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록 3장 42절 상제께서 어느 날 이 도삼에게 글 석 자를 부르게 하시니 그가 천ㆍ지ㆍ인(天地人) 석 자를 불렀더니 상제께서
天上無知天 地下無知地
人中無知人 何處歸
라고 그에게 읊어 주시니라.
공사 1장 30절 상제께서 “하도낙서 지인지감 김 형렬, 출장입상 김 광찬, 기연미연 최 내경, 평생불변 안 내성, 만사불성 김 송환(河圖洛書知人之鑑金亨烈 出將入相金光贊 旣然未然崔乃敬 平生不變安乃成 萬事不成金松煥)”이라 쓰셔서 불사르시고 날이 저물었을 때 쌀 열 말씩을 종도들에게 나누어서 덕찬과 형렬의 집에 보내셨도다.
교운 1장 30절 상제께서 정미년 섣달 스무사흘에 신 경수를 그의 집에서 찾으시니라. 상제께서 요(堯)의 역상 일월성신 경수인시(曆像日月星辰敬授人時)에 대해서 말씀하시기를 “천지가 일월이 아니면 빈 껍데기요, 일월은 지인(知人)이 아니면 허영(虛影)이요, 당요(唐堯)가 일월의 법을 알아내어 백성에게 가르쳤으므로 하늘의 은혜와 땅의 이치가 비로소 인류에게 주어졌나니라” 하셨도다. 이때 상제께서 일월무사 치만물 강산유도 수백행(日月無私治萬物 江山有道受百行)을 가르치고 오주(五呪)를 지어 천지의 진액(津液)이라 이름하시니 그 오주는 이러하도다.
新天地家家長歲 日月日月萬事知
侍天主造化定永世不忘萬事知
福祿誠敬信 壽命誠敬信 至氣今至願爲大降
明德觀音八陰八陽 至氣今至願爲大降
三界解魔大帝神位願趁天尊關聖帝君
예시 21절 그리고 이어 말씀하시기를 “문왕은 유리(羑里)에서 三百八十四효를 지었고 태공(太公)은 위수(渭水)에서 三千六百개의 낚시를 버렸는데 문왕의 도술은 먼저 나타나고 태공의 도술은 이때에 나오나니라” 하시고 “천지 무일월 공각(天地無日月空殼) 일월 무지인 허영(日月無知人虛影)”이라 하셨도다.
.......................................................................................
<전경> 에서 ' 知人' 이 들어가 있는 구절은 모두 4개다....
이 ' 知人' 의 해석을 구절마다 다르게 할 수는 있다...하지만, 동양철학의 근본은 < 首尾相關> 이다. 이것이 전제가 될 때 할 수 있는 이야기가 < 讀書百遍意自見> 이다......
옛날에는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못해서 스승이 멀리 있어서 만나지 못했고, 만나려 해도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어서 물어볼 수도 없었다. ....그런 상황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 <讀書百遍意自見> 이었다. ...이것은 스승이 제자에게 할 수 있는 이야기였었다....스승이 이런 이야기만 한 것이 아니었다...뭔가 전달하고자 했을 때 그 전달하려는 내용을 글로 남겼는데, 이 때 스승이 자신의 글쓰기에 지킨 원칙이 있었다...이것이 바로 < 首尾相關> 이었다. ....현대식으로 번역하면 <일관성>을 지켜서 내가 글을 쓸 테니, 내 글을 읽고자 하는 자는 100번은 읽어보라는 것이었다.....
증산께서도 그런 말씀을 하셨다.
(참고)
교법 2장 26절 상제께서 항상 말씀하시기를 “서전 서문(書傳序文)을 많이 읽으면 도에 통하고 대학 상장(大學上章)을 되풀이 읽으면 활연 관통한다” 하셨느니라. 상제의 부친께서는 말씀하신 대로 많이 읽지는 못하였으나 끊임없이 읽었으므로 지혜가 밝아져서 마을 사람들의 화난을 덜어 준 일이 많았도다.
...............................
이 구절에 <지혜(=智)> 라는 단어가 보인다....
(1) 많이 읽지는 못하였으나 끊임없이 읽었으므로
(참고)
교법 2장 26절 상제께서 항상 말씀하시기를 “서전 서문(書傳序文)을 많이 읽으면 도에 통하고 대학 상장(大學上章)을 되풀이 읽으면 활연 관통한다” 하셨느니라. 상제의 부친께서는 말씀하신 대로 많이 읽지는 못하였으나 끊임없이 읽었으므로 지혜가 밝아져서 마을 사람들의 화난을 덜어 준 일이 많았도다.
