아서 눈물의 의미를 가지며
불의 형상이 위로 곧게 뻗어 올라가므로 외골수를 상징하고
남자의 정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丁火는 “정情”을 의미하므로
丁火가 기신인 경우에는 “정”이 없음을 의미하고,
丁火가 희신 이면 “정”이 많고 눈물이 많다
◉한편丁火가 빛(등불. 호롱 불 등)으로 작용을 할 경우에는
정신적 고결함을 갖추게 된다
▣丁火는 음화陰火요, 등촉화요, 활화活火이므로
밤에 태어나면 별빛처럼 빛이 나고 그 열기가 빛난다.
따라서 밤에 하는 직업 또는 숨어서 하는 직업 등과 인연이 있다
甲木이 있으면, 활화活火가 되어 아무리 추운 겨울이라도
절대로 꺾이지 않게 되므로 좋은 격을 이룰 수가 있다
▣丁火는 丙火를 보면 빛을 잃어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공功이 없다
따라서 丙火는 丁火 에게는 기신이 된다
한편으로 丙火와 丁火는 낮과 밤의 빛과 같다
⦿丁火가 낮에 태어나면⇨ 丁火의 빛을 잃게 되고
丙火가 밤에 태어나면⇨ 빛을 잃게 된다
⦿그런데 여기에서 낮과 밤이라 함은
하루 중의 낮과 밤이 아니고 여름과 겨울을 의미 한다
▣丁火는 겉으로는 조용하고 침착하지만
내면에는 폭발적인 감정을 감추고 있다.
가녀린 듯해도 쉬 꺼지지 않고,
강해도 쉽게 외부로 드러내지 않은 열정을 머금은 모습에서
丁火의 정신을 엿 볼 수 있다
▣丁火는 음이고 유柔하면서 쇠약하기 때문에
부드럽게 생조 해야 발현이 되는 까다로움이 있다.
◉그런데 生이 너무 지나치면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것으로서
丁火 입장에서 지나친 生은 부담으로 작용 한다.
이는 음간은 설기를 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丁火가 生을 많이 받는다고 해도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丁火가 열로 작용을 하는 경우,
生木으로 木生火가 되면 그 공덕이 없게 된다
▣丁火는 土를 生하기 보다는 庚. 辛金을 극하는 작용을 더 잘한다.
이는 金을 단련하는 것이 丁火의 임무이기 때문으로
庚, 辛金이 있어야 할 일이 있게 된다
그런데 丁火가 지나치면 庚. 辛金을 과도하게 극제 하게 된다
◉丁火는 庚. 辛金이 지나치게 木을 극하지 않도록
庚. 辛金을 제련 하여 유용한 도구로 만드는 것이다,
즉 명기名器를 만드는 장인의 손길과 같기 때문에
까다로울 수 밖에 없다
⦿丁火에게는 잘못된 것을 바로 잡겠다는 결연한 태도가 있는데,
그 속에는 희생과 헌신이 뒤 따른다
⦿生을 받지 못한 쇠약한 丁火는 金을 효과적으로 제련하지 못한다.
生을 받아 부드러워진 丁火만이 金을 다스리는데 온유하다
▣丁火의 대표적인 역할로는
庚金을 정련精練하여 연장을 만들고, 그 연장으로
동량지목인 甲木을 잘라서 재목을 만드는 경우와
甲木으로 丁火의 화기를 왕성하게 하여
庚金을 녹여서 기물을 만들게하는두 가지 정격正格이 있다
⦿丁火 옆에 甲木이 있고 반대편에 庚金이 있으면서
甲木이 사목死木의 경우라면, 甲木으로 丁火의 화기를 살려서
庚金을 녹여 기물을 만드는 경우가 되고
⦿丁火 옆에 庚金이 있고 庚金 옆에 甲木이 있으면,
丁火로 庚金을 정련하여 甲木을 베어내어 재목을 만드는 격이 된다
나. 丑土(상관)의 특성
▣동물(소)적 접근
⦿성격은 우직, 근면, 성실, 온순, 복종, 끈질김, 고집스럽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내부적으로 상당한 공격성을 보유한 가운데,
한번 폭발하게 되면 감당이 안 된다.
가장 큰 단점은 하극상의 기질(뿔로 밑에서 위로 쳐 받침)이다
⦿자기가 한 일에 비해 대가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등 실속이 없다.
