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5월 7일(日曜日) 07시.
♥ 場所 : 전북 임실 오봉산(413.2m). 국사봉(475m), 옥정호 출렁다리.
☞ 가는 길 : 07:00(삼천포 출발) → 07:34(사천 IC 진입) → 08:40(남원주차장) → 09:00(순창 IC 나옴) → 09:28(전북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소모마을 주차장 도착).
☞ 산행코스 : 소모마을 주차장 → 1봉(305m) → 2봉 → 3봉 → 4봉(495m) → 절골재 → 오봉산 정상(513.2m) → 절골재 → 4봉 → 국사봉(475m) → 붕어섬 전망대 → 붕어섬 → 옥정호 붕어섬 출렁다리(약 8km. 5시간 25분 소요).
☞ 세부 산행코스
09:35 : 소모마을 주차장 단체사진,오봉산 등산로 1코스 산행시작.
09:38 : 옥천가든,오봉산산정(음식점).
09:41 : 마을 삼거리 이정표(← 1봉 0.75km, 2봉 2km/→ 5봉 2.58km). 1봉 진행.
09:50 : 삼거리 이정표(← 소모마을 0.4km/→ 1봉 0.46km).
10:03 : 오봉산 1봉(305m, 전북 완주군 구이면).
10:07 : 해발 325m 이정표(←1봉 0.2km/→ 2봉 1.1km).
10:24 : 암릉전망대.
10:28 : 해발 425m 이정표(← 소모마을 2.5km/↙ 남석사 1.2km/→ 2봉 0.5km).
10:50 : 오봉산 2봉(전북 임실군 신덕면, 이정표 ← 1봉 1.1km/↙ 영암/→ 3봉 1.2km).
10:58 : 해발 475m 이정표(← 오봉산 2봉 0.1km/→ 3봉 1km).
11:09 : 해발 490m 이정표(← 오봉산 2봉 1km/→ 3봉 0.1km).
11:11 : 오봉산 3봉(전북 임실군 신덕면 ← 2봉 1.12km/→ 4봉 0.63km).
11:18 : 해발 480m 이정표(← 4봉 0.5km/→ 3봉 0.4km/소모마을 주차장 3.7km).
11:21 : 오봉산 4봉(495m, ← 3봉 0.5km/→ 국사봉 1km/↗ 5봉 0.5km). 5봉행.
11:27 : 절골재(← 4봉 0.2km/→ 5봉 0.4km).
11:34 : 수도바위 전망대. 붕어섬 조망.
11:40 : 전북 임실군 운암면 오봉산 정상(513.2km). 정상석, 데크 전망대,
11:52 : 4봉으로 되돌아 와서 국사봉 행.
12:06 : 물안개길 이정표(←, → 태극물돌이길/↖ 오봉산 등산로).점심(12:10-20).
12:47 : 전북 임실군 운암면 국사봉(475m). 정상석, 데크전망대.
13:00 : 붕어섬(외앗날)전망대. 옥성호는 섬진강 상류 수계에 있는 호수.
13:17 : 국사봉 주차장( 태극물돌이길 종점 주차장) 도착, 3층 전망대.
13:52 : 전북 임실군 운암면 옥정호 입석리 출렁다리 매표소, 입장료 대인 3000원.
14:00 : 옥정호 출렁다리 전망대,
14:10 : 전북 임실군 운암면 용운리 붕어섬 생태공원 산책,
14:50 : 전북 임실군 운암면 쌍암리 주차장 도착 산행종료.
☞ 오는 길 : 15:00(주차장 출발) → 16:00(남원 지리산휴게소) → 17:00(함양휴게소) → 17:05(사천 IC 나옴) → 17:10-45(사천 축동 청하면옥 석식) 18:00(삼천포 도착).
♥ 이웃 봉우리 : 팔공산(1,147m),
♥ 위치 : 전라북도 임실군 운암면. 신덕면, 완주군 구이면.
♥ 특기사항 : 오봉산(513m)은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과 임실군 운암면, 신덕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 전주에서 구이면 운암대교 방면 20km 지점에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의 소모 마을을 가운데 두고 주변의 다섯 봉우리가 마치 타원형 말굽 모양으로 둘러싸여 있는 데서 유래되었으며, 한자로 다섯 오(五) 자, 산봉우리 봉(峰) 자를 써서 ‘오봉산’이라고 한다.
▲ 07시 삼천포 공설운동장 출발하여 07시 34분 사천 IC 진입하여 08시 40분 남원주차장에 와서 10분 휴식.
▲ 09시 순창 IC로 나와.
