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경북 구미의 항일 독립투사 세 분.hwp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경북 구미의 항일 독립투사 세 분》
많은 사람들이 구미를 박정희의 도시라고 하지만, 구미는 아주 걸출한 항일 독립투사 분들이 많이 나신 곳입니다. 구미는 박정희의 도시가 아니라 항일 독립투사의 도시라 해도 될 만한 곳입니다.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경북 구미의 항일 독립투사 세 분의 활동 내용 중 핵심적인 것들만 간단하게 요약정리를 해봤습니다.
1. 허위(許蔿. 호는 왕산旺山. 1855~1908. 구미 임은동 출생.) · 의병장 허위는 일제시대 서대문 형무소가 만들어지고 가장 먼저 사형당한(교수형) 사람으로 일제의 서대문형무소 사형수 1호(1908년 10월 21일 순국) 입니다. · 하지만 허위 선생은 건국훈장 최고 등급인 대한민국장을 최초로 받으신 분으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호이자 국가유공자 1호에 추서되신 분입니다. · 대한제국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은 허위 선생에게 사람을 보내 경상남도 관찰사 또는 내무대신의 자리를 주겠다고 회유했으나 허위 선생은 이를 꾸짖고 물리치십니다. · 전국의 의병부대 연합인 ‘13도 창의군’의 군사장이었던 의병장 허위는 13도 창의군을 이끌고 ‘서울진공작전’을 추진합니다. 이때 해외 각국 공사관에 통문을 발송해 열강은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단체로 인정할 것과 정의와 인도를 주장하는 국가는 이에 대한 성원을 아끼지 말 것을 촉구합니다.
· 추모사업 ´ 1962년 국가유공자 1호이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호에 추서. ´ 1962년 대구 달성공원에 왕산허위선생 순국기념비 건립. ´ 1966년 서울 동대문~청량리로터리(3.3km)까지의 길을 왕산로로 고시. ´ 2007년 허위선생 생가터에 왕산허위선생기념공원 조성 ´ 2009년 구미 임은동에 왕산허위 기념관 건립. 1975년 구미 금오산에 건립한 ‘허위선생 유허비’를 2009년 8월에 기념관 옆으로 이건. 김천시 남면 부상리에 있던 ‘허위선생의 묘소’를 2012년 6월 기념관 옆으로 이장.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풋프린팅 2012년 대상자에 허위 선생이 선정됨. ´ 구미 임은동에 선생의 호를 딴 ‘왕산초등학교’ , '왕산로' 등이 있음.
· 홈페이지 : 왕산 허위선생 기념관 www.wangsanhuhwi.or.kr
* 왕산허위선생 기념관 답사 사진 건국훈장 등급에 대한 설명표 허위선생 추모시설 설명판. 구미와 대구에 있는 곳 외에도 허위선생 추모시설들을 답사해보고 싶습니다. 허위선생에 대해 러시아어로 번역된 책에 대한 안내 서울 서대문형무소 풋프린팅관에 허위선생이 등록됨을 알리는 설명문 왕산허위선생 기념관 전경. 태극기와 함께 "장수 수(帥) 깃발"이 걸려있는 것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예로부터 근대 개화기까지만 하더라도 지휘자, 통솔자, 우두머리가 있는 곳에는 "장수 수(帥) 깃발"을 걸어서 알렸다고 합니다. 왕산허위선생 기념관 팜플렛. 사진을 확대해서 보면 글자가 크게 보이실 겁니다. 왕산허위선생 기념관과 기념공원 안내도. 인터넷 지도에서 검색해보니 기념관에서 기념공원까지는 780m정도 떨어져 있었습니다. ^^ * 왕산허위선생 묘소와 유허비 답사 사진 왕산허위선생 유허비 왕산허위선생 유허비 설명판. 사진을 확대해서 보면 글자가 크게 보이실 겁니다. 왕산허위선생 묘소 안내비 앞쪽 왕산허위선생 묘소 안내비 뒤쪽 왕산허위선생 묘소 안내비 우측 왕산허위선생 묘소 안내비 좌측 왕산허위선생 묘소 전경
