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 서울월드컵경기장 - 매봉산 - 하늘공원 - 메타세콰이어길 - 평화의 공원을 찾았다.
월드컵공원이 있는 예전의 땅은 한강변에 위치한 '난지도'라는 섬이었다. 당시의 난지도는 물이 맑고, 먹이가 풍부한 생태 보고였다. 그러나 1978년부터 1993년까지 15년 동안 9,200만톤이라는 어마무시한 서울시민의 생활쓰레기를 매립하면서 세계 최대의 쓰레기 산(해발 98m)으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먼지, 침출수, 악취, 파리가 들끓는 불모의 땅이 되었다. 하지만 그대로 둘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그래서 난지도를 되살리기 위해 1996년부터 쓰레기 산의 상부 복토와 사면 안정화 작업을 거쳐 환경·생태공원 조성 사업을 통해 2002.5.1에 「월드컵공원」 으로 다시 태어나 다양한 동식물이 살 수 있는 생명의 땅으로 복원하였으며, 2002년 서울월드컵까지 개최하기에 이른 것이다.
월드컵공원은 대표 공원인 '평화의공원'을 비롯하여 '하늘공원', '노을공원', '난지천공원', '난지한강공원' 등 5개의 테마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니 한번 찾아보시길 권해 드린다. 오늘의 투어 코스는 전철 6호선 월드컵공원역 3번출구 - 매봉산 - 하늘공원 - 메타세콰이어길 - 평화의 공원 순으로 둘러 보았다.
서울월드컵경기장
월드컵경기장 북문쪽(월드컵경기장역 3번출구)
2002 FIFA 한일월드컵 역사의 현장과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건축예술물인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아름다운 모습을 배경으로 일행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남긴다.
문화비축기지
문화비축기지
매봉산(93.9m)을 오르기 위해 문화비축기지 울타리를 따라 걷는다. 문화비축기지는 1973년 석유파동 이후 76~78년에 국가사업으로 석유비축용 5개 탱크를 건설해 당시 서울 시민이 한 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6,907만 리터의 석유를 보관했던 장소였으나, 1999년 2월 서울월드컵경기장 건설계획에 의하여 안전상 이유로 기지 이전이 결정되어 2000년 11월에 이전하였다. 10년 넘게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다가 지난 2013년 시민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문화비축기지'로 변신하였다. 기존 5개의 탱크 해체에서 나온 철판을 활용해 T6를 만들어 시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는 T6를 포함하여 총 6개의 탱크를 활용한 문화비축기지로 서울 시민들을 위한 새로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번쯤 방문해 보시기를 권한다.
난지천공원
매봉산에서 내려와 난지천공원을 지나 하늘공원으로 향한다.
하늘공원 입구에 도착하여 상암동 방향을 바라보면서...
하늘공원
난지도의 5개 공원 중 하늘과 가장 가깝다 하여 이름이 붙여진 해발 98m 높이에 있는 '하늘공원'이다. 광활한 억새밭, 북한산·남산 N타워·63빌딩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 바람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풍력발전기, 그 속에 맹꽁이, 새호리기 등 멸종위기 동물과 참방톨, 긴병꽃풀 등 서울시 보호종도 함께 살아가고 있는 곳이다.
'하늘공원' 입구 표지석
투어 시기에 맞추어 '2023 제22회 서울억새축제('23.10.14~10.22)'가 개최되고 있었다.
관람객들이 아름다운 꽃들과 곳곳에 전시되어 있는 작품들을 감상하고 있다.
작품명 : 사랑의 정령(2018 작가 박재석,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
작품명 : 탑 기린(2012 작가 백종인,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
장신의 억새와 억새꽃이 장관이다.
억새는 벼과 벼목의 여러해살이 풀로 아시아가 원산지(대한민국, 중국)이며, 산이나 들에 높이 1~2m로 자란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잎은 가늘고 길며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딱딱한 잔 톱니가 있으며 가운데 맥은 굵고 흰색이다. 9월이면 자주빛을 띤 황갈색의 이삭으로 꽃을 피우며 줄기와 잎은 지붕을 이는데 쓰이고 참억새는 작은 이삭이 은빛을 띤 꽃이 핀다.
둥지(2010 작가 김대성)
언제부터 인가 우리의 보금자리는 아파트라는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의 집에서 살고 있다. 획일화된 삶의 공간을 다른 공간, 다른 시각을 느끼며 자신만의 보금자리를 찾아 간다는 것을 새집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소원을 이루어주는 소원터널과 소원돌탑
소원을 적을 수 있는 필기구가 비치되어 있었기에 저마다 나름의 소원을 적어 걸고 있다. 무슨 소원을 적었을까? 그 무엇이든 간절히 기도하면 이루어지리라.
억새로 만든 1년생 '사랑의 곰', 작년에는 가슴반달곰이 있었는데, 사랑의 곰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어디론가 떠났는가 보다. 한강 방향의 '전망대'에서 바라본 월드컵대교와 강서구 방향 전경이다.
누가 가을을 쓸쓸한 계절이라 하였던가? 쓸쓸한 가을남자 ㅎㅎ
산악문화체험센터
하늘공원과 노을공원 사이에 있는 시설이다. 하늘공원에서 노을공원 방향에 있는 계단을 내려오면 도로가에서 만나게 된다. 계단을내려온 다음 메타세콰이어길을 가기 위해서는 왼쪽 방향으로 약 200여 m 걸으면 된다.
메타세콰이어길
난지 테마관광 숲길인 메타세콰이어 길은 1999년도에 하늘공원 '동쪽'에 450m, '남쪽'에 900m 길이의 시원하게 뻗은 산책로와 메타세콰이어 숲길을 조성하였는데, 올해(2023년) 동쪽 메타세콰이어 길 하부에 정원식 녹지를, 남쪽 산책로에는 사계절 꽃길을 조성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보고 즐길 수 있도록 추가로 정비하였다.
약 900m에 이르는 하늘공원 남측의 메타세콰이어 명품길이다.
핫립세이지
봄~늦가을까지 붉은색 꽃이 피고, 기온이 올라가면서 점점 흰색으로 물이 든다. 꽃잎 끝부분이 입술을 닮아서 '핫립세이지'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일명 '체리세이지'라고도 한다.
왼쪽길은 시인의 거리, 오른쪽 여러 사람이 보이는 길은 메타세콰이어길이다. 시인의 거리가 더 운치있다.
월드컵육교
하늘공원과 평화의 공원을 연결하는 육교이다.
평화의 공원
평화의 공원 내 난지연못과 연못 앞 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