⦿운명적으로 구속과 속박을 의미(멍에를 짊어진 형국)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전생의 업을 상징되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도인道人과 같은 것으로 평가 한다
▣계절적 접근⇨ 丑月은 겨울에서 봄으로, 지난 해에서 새해로
연결 시켜주는 고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개자의 역할을 한다
▣시간적 접근⇨ 丑時는 어두운 시기, 잠자는 시기,
밖은 춥지만 안은 따뜻한 시기, 조용한 시기가 된다.
따라서 丑土 대운 에서는 활동을 하더라도 조용한 일을 해야 한다.
또한 해가 뜰 때까지 기다려야 함으로 급하게 서두르면 안 된다
▣“丑”이라는 인자에서는 “매사에 있어 진척이 느리다”.
즉 “일의 지체 성장의 정지. 자유가 제한이 된다” 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일지 丑土⇨ 가정에 억메이는 것.
월지 丑土⇨ 일터나 사회적 활동에 얽매이는 것
▣丑月은 옛것을 버리고 새것으로 변화하는 단계로서
丑土가 발달되면 지금까지 꾸준히 해오던 일을
다른 일로 변경하거나 다시 시작하게 된다
다. 丁丑 일주의 특성
【물상. 기상 및 기본적 성향】
▣丁丑 일주는 “따뜻한 불 또는 빛(丁火)”가 “한겨울의 동토이며
한밤 중의 암흑(丑土)을 따뜻하고 밝게 해주는 형상”이다.
따라서 丁丑 일주는 부자도 많고 종교, 철학과도 인연이 깊다
특히 丁丑에서 丑土는 제단의 모습이며
丁火는 제단 위에 촛불의 형상으로 영적인 삶을 사는 사람도 많다.
▣이외 丁丑 일주의 물상과 관련하여
◉丁丑은 “한 밤의 달빛”.“뜨거운 한낮 소(또는 무더운 여름철 소)”.
“화로 속에 담긴 불”.“방안을 밝히는 전기불(또는 촛불)”.
“은은한 불빛”. “무쇠를 제련하는 용광로”의 물상이다
◉“한 밤의 달빛”은 어두운 밤길을 가는 나그네에게
한줄기 빛이 되어주므로 존경을 받는 존재로서 소중하고
◉“촛불”은 자신을 태워서 헌신하면서 희생하고
“소”도 헌신하고 희생 한다
◉따라서 丁丑 일주는 평생 일복이 많음을 암시하는 한편으로
영리하며 사물에 민감하고 직감력이 빠름을 나타낸다.
◉개인의 이익 보다는 공공의 이익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자신의 희생으로 사회적 정의를 위해 봉사하는 사람이 많다.
한편 남에게 베풀고도 욕을 먹는 등 인덕이 없는 편이다
▣丁丑 일주는 丁火와 丑土 모두가 음이기 때문에
성품이 소극적이고 부드럽지만
丁火는 화약처럼 폭발하기도 하기 때문에
속전속결로 일을 처리하는 성정도 가지고 있으나
웬만해서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丁丑 일주의 기본적 성향
◉온화자중형 이면서도 도전의식과 집념이 강하여
아무리 어려운 일이 닥쳐도 끝내는 해결을 한다.
겉보기에는 온순해도 속내는 조급하고 내성적이어서
번민이 심하고 마음이 어두우며 자칫 염세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일에 낙천적 긍정적인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명석한 두뇌와 재주가 뛰어나며, 일에 대한 욕심이 많아서
시작을 하면 끝을 보려고 노력을 한다
◉표현력이 풍부하고 사람들의 호감을 사지만
간혹 구두쇠 소리를 듣기도 한다.
▣백호대살(丁丑)과 관련하여 총명하고 지도자 자격을 갖추었으나
한편으로 강직성과 과격성 및 이기심과 독선적인 경향이 있다
◉일주가 튼튼할 경우에는 유능함, 특수한 재능 등을 의미하고,
탁월함이 단연 돋보이기도 한다.
◉한편 일주가 신약하고, 백호살에 해당하는 천간이나 지지가
형, 충을 당하면 조심해야 한다. 잘 풀리던 일도 중간에 막히는 등
애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일주에 백호살이 있으면 항상 분주하고 바쁘며
식상이 백호이면 쇠약하고 처가집과 소원하다
⟪백호대살⟫
◉백호대살⇨ 甲辰, 乙未, 丙戌, 丁丑, 戊辰, 壬戌, 癸丑
◉겁살 등에 쓰이는 “살”은
“殺(죽일 살)”로서 대부분 부정적으로 풀이를 하지만
백호대살에 사용하는 “살”은 “煞(죽일살, 총괄.결속 살)”로서.