* 왕산허위선생 기념공원 답사 사진 왕산허위선생 기념공원 안내표지판. 표지판이 대로변에 있기 때문에 차를 타고 가다가 보기가 쉽습니다. 허위선생 생가 터 설명판. 사진을 확대해서 보면 글자가 크게 보이실 겁니다. 왕산허위선생 동상 왕산허위선생 기념공원의 동상들 왕산허위선생 기념공원 내부의 설명판들. 가까이 가서보면 설명판들에 내용이 있습니다. 왕산허위선생 기념공원 전경. 주택가들 속에 위치하고 있는 조그마한 공원입니다. 이 동네분들은 좋으시겠습니다~ ^^ * 대구 달성공원의 왕산허위선생 순국기념비 답사 사진 왕산허위선생 순국기념비. 바로 옆에는 석주 이상룡 구국기념비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왕산허위선생 순국기념비 설명판. 사진을 확대해서 보면 글자가 크게 보이실겁니다. 2. 허형식(許亨植. 본명은 허극許克. 1909~1942. 구미 임은동 출생.) · 허형식 장군은 “허위” 선생의 사촌동생 ‘허필’의 아들입니다. · 구미 임은동에 살던 김해 허씨 집안은 1915년 만주로 집단 망명을 합니다. 당시 허형식 장군의 나이 6살 때 입니다. · 허형식 장군은 본명보다는 ‘이희산(李熙山)’, ‘이삼룡(李三龍)’ 등... 으로도 불렸고, 한동안 가명 때문에 중국인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 허형식 장군은 북만주에서 활동한 ‘동북항일연군 제3로군’의 총참모장 겸 군장이셨습니다. 허형식 장군이 지휘한 제3로군은 용남·용북 지방에서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300여회 전투를 벌여 이 일대 27개 도시를 점령합니다. · 1942년 ‘동북항일연군 교도려’(소련 극동군) 편성 당시 소련에서는, 김일성과 허형식 장군을 같은 지휘에 뒀습니다. 역사학자 강만길 선생은 허형식이 살아 있었다면 북한 또는 남한 정부를 수립했거나 통일 한국 정부를 수립했을거라 합니다. · 허형식 장군은 일제 관동군 토벌대의 습격을 받고 33세의 젊은 나이에 최후를 맞습니다. 허형식 장군은 자신의 최후를 인식하고 비밀조직원 명단을 지키고자 자신을 토벌대의 먹잇감으로 내놓습니다. 그래서 부하 1명이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되었고, 그 부하 1명을 통해 100여 명의 비밀 조직원 명단을 적의 손에 넘기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일본군 토벌대는 허형식 장군의 머리를 베어 경안경찰서 입구에 매달아 놓습니다.
· 한국에서 허형식 장군의 추모사업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고, 언론을 통해서도 거의 알려지지 않다가 최근에서야 조금씩 알려지고 있습니다. 허형식 장군이 국내에 처음 알려진 것은 ‘장세윤’ 동북아역사재단 교수실장이 1993년에 쓴 '허형식 연구'가 처음입니다. 이어 1999년에 조선족 역사연구가 ‘유순호’ 씨가 관련 연구 성과를 냈습니다. 국내 언론에서 최초 보도된 것은 1999년 8월 14일자의 대한매일신문(현 서울신문)의 기사 ‘만주 항일영웅 허극은 한국인’이라는 ‘정운현’ 기자가 쓴 기사입니다. 그리고 최근 2016년 11월 “허형식 장군(박도 저술)” 이라는 소설이 출판 됐습니다. 이 책은 소설이라고는 하지만 전기에 가깝습니다. ´ 중국 공산당은 1998년 10월 허형식 장군이 전사한 청봉령 들머리에 '허형식 희생지' 기념비를 세웠습니다. 중국 경안현 중심지에는 '형식 공원'이 건립되어 있습니다.