................................................................
성사의 부친께서는 "성사께서 당부한 대로 많이 읽지는 못하였으나 끊임없이 읽었으므로, 그 덕택에 지혜가 밝아져서 마을 사람들의 화난을 덜어 준 일이 많았도다. " 라고 기록되어 있다... 최소한 다른 이들의 화난을 덜어줄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글은 성서의 어느 구절에서도 보여진다...
(성서의 어느 구절)
Be joyful always
pray continually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2) ' 知人'
교운 1장 30절 상제께서 정미년 섣달 스무사흘에 신 경수를 그의 집에서 찾으시니라. 상제께서 요(堯)의 역상 일월성신 경수인시(曆像日月星辰敬授人時)에 대해서 말씀하시기를 “천지가 일월이 아니면 빈 껍데기요, 일월은 지인(知人)이 아니면 허영(虛影)이요, 당요(唐堯)가 일월의 법을 알아내어 백성에게 가르쳤으므로 하늘의 은혜와 땅의 이치가 비로소 인류에게 주어졌나니라” 하셨도다. 이때 상제께서 일월무사 치만물 강산유도 수백행(日月無私治萬物 江山有道受百行)을 가르치고 오주(五呪)를 지어 천지의 진액(津液)이라 이름하시니 그 오주는 이러하도다.
新天地家家長歲 日月日月萬事知
侍天主造化定永世不忘萬事知
福祿誠敬信 壽命誠敬信 至氣今至願爲大降
明德觀音八陰八陽 至氣今至願爲大降
三界解魔大帝神位願趁天尊關聖帝君
............................................................................
<日月無知人虛影> 에 관한 해석을 성사께서 몸소 해주셨다....그 해석은 아래와 같다.
(아래)
일월은 지인(知人)이 아니면 허영(虛影)이요,
무슨 이야기냐 하면 ' 無知人' 을 ' 지인(知人)이 아니면' 이라고 해석을 하라는 것이다...이것을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지 말라는 뜻이다......이것은 무지하게 중요한 이야기다.......왜냐면 다른 구절(예를 들자면, 知面이 들어가 있는 구절)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글줄이나 한다고 자부하는 사람들은 이것을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아니면 너무나도 중요한 순간에 삼천포로 빠진다.....
해석을 아무렇게나 하면?....연관된 구절이 뭔지조차도 모른다...이것은 <先後> 를 모르는 것과도 같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참고)
교운 1장 56절 어느 날 상제께서 형렬에게 대학에 있는 우경일장을 외워주시니 그 글은 다음과 같도다.
蓋孔子之言而曾子述之 其傳十章 則曾子之意而門人記之也 舊本 頗有錯簡 今因程子所定而更考經文 別爲序次如左
교운 1장 29절 또 형렬에게 말씀하시기를 “성인의 말은 한 마디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나니 고대의 자사(子思)는 성인이라. 위후(衛侯)에게 말하기를 약차불이 국무유의(若此不已 國無遺矣)라 하였으되 위후가 그 말을 쓰지 않았으므로 위국(衛國)이 나중에 망하였다” 하셨도다.
