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의 정자를 찾아서 광주를 경유하여 ,
또다시 담양의 소쇄원(瀟灑園)을 찾았습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한국의 3대
별서정원에는, 영양의 "서석지"와 운선도를 떠올리는 보길도의 "세연정"
그리고 담양의 소쇄원(瀟灑園)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전통의
3대 별서정원 답게 세곳 모두 제각각의 매력을 지니고 있지만, 소쇄원은 접근성과 더불어
일반적으로 가장 쉽게 별서정원을 느낄수 있는곳여서 인기가 높은곳 이기도합니다.
소쇄원(瀟灑園)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자죽총(紫竹叢)이라는 이름의 대나무숲을 만나게 되는데,
대숲은 소쇄원의 내외를 구분짓는 곳이며 마치 또다른 세상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은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입구 입니다.
소쇄원(瀟灑園)으로 들어서면서, 내원의 배치도를 미리 살펴보아 둡니다.
소쇄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담장대신에 대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데,
이곳을 지나야만 내원으로 진입할 수 있어서 대나무숲을 지나야 함으로
정원에 대한 신비감을 더해줍니다.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조선 중기 정원 가운데 대표적인 별서정원 소쇄원의 내원입니다.
소쇄원의 명칭은 양산보(梁山甫)의 호가 소쇄옹(瀟灑翁)이 었기에 원(園)의 이름을 소쇄원이라 한 것이라고도 합니다.
소쇄원에서 먼저 만나게 되는곳은 광풍각으로,
광풍각은 소쇄원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뒤편에 짝을 이루는 제월당이 있으며,
광풍각 이름 그대로 "바람의 집" 이란 의미이며,
구조를 살펴보면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 , 아홉 칸의 가운데만 온돌방이고 나머지는 모두 마루가 깔린 팔작지붕의 집으로,
정면과 측면이 세 칸 팔짝지붕으로 된 정자형 건물이며 사방이 개방된 마루로 되어 있고 중앙의 한 칸은 온돌방으로 되어있는데,
여름에는 사방의 문을 들어열어 모두 올려 부칠 수 있도록 되어있어 자연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시원한 구조로 광풍각은 오곡류의 하류 소쇄원의 하단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광풍각(光風閣)의 현판과,
함께있는 여러개의 편액을 살펴 봅니다.
광풍각중수기(光風閣重修記) 편액입니다.
1924년 광풍각(光風閣)을 다시 중수할 때, 오준선(吳駿善)이 쓴 기문으로,
세월이 오래되어 퇴락한 광풍각을 후손 양인묵(梁仁黙)과 양재익(梁在益)이 힘을 모아 다시
중수한 내용과, 양인묵의 아들 재윤(在潤)의 부탁에 의해 기문을 쓰게 된 경위가 담겨 있습니다.
광풍각중수기(光風閣重修記)의 한글 현판으로,
현판 중수기문과 함께 후학 조병호(曺秉皓)가 해석한 편액도 곁에 걸려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