·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어 '고려인'으로 살아왔던 허위·허형식의 친손자와 손녀들이 조국으로 돌아와 특별 귀화한 것은 2000년대 들어서입니다. 영주 귀국하여 국적을 회복하고 보훈처가 제공하는 국민임대아파트에 입주해 살고 있습니다.
· 이육사의 시 <광야>에서 “백마타고 오는 초인”은 허형식 장군인 것이 유력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를 몇 가지 들어보겠습니다. 첫째, 허형식 장군은 거의 백마를 타고 다녔다고 합니다. 둘째, ‘허발’ 선생의 후손들은 이육사가 말한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허형식 장군이었다고 증언합니다. 허발은 이육사의 어머니 ‘허길’의 오빠입니다. 허길은 삼남매로 남동생도 있는데 남동생은 ‘허규’입니다. 허형식과 ‘허발’, ‘허길’, ‘허규’는 사촌입니다. 이육사의 어미니 허길에게 허형식은 사촌동생 입니다. 그러니 이육사와 허형식의 관계는 ‘외당숙(어머니의 사촌 오빠나 남동생)’입니 다. 일제강점기 1930년대 말, 이육사는 독립운동 자금책으로 활약한 외삼촌 ‘허규’와 함께 허형식 장군을 만주 전구에서 만난 적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이육사와 허형식이 만난 적은 몇 차례 더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임은 김해 허씨 문중과 허형식장군에 대한 자료(왕산허위선생 기념관) 임은 김해 허씨 문중의 항일독립운동가 목록판. 허위선생의 집안은 한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 가문입니다. 김해 허씨 임은파보(허위선생 문중의 족보) 허형식 장군에 대한 설명판
3. 박희광(朴喜光. 1901~1970. 구미 봉곡동 출생.) · 박희광 의사는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부친과 함께 만주로 이주합니다. 당시 박희광 의사의 나이 8살이었습니다. 박희광 의사의 아버지 “박윤하”공도 구한말 의병 출신으로 독립운동가셨습니 다. 일제가 작성한 ‘독립운동자금모집사건’에 대한 첩보자료에 박윤하공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박희광 의사는 본명 보다는 “박상만(朴相萬)”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셨습니다. · 박희광 의사는 항일 독립투사 중 최장기수(20년) 세 분 중 한 분이고, ‘안중근’ 의사가 순직한 중국 ‘뤼순 감옥’의 최장기수입니다.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잡혀 뤼순 감옥에서 24~43살까지 옥고를 치르십니다. 뻣뻣한 돼지 목털로 남성 귀두를 찔리는 극심한 고문까지 받으셨다고 합니다. · 해방 후 한국으로 와서 김구 선생의 경호 책임자가 되지만 1949년 안두희의 김구 암살을 막지 못한 자책감으로 번민하다 낙향하십니다. · 김구 선생에게 받은 위로금 2천원을 6·25피란민을 비롯한 어려운 이웃들에게 모두 베푸셨습니다. (당시 집 1채가 100원) · 박희광 의사는 옥중에서 익힌 재봉기술로 대구 교동시장에서 양복수선을 했는 데 큰 화재가 나서 가게가 다 불이 탔고 이후 생활고가 컸다고 합니다. · 박희광 의사의 공적을 잘 아는 지인들의 노력과 권유로 박희광 의사의 작고 2년 전인, 1968년에 건국훈장 국민장(현재 독립장)을 받게 되십니다. 1967년 초에 동아일보 대구지국에서, 관동성 지방법원 재판 기록이 게재된 1924년 9월 1일자 동아일보가 발견된 것이 건국훈장을 받게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 박희광 의사의 후손 일가들은 아직도 만주에 살고 있다고 합니다. · 박희광 의사의 장남 ‘박근용’님은 광복회 대구수성구지회장을 맡고 계시고 차남 ‘박정용’님은 박희광선생 기념사업회 사무처장을 맡고 계십니다.