첫댓글 https://www.youtube.com/watch?v=TMN43-wb5WI
PLAY
아무리 전경책에서 무엇을 찾는다고는 하나 가장 키 포인트가 눈에 들어오질 않으면 않된다고 봅니다 박우당 도전님께서도 상제님 이시다 세분하느님이란 표현을 상도에서도 많이 하던데 세분하느님 즉 삼신상제님 때가 되면 오픈을 할테니 ~박우당 도전님께서도 상제님이 들어가는 신위가 맞다고 하니 눈이 번쩍 뜨이시죠 구미도 당기시고 여기서 질문을 ~종단대순진리회는 불교신자들이 아니죠 서가여래 하감지위로 계속하면서 폐위 아니라고하여 미륵세존 하감지위로 미륵이란 하느님을 상징을 않하죠~ 유불선 도통신들이 각기 닦은바에 따라 도통을 열어주시는데 자 보세요 불교한테만 열어 주시는것이 아닌 삼대 성인들이 인정을 해야만 도통을 열어 주시므로 상제님으로 오셨다고 모셔져야 인정을 유불선 도통신들이 인정을 하신다는 것이죠
^^ 도주께서 우당께 " 너는 상제가 아니다" 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박우당 도전님께 모셔지는 신위는 조정산 옥황상제님께서 내려주시는 것이 아닌 ~대두목과 삼대 성인들과 도통신들이 함께 신위를 모셔드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삼신 상제님 ~삼신 상제님은 증산도에서도 인정을 한다 다르게 풀이를 하므로 문제지만 대두목은 혼자서 도통을 내려주시는것이 아닌 유불선 도통신들이 함께 내려 주신다는 것이다
도통을 하는 방법을 대두목에게 보내리라 도통이 될때는 유불선 도통신들이 각기 닦은바에 따라 열어주리니~자 그러므로 대두목은 아무나 한다고 되는것이 아니고 불교에만 치우침에 연원은 아니다는 것이다 기독교 천주교 이 세상에 모던 종교를 아우럴수있는 삼신께서의 연원을 바르게 밝히는 것이다
삼신께서는 다 상제님으로 오셨고 또한 대선생님으로 오셨고 그리고 미륵으로 오셨습니다 삼신께서는 도통을 내려주시는 주체자이시므로~믿거나 말거나 ~
앞으로 포덕은 ~스님 목사님 신부님 수녀님 이런분들을 포덕을 할수가 있는 실력이 있어야겠죠 맹목적인 과잉 충성심에 따라가는 수도인은 시간과돈만 낭비할뿐 남는것이 없다 그래서 앞으로는 교회도 가보고 절(사찰)에도 가보고 성당도 가보고 다 가봐야겠다 ~건달 생각~
이러한 본문을 작성하려면
우선 기본적으로 긴시간 道에 몸을 담고
깊은 연구와 방대한 자료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제님께서 말씀하신 깊은 뜻을 한가지라도 전달하려고 고뇌해서 글을 쓰신 흔적이 여실하다.
과연 이러한 수준있는 본문 내용을 공들여 쓸 수 있는 수도인이 얼마나 될까?
미안하고 송구하다.
본문 내용과는 전혀 무관한 내용들이 댓글로 도배를 한다. 도배하여 쓰는 내용도 정말 수준이 많이 떨어진다.
格이 다르다는 것이다.
경전에 있는 내용을 정확하게 인용하는 법도 없다.
대충 생각나는대로 인용한다.
'아'와 '어'가 다르다.
특히 道家에서는 점하나 콤마하나 단어하나 한문의 선택에도 뜻이 크게 바뀐다.
단어의 맞춤법도, 띄어쓰기도 엉망이다.
까페에서 자료를 찾아보면 새길학당 자료가 나올때 막말로 창피하다.
이건 아니다.
살을 베어내는 아품이 있어도 품격을 유지해야 한다.
어째서 당주는 그냥 보고만 있는지?
이해가 안간다.
좀 수준이 있어야 수준있는 수도인들이 들어와 신선한 토론과 논쟁이 이루어질텐데~~
내가 본문을 쓰거나 댓글을 정성스레 달아도
쓰레기가 되는 느낌이다.
새길학당의 목표는 모든 "금기"를 제거해 진실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때론 어설픈 글이나 댓글이라도 가능한 제재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합니다. 마음에 안드는 댓글러에겐 납득이 갈만한 팩트를 제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는 증산께서 말한 "묵은 세간살이"를 "새 세간살이"로 갈아 엎는 일이기도 합니다.^^
(타 종단 카페를 보면 앵무새들의 놀이터와 같습니다. 그런 점에서 새길학당은 특별함이 있습니다. 혹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은 너그러운 아량으로 잘 다독여 주시길 바랍니다.)
^^ 그러한 고충은 이해합니다만.....
"묵은 세간살이" 와 "새 세간살이" , 그 이전에......욕지거리 하거나, 근거없이 비방하는 일들은 없어져야 합니다.......
앞으로는 그러하기를 앙망^^....합니다...
지금까지 이 곳에서 글을 쓰면서,,,,유일하게 그렇지 않은 상황을 딱 한 가지 보았습니다.....
그런 움직임이 있을 때, ......
시작해볼만 합니다....그런 것이 아니라면?....쥔장의 <자기합리화> 일 뿐입니다......
기대해보겠습니다....
@far-reaching spirit 😆😃😗 넹
허기사 아님 말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