부정적인 풀이 외에 긍정적으로도 풀이를 한다
◉즉, 백호대살의 “살”은
누군가를 해치는 부정적인 작용 외에
무엇인가를 총괄하거나 결속하는 등의
긍정적인 부분도 포함이 되어 있다
◉따라서 백호대살은 호랑이에게 물려 죽는다
현대사회에서는 자동차 사고 등 불행 등의 의미 외에
백호를 다스리거나 죽이는 힘 등 양면적으로 해석을 한다
즉, 백호대살을 잘 발휘하면
다른 사람보다 훨씬 큰일을 이룰 수 있는 반면에
잘못 발휘되면 가까운 사람 등을 해칠 수 있는 힘이 된다
【오행의 변화와 육신(재물, 진로, 적성, 학업, 건강 등)】
▣丁丑 일주는 지장간에 癸水(편관)·辛金(편재). 己土(식신)가
자리하고 있고 12운성은 묘지墓支에 해당한다.
▣丁丑 일주에서 丑土는 식신으로 먹을 복을 의미하는 가운데
낙천적이고 명랑하고 심성이 착하며 언어능력이 좋다
▣재고귀인財庫貴人(재성인 辛金이 丁火 일간의 묘고지인 丑土의
지장간 속에 존재)으로 재물 복이 많다
◉특히 지장간에 식신(己土)과 편재(辛金)가 자리를하고 있어
재물 복이 대단하면서 자산 관리능력도 탁월하다.
◉그런데, 평소에는 재물에 대한 집착을 표현하지는 않으나
한번 욕심을 가지면 무서울 정도로
재물에 대해 집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재성(申.酉)이 공망으로 재물에 대한 집착이 매우 강한 가운데,
돈 때문에 인심을 잃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남명의 경우 재물이 많아지면서 주색이나 도박 등에 빠져서
인생을 망치는 경우도 있으니 각별히 주의를 해야 한다
따라서 돈을 벌면 벌수록 시건방을 떨지 말고
수양을 하면서 주변에 베풀 줄을 알아야 한다
▣한편으로 지장간의 편관(癸水)과 관련하여, 평소에는 굉장히 꼼꼼하지만
성급한 판단을 해서 생각지도 않은 사고를 치는 경우가 있다
▣진로. 적성
◉백호살 관련⇨ 정보와 수사계통 특수 기술(보석세공업·화공계통 등)
◉재고財庫 관련⇨ 은행 등 금융기관
【육친】
▣배우자 궁(일지 丑土, 식신)과 관련하여
◉(여명) 식신이 관성에 대항을 하므로 남편과의 인연이 불리하지만,
간지가 모두 음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게 불리하지는 않으며
◉(남명) 식신이 재성을 생하고 있어 무난한 편이다
▣(남여 공통) 지장간에 재성(辛金)과 관성(癸水)이 있어
밖으로 적극적인 표현이 없지만
내면적으로는 감각적이고 매력적인 편이다.
▣丁丑 일주는 음양차착살陰陽差錯殺로 경제적 발전이 느리며
배우자 및 배우자 집안 덕을 기대 하기가 어렵다
◉(남명) 아내에게 만족하지 못하고 고독감으로 일탈이 용이하며,
처가와 시비가 잦다. 처가 덕을 기대하기 곤란하다.
◉(여명) 남편에게 불만이 많고 외로움을 느껴 일탈이 쉽고,
시댁의 눈 밖에 나는 행동으로 시댁과의 사이가 불편하다
★음착살⇨ 丁 丁 辛 辛 癸 癸 양착살⇨ 丙 丙 戊 戊 壬 壬
未 丑 卯 酉 巳 亥 午 子 寅 申 辰 戌
▣丁丑 일주의 공망(申.酉, 재성)과 관련
◉(남명) 여성에 대한 관심이 많은데 반해
인연을 맺는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여명) 결혼이 늦는 경우가 많다
특히 사회적 활동성이 있으면 독신인 경우가 많으며,
반대로 결혼 후 사회적 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여명) 관파백호官破白虎
(백호가 되는 丑土가 관성인 癸水를 파괴 한다)로
◉평소에는 인정도 많고 사리가 분명하다가도
화가 나면 시비를 가리지 못하고, 난폭한 언행이 따르기도 한다
◉남편을 무서워하지 않기 때문에 부부관계가 원만하지가 못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신앙심이 깊고 유부남을 만나기 쉬우며
돈 욕심도 많고 돈을 잘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