▲ 09시 28분 전북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소모마을 주차장에 도착하니 넓은 주차장으로 오봉산 산행안내도. 화장실, 쉼터정자, 이정표가 있다.
▲ 산이 반기는 사람들 산악회 35명 단체 기념사진을 찍고, 준비체조를 한 후.
▲ 주차장의 이정표를 보고 2코스는 버스를 타고 국사봉 방면으로 이동하고 1코스 산행할 13명은 이곳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오늘 산행할 1코스는 소모마을 주차장 → 1봉(305m) → 2봉 → 3봉 → 4봉(495m) → 절골재 → 오봉산 정상(513.2m) → 절골재 → 내량삼거리 → 국사봉(475m) → 붕어섬 전망대 → 붕어섬 → 옥정호 붕어섬 출렁다리(약 8km. 5시간 25분 소요). 09시 35분 산행시작.
▲ 09시 38분 옥천가든? 많은 화분에 다육식물. 옆에 오봉산정 식당 옆을 지나 ▼
▲ 마을 옆의 이정표를 보고 임도를 따라 산행 ▼
▲ 09시 41분 등산로 입구의 삼거리 이정표(← 1봉 0.75km, 2봉 2km/→ 5봉 2.58km). 1봉 진행.
▲ 처음부터 경사가 급한 등산로.
▲ 09시 50분 능선에 오르니 삼거리 이정표(← 소모마을 0.4km/→ 1봉 0.46km)가 있고 조금 편해지는 등산로.
▲ 10시 03분 전북 완주군 구이면에 있는 오봉산 1봉(305m) 도착하니 정상에 무덤이 있다, 기념사진 ▼
▲ 해발 3425m 이정표(← 1봉 0.2km/→ 2봉 1.1km).
▲ 운해와 안개로 보이지 않던 능선이 보여 빨리 한껏.
▲ 벤치쉼터가 있지만 날씨가 좋지않아 쉬지않고 산행.
▲ 암릉 전망대가 있어 기어서 올라가니.
▲ 조망이 좋지않고 능선이 나타나기를 기다리다가 빨리.....
▲ 10:28 : 해발 425m 이정표(← 소모마을 2.5km/↙ 남석사 1.2km/→ 2봉 0.5km).
▲ 김해 김씨무덤.
▲ 위험지역은 로프와 쇠로 만든 발디딜판.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배낭 커버를 하고 우의는 아직.....
▲ 10시 50분 오봉산 2봉은 전북 임실군 신덕면으로 1봉은 완주군 2봉부터는 임실군에 속한다. 이정표(← 1봉 1.1km/↙ 영암/→ 3봉 1.2km)를 확인하고 3봉으로 진행.
▲ 11:09 : 해발 490m 이정표(← 오봉산 2봉 1km/→ 3봉 0.1km).
▲ 11시 11분 오봉산 3봉 이정표(← 2봉 1.12km/→ 4봉 0.63km).
▲ 11시 21분 오봉산 4봉(495m) 이정표( ← 3봉 0.5km/→ 국사봉 1km/↗ 5봉 0.5km). 5봉으로 갔다가 되돌아 오기에 피곤한 회원은 기다리기로 하고 5봉으로 향한다.
▲ 11시 27분 절골재 이정표(← 4봉 0.2km/→ 5봉 0.4km). 오봉산으로 진행.
▲ 11시 34분 신산대 바위 전망대. 아래로 옥정호의 붕어섬 조망 ▼
▲ 11시 40분 전북 임실군 운암면 오봉산 정상(513.2km) 도착하니 정상석과 데크 전망대가 있고 옥정호와 붕어섬이 잘 보인다 ▼
▲ 벤치가 있는 조망쉼터에서 비가내려 조심하여 사진 촬영하고 4봉에 회원들이 기다리기에 4봉으로 돌아가 국수봉으로 가야한다.
▲ 11시 52분 4봉으로 되돌아 오니 회원들은 국수봉으로 가고 있다기에 속보로 국사봉으로 진행.
▲ 4봉 내리막 등산로에서 12시 06분 국수봉으로 오르려고 하니 이곳부터 테극 물안개길로 이정표(좌우로 태극물돌이길/↖ 오봉산 등산로)가 있다. 앞서간 회원들이 점심을 먹고 있어 합류하여 비가 적게 내려 빨리 맛있게 점심(12:10-20) ▼
▲ 점심을 먹고 오봉산 산행을 한 회원들의 기념사진.
