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년 동안 나를 지켜준 시 ]
시장에서 30년째 기름집을 하는 친구가 있습니다.
고추와 도토리도 빻아 주고, 떡도 해 주고, 참기름과 들기름도 짜 주는 집인데, 사람들은 그냥 기름집이라 합니다.
그 친구의 가게 문을 열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게 있습니다.
달력? 가족사진? 아니면 광고? 궁금하시지요?
빛바랜 벽 한 가운데 시 한 편이 붙어 있습니다.
그 시가 윤동주의 <서시> 입니다.
시장에서 기름집을 하는 친구가 시를 좋아한다니? 어울리나요? 아니면?
어느 날, 손님이 뜸한 시간에 그 친구한테 물었습니다.
" 저 벽에 붙어 있는 윤동주 '서시' 말이야. 붙여둔 이유가 있는가? "
" 으음, 이런 말하기 부끄럽구먼."
" 무슨 비밀이라도? "
" 그런 건 아닐세. 손님 가운데 말이야. 꼭 국산 참깨로 참기름을 짜 달라는 사람이 있어. "
" 그렇지. 우리 아내도 국산 참기름을 좋아하지. "
" 국산 참기름을 짤 때, 값이 싼 중국산 참깨를 반쯤 넣어도 손님들은 잘 몰라. 자네도 잘 모를 걸. "
"......"
" 30년째 기름집을 하면서 나도 사람인지라, 가끔 욕심이 올라올 때가 있단 말이야,
국산 참기름을 짤 때, 중국산 참깨를 아무도 몰래 반쯤 넣고 싶단 말이지.
그런 마음이 나도 모르게 스멀스멀 올라올 때 마다,
내 손으로 벽에 붙여놓은 윤동주의 <서시>를 마음속으로 자꾸 읽게 되더라고. "
"....."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이 구절을 천천히 몇 번 읽고 나면 나도 모르게 시커먼 욕심이 사라지고 마음이 맑아지는 것 같아.
그러니까 30년 동안 이 시가 나를 지켜준 셈이야.
저 시가 없었으면 양심을 속이고 부자가 될 수도 있었는데. 하하하."
그 친구와 헤어져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나도 모르게 그 친구가 좋아하는 시 한구절이 생각났습니다.
"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시와 시인을 뽑는다면 최상위권에 항상 들어가는 시가 바로 '서시'와 '윤동주'가 아닐까 싶습니다.
삶에 대한 순수한 성찰을 바탕으로 부끄러움을 노래하며 미래의 삶의 실천을 노래한
그의 시는 내용에 어울리는 순수한 단어의 상징과 어조로 누군가의 마음에 깊이 울리게 됩니다.
특히, 오늘 다룰 서시에서는 별과 바람을 이용한 상징을 통해 시인이 바라는 삶의 모습을 노래하는 데요.
시를 읽은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에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윤동주, 「서시」
1~4행까지는 시인이 가진 소망과 과거의 삶의 모습이 드러납니다.
한 점 부끄럼없기를 바라는 시인이기에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합니다.
여기서 잎새에 이는 바람은 시인의 마음 속에 이는 내적 갈등으로 이런 심리적인 동요만으로도
괴로워할 만큼 시인은 이상적인 순수한 삶을 바라며 자신을 성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8행에서는 미래의 삶에 대한 다짐이 드러납니다. 별이라는 순수한 이상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것들을 사랑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즉, 자신이 목표한 삶을 살아가겠다는 의지가 드러나는 것이죠.
마지막 9행에서는 현실이 드러납니다. 이상적인 삶을 바라는 화자지만 현실은 부정적이고
별은 바람이라는 시련에 노출된 상태입니다.
이렇게 부정적 상황이기에 화자는 더욱 순수한 삶을 살고자 다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렇게 해서 대립적인 이미지의 상징을 이용해 주제의식을 제시하고
과거 - 미래 - 현재의 순서로 시상을 전개해 시인은 '순수한 삶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출처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