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주인공(곽도원)의 직업은 왜 하필 경찰인가?
마을에 다양한 직업을 가진 주민들이 있지만 왜 하필 주인공의 직업이 '경찰'인가?
경찰은 피의자, 피해자의 진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이 사람의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 자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합리적인 '의심'을 해야만 하는 존재이죠.
'의심'이라는 현혹을 벗어나기 가장 힘든 직업 중 하나가 바로 '경찰'인 것입니다.
나홍진 감독이 곡성이라는 영화를 만든 이유는 '불행은 왜 특정 사람에게 일어나는가?'라는 의문에서부터라고 합니다.
불행을 겪는 사람들은 모두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왜 하필 나인가?
그런데 갑자기 누군가 천재지변으로 사고를 당한다거나 죄를 짓지 않은 이가 불행을 겪는 것에는 이유가 없을 때가 많습니다.
그리고 나홍진 감독은 이성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이런 불행을 '악마의 장난'이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죠.
불행이 찾아오는 것에는 이유가 없고 질서가 없습니다. 즉, 불행은 '카오스(Chaos : 혼돈, 무질서)'적으로 찾아옵니다.
카오스적으로 찾아오는 불행에 사람들은 이유를 찾고 법칙을 찾습니다. 그것이 바로 '질서(Cosmos, 특히 질서 있는 시스템으로서의 우주)'이죠.
그리고 카오스 속에서 질서를 유지하려고 하는 직업이 바로 '경찰'입니다.
cf(참고). 우주를 이야기할 때 보통 영어로 3개의 단어가 있어요.
삼라만상(森羅萬象)이 존재하는 것으로서의 우주를 이야기할 때는 universe(그래서 모든 단과대가 있는 종합대학은 유니버스이고, 개별 단과대는 college라고 부릅니다), 공간으로서의 우주는 space, 질서로서의 우주를 cosmos라고 합니다.
곡성의 마지막 부분에 곽도원이 '아빠가 경찰이잖아. 아빠가 해결할 수 있어'라는 대사를 하면서
딸과 행복하게 보내던 예전 모습이 환상씬으로 나옵니다. 그런데 우리 모두는 그게 거짓말인 것을 알죠.
카오스적으로 찾아온 불행에 질서를 부여하는 경찰이라는 직업은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게 없었습니다.
2. 우리는 영화의 어디에서부터 현혹된 것인가?

제가 생각하기에 관객들이 나홍진 감독의 미끼를 덥석 '삼키게' 된 기가 막힌 장면은 경찰서에서 곽도원과 동료 경찰이 야근을 하는데 정전이 되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 전까지 우리는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들을 영화 속에서 보게 됩니다.
일본인이 마치 반지의 제왕 '골룸'처럼 동물들을 뜯어먹는 장면을 '소문'으로 전해듣죠. 바로 이게 중요합니다.
일본인이 동물을 뜯어먹는 것을 목격했다는 것을 건강원 주인에게 '소문'으로 들은 것을 머릿속으로 떠올렸을 뿐
우리가 직접 그 장면을 본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영상으로 본 장면은 정육점 주인의 묘사를 곽도원이 머릿속으로 떠올린 것이죠.
일본인에 대한 소문, 독버섯에 대한 소문에 대해 우리는 의심을 품습니다. 이것은 마치 나홍진 감독이 던진 미끼에
관객들이 '입질'을 하게 된 것과 마찬가지죠.
우리가 미끼를 삼키게 된 장면은 바로 경찰서에서 정전이 되는 장면입니다.
곽도원과 곽도원의 동료는 마을의 사고에 관해 이야기를 하면서 서로 겁쟁이라고 놀리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정전이 되고, 곽도원이 경찰서 정문을 바라보면서 소스라치게 놀라는 시늉을 합니다.
이 장면은 마치 곽도원이 동료 경찰에게 무언가 나타났다는 거짓말을 하면서 겁쟁이라고 놀리려는 것처럼 묘사됩니다.
그래서 관객들이 이 장면에서 빵 터지죠.
그런데 다음 장면이 반전입니다. 곽도원은 정전 상태에서 동료에게 거짓말을 하면서 놀라게 하려고 했던 게 아니라
진짜 빗속에 '깨할딱 벗은' 여자가 돌아다니고 있었거든요.
이 장면에서 웃은 사람들은 모두 나홍진 감독의 미끼를 덥썩 삼킨 것입니다.
우리는 의심을 하기 시작하고, '웃음'을 터트리며 거짓말이라 비웃지만
마을 사람들이 모두 믿지 않았던, 그리고 관객들 조차도 황당하다고 생각한 일본인의 '소문'은
처음부터 한 번도 거짓말이었던 적이 없습니다. 모두 진실이었죠. 그것을 의심한 것이 바로 '죄'입니다.