▲ 12시 47분 전북 임실군 운암면 국사봉 데크전망대에 도착하니 국사봉(475m) 정상석이 우릴 반긴다. 비도 적게 내려 데크전망대에서 타산악회 회원들에게 부탁하여 13명 모두 단체사진을 찍고 1봉에서 5봉을 둘러보며 ▼
▲ 국사봉 정상석과 같이 멋진 폼으로 개별사진 ▼
▲국사봉(國士峰, 475m)은 전북 임실군 운암면에 위치하고 있는 해발 475m의 작은 산으로 옥정호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고 일교차가 심한 날 새벽에 산을 오르면 옥정호를 감싸고 있는 운해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 모습이 장관을 이뤄 많은 사람이 찾는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국사봉 아래 잿빛(영촌)이라는 촌락이 있어 진사 벼슬 12명이 배출되어 이 명산의 정기 때문이었다고 해서 국사봉이라 명명하였다고 하며 국사봉 정상에는 아주 큰 전망데크가 마련되어 있어 전후좌우 멋진 조망처로 각광을 받고있다.
▲ 13시 붕어섬(외앗날) 전망대 도착.
옥정호는 1928년 섬진강을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거대한 인공호수로 1965년 우리나라 최초의 다목적댐인 섬진강댐이 완공되면서 그 구역이 더 넓어졌다.
붕어섬은 옥정호로 인해 자연스레 섬이 되었으며 면적은 6만 6000㎡ 정도이며, 인근 국사봉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모습이 붕어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 붙여졌다. 붕어섬은 동이 틀 무렵 일대에 자욱한 물안개가 피어나고 호수와 주변 산들이 조화를 이루는 모습이 장관이어서 사진작가들의 출사 명소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임실군은 붕어섬을 연결하는 요산 공원 일대에는 스카이워크와 광장, 데크길, 800대 규모의 주차장 등을 함께 조성했다 ▼
▲ 임실군 운암면 입석리와 운암면 용운리 붕어섬을 연결하는 옥정호 출렁다리.
▲ 옥정호로 내려가는 데크계단.
▲ 13시 17분 국사봉 주차장 도착. 국사봉 주차장은 3코스 태극물돌이길 종점 ▼
▲ 멋지게 조성한 3층 전망대와 전망대에서 본 옥정호 출렁다리 조망 ▼
▲ 국사봉으로 오르는 256계단으로 무척 힘들었는데 옥정호로 내려오는 긴 데크계단은 젖어있어 조심하여 내려오니 새로 조성하는 데크로드가 있다 ▼
▲ 옥정호 출렁다리는 2022년 10월 22일 개통한 총 연장 길이 420m, 폭 1.2m로 붕어를 형상상화 한 높이 80m의 주탑과 스테인레스 메쉬형 난간과 스틸그레이팅 바닥판으로 설치 하여 임실군에서는 “출렁다리가 방문객들의 발길을 불러 모아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휴무일은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일 때 그다음 날 화요일이 휴무일이다.
▲ 임실군 운암면 입석리의 옥정호 출렁다리 주차장에 도착하니 출렁다리를 조망할 수 았는 쉼터와 매표소가 있고 셔틀버스가 운행하며 까페. 화장실이 있다.
▲ 매표소에서 입장권(어른 3000원)을 구매하여 출렁다리 입구 진입.
▲ 출렁다리 좌우 풍경 ▼
▲ 출렁다리 전망대.
▲ 출렁다리 전망대의 좌, 우 스카이워크 ▼
▲ 출렁다리 전망대에서 다정한 회장부부.
▲ 출렁다리를 건너 붕어섬의 생태공원 입구 ▼
▲ 14시 20분 붕어섬의 유명한 붕어섬 정원을 산책하는데 15시까지 운암면 면사무소 주차장이 만차이기에 쌍암리 임시 주차장으로 노랑셔틀버스를 타고 오라는 연락을 받고 붕어섬 정원, 작약길. 목련원, 수국길 등을 둘러보지 못하고 출렁다리를 되돌아와 매표소에서 노랑 셔틀버스를 이용.
▲ 14시 50분 전북 임실군 운암면 쌍암리 주차장 도착. 800대가 주차할 수 있는 넓은 주차장을 조성 중이라 시설물은 없고 대형차량도 거의 없는주차장으로 승용차는 많이 있다. 산행종료 ▼
▲ 15시 쌍암리 주차장 출발하여 16시 남원 지리산휴게소와 17시 함양휴게소에서 10여분 휴식. 17시 05분 사천 IC로 나와.
▲ 청하 면옥 식당에서 주류와 맛있게 저녁식사.
▲ 18시 전회원 무사고 삼천포 도착, 임실의 오봉산, 국사봉, 붕어섬과 출렁다리 산책을 즐겁게 하고 산행행사를 접는다.
☞ 동행 : 삼천포 산이 반기는 사람들 산악회원 35명.
첫댓글 아름다운 동행 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