· 추모사업 ´ 1968년에 건국훈장 국민장(현재 독립장)에 추서. ´ 1970년 국립 제1현충원에 박희광 의사 묘(부인 문화 류씨와 합장)가 있음. ´ 1972년 박희광 기념사업회 조직. ´ 1984년 구미 금오산 도립공원에 박희광 동상 건립. ´ 1997년 대구 두류공원 인물동산에 박희광 흉상 건립. ´ 2010년 박희광 의사의 차남 ‘박정용’님께서 “박희광 의사, 조선 독립 대한통의부의 특공대원으로서의 투쟁활동” 이라는 논문 발표. ´ 2011년 구미 금오산의 박희광 동상을 6개월 동안 보수. ´ 2010년부터 박희광 의사의 생가 복원과 기념관 건립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구미시의 협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홈페이지 : 독립운동가 박희광의사 www.parkhuikwang.or.kr
* 구미 금오산·금오랜드의 박희광의사 동상 답사 사진 박희광의사 동상과 조형물의 전체 모습 박희광의사 동상 뒷모습 박희광의사 동상 조형물 - 대한통의부 3인 특공대원인 김광추, 박희광, 김병현 의사 박희광의사 동상 및 조형물 설명 박희광선생에 대한 설명. 사진을 확대해서 보면 글자가 크게 보이실겁니다. 박희광의사 동상 조형물 - 태극문양과 삼족오 박희광의사 동상 조형물에 구미시장이 쓴 글 박희광선생 연보 박희광의사 기념사업회와 동상 건립,보수 추진위원회 명단 박희광의사 동상 및 조형물 이력 박희광의사 동상 * 대구 두류공원 인물동산에 있는 박희광의사 흉상 답사 사진 박희광의사 흉상과 조형물 전경. 두류공원에 있는 인물동산에는 많은 위인들의 추모시설들이 만들어져 있는데요, 박희광의사 흉상은 두류공원 안에 있는 대구관광정보센터 맞은편 앞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박희광선생 약력 박희광의사 흉상 건립 개요 박희광의사 흉상에 대해 권쾌복지사가 쓴 글. 사진을 확대해서 보면 글자가 크게 보이실겁니다. 박희광 의사의 차남 박정용님이 아버지께 바치는 글. 제 모습이 히미하게 찍혔는데요, 사진 찍은 이날 햇볕 때문에 사진 찍기가 너무 힘들었답니다.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 박희광선생 흉상
※박정희朴正熙 1917~1979. 구미 상모동 출생. * 허형식 장군이 숨지던 1942년 8월에 허형식 장군보다 8살 아래인 박정희는 만주국 신징 군관학교 2기 예과를 졸업하고 5개월 동안의 현장 실습을 하고 있었습니다. * 박희광 의사 동상의 글씨를 박정희가 휘호(揮毫) 했다고 하는데, 일제시대 일본군 장교 였던 박정희가 독립운동가의 동상에 대한 글을 쓰다니 너무 맞지가 않습니다.
〈한국의 대표적 항일 독립운동 가문〉 1. 도마 안중근 가문(평안남도 강서군·대동군) -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역에서 ‘초대 조선통감 이토히로부미(이등박문)’를 저격 사살. 2. 석주 이상룡 가문(안동 임청각) -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 이상룡. 3. 우당 이회영 가문(서울 명동) - 이회영 선생은 항일 독립운동가 중 대표적인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자). - 이회영 선생은 흑색공포단(일제 시설 파괴, 일제 관련 인물 암살)을 조직.
4. 왕산 허위 가문(구미 임은동) 5. 일송 김동삼 가문(안동 내앞마을)
항일 독립운동을 하신 분들 중에는 국가에서 주는 훈장을 받기 꺼려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 이유들이 많겠지만 몇 가지를 살펴보면, 먼저 한국의 자주적 힘으로 독립을 한 것이 아닌 미국에 의해 독립을 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 있습니다. 또 친미·친일·독재 정권들에서 훈장 받는 것을 꺼려하신 것도 이유가 됩니다. |
출처: 상민이의 불교 자료실, 법보시 원문보기 글쓴이: 상민
첫댓글 _()_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