3. 이 영화의 최고 명대사 '와타시다'
인터넷을 보면 '아쿠마다'라고 적은 글을 볼 수 있는데, 곡성에서 실제로 일본인이 '와타시와 아쿠마다'라고 한 적은 없습니다.
'오마에가 와타시오 아쿠마다토 오모우노나라 와타시와 아쿠마다'
'네가 나를 악마라고 생각한다면 나는 악마다'라고 합니다.
그러면서 동굴로 찾아온 부제에게 자신의 손바닥에 있는 성흔을 보여주며 이렇게 이야기를 하죠.
너는 나를 악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여기로 찾아온 것이다.
그 증거가 바로 네 손에 들려있는 '낫'이다.
부제의 행동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부제는 성물을 간직하고 낫을 들고 일본인을 찾아갑니다.
악마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악마를 퇴치할 물건들을 지니고 간 것이죠.
이미 부제가 일본인에게 '너는 무슨 존재냐'라고 묻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부제는 이미 일본인을 악마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마지막에 기가막힌 대사가 나옵니다.
'와타시다'
'나다'
일본인은 자신을 '신이다', '악마다' 이렇게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와타시다(나다)'라고 하죠.
즉 상대방에게 묻는 것입니다.
'나다' 네가 보기에 나는 무엇이냐? 네가 나를 신이라 생각하면 나는 신이고, 네가 나를 악마라 생각하면 나는 악마다.
'나다(와타시다)' 네가 생각하기에 나는 무엇이냐?
외지인이 부제에게, 그리고 관객들에게 묻는 것이죠.
'카미(신)다', '아쿠마(악마)'다'라고 이야기 하지 않고
'와타시다'라고 했기 때문에 이 대사가 명대사인 것입니다.
4. 무명은 왜 주인공(곽도원)에게 돌을 던지나?

무명은 살인 사건이 일어난 집 앞에 갑자기 다른 동네에서 불쑥 찾아온 것처럼 나타납니다.
마치 동네 '미친년'같은 꼴을 하고, 곽도원에게 계속해서 돌을 던지죠.
무명은 돌을 던지며 점점 곽도원에게 가까이 다가갑니다. 그렇게 한참 시간이 흐른 뒤까지도 무명은 곽도원에게 돌을 던지고 있었고
관객들은 이 장면에서 웃음을 터뜨립니다.
그런데 왜 하필 무명은 주인공에게 '돌'을 던지고 있었을까요?
그것도 한두 개가 아니라 곽도원의 주변에 돌 무더기가 생길 정도로 말이죠.
이 영화에서 주로 모티프로 삼고 있는 것은 기독교와 무속신앙입니다.
무명은 마을을 오랫 동안 지켜온 지신(地神)으로 묘사됩니다.
주로 무명으로 상징되는 것들이 장승, 마을의 커다란 나무이죠.
무속신앙에서 사람들은 마을의 커다란 나무를 마을을 지켜주는 신령으로 여겼고
길을 오가며 축원을 담아 돌을 던졌습니다.
이렇게 사람들이 하나, 둘씩 던지며 쌓인 돌 무더기가 바로 서낭당의 상징이죠.
마을의 지신인 무명은 사람들이 자신의 앞에 돌을 하나 둘씩 던져 돌 무더기를 만들며 축원했듯이
'미끼를 문' 곽도원에게 축원이 담긴 돌을 던지며 보호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첫댓글 막짤 천우희 존예
많은사람들이 와타시와 아쿠마다라고 했다고 말하더라구요
그런 대사를 한적이없는데
그냥 귀신영화라고 보면 재밌고 범죄영화처럼 파고들면 잼없는 영화. 너무 말이 안되는 것들이 많죠
공감 안되는 부분이 몇군데 보이네요...사냥꾼 부분만 해도 외부인 이상한짓(?) 하는거 직접 경험했고 외부인이 짐승짓 하는건 곽도원도 직접 봤고 꿈인줄 알았는데 천우희가 그거 꿈아니라고 이야기도 해줬구먼..멀 상상만 한거래요..ㅋㅋ 다시써요
건강원 주인이 외부인이 동물을 뜯어먹는 걸 보았다고 이야기를 하고 그것이 '소문'으로 돌죠.
그리고 사람들은 건강원 주인의 말을 믿지 않습니다.
그래서 건강원 주인과 산으로 다시 올라가고, 거기에서 건강원 주인이 벼락을 맞죠.
영화 초반부에 외지인이 동물을 뜯어먹는 장면은 실제 건강원 주인의 1인칭 시점으로 담아낸 장면이 아닙니다.
@Yashin 얼레??? 건강원 쥔장이 경험한걸 관객에게 보여줫고 이후에 정육점 쥔장이 곽도원에게 이야기 한거죠. 불탄집에서는 곽도원이 직접 경험한건데 꿈인줄 알았두만 천우희가 거 꿈 아니라고 말해줬구요...영화 더보고 다시 써요ㅋㅋ
오오
그래서 누가 악마임??
민비 ?
좋은 해석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