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조국·한동훈 10월 보궐선거로 '중간평가' 받는다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10월 재보선이 치러지는 기초단체는
고(故) 김재윤 전 구청장이 별세한 부산 금정구,
고(故) 유천호 전 군수가 별세한 인천 강화군,
현직 군수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무효 처리된 전남 영광·곡성군 등 4곳입니다.
이 중에서 인천·부산은
국민의힘의 강세 지역, 전남 2개 군은
야권의 텃밭으로 분류됩니다.
99.9%의 득표율로 연임에 성공한 조 대표는
일찌감치 보궐선거가 예정된
전 지역에 후보를 내겠다고 선언했답니다.
조 대표는 90%대 득표율로 사실상 연임을 결정한
이 전 대표와 호남에서 야권의 잠룡 자리를 두고
맞대결을 펼칠 전망입니다.
반면 한 대표는
'잘해야 본전'인 수성전을 앞두고 있습니다.
한 대표는 야당 대표들과 달리
당을 완벽히 장악하지 못한 상황인데요.
친윤계와 친한계의 계파 갈등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한 대표가 텃밭에서 치르는
10월 보궐선거를 패배한다면
22대 총선에 이어
선거 2연패의 위기에 직면하는 상황인데요.
이는 전당대회 이후 로우키를 유지 중인
친윤계에 반격의 틈을 내줄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10월 보궐선거의 격전지는
전남 곡성과 부산 금정으로 보입니다.
국민의힘의 텃밭인 인천과 부산 가운데
부산 금정구가 격전지인 이유는
최근 선거 추이 때문인데요.
민주당계 후보는 1998년 지방선거를 끝으로
인천 강화군수 선거에서 한 번도 당선되지 못했답니다.
역대 총선 결과도 여당 강세를 증명합니다.
21대 총선 당시 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에서
배준영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후보(50.28%)와
조택상 민주당 후보(47.64%)의 득표율 격차는 2.64%.
강화군의 결과만 보면 배 후보(60.89%)와
조 후보(36.94%)의 득표율 격차는 23.95% 차이가 납니다.
22대 총선 당시 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에서
현역인 배준영 국민의힘 의원(54.99%)과
조 후보(43.89%)의 득표율 격차는 11.10%입니다.
강화군의 결과만 보면 배 의원(63.25%)과
조 후보(35.74%)의 득표율 격차는 27.51%인데요.
4년 전에 비해 강화군에서 양당 후보의 격차는 더 커졌답니다.
금정구는 김세연 전 의원과
그의 부친인 고(故) 김진재 전 의원이
도합 7선을 달성한 지역구입니다.
역대 총선에서 민주당계 후보는
단 한 번도 당선되지 못했지만
아래 표를 보면 민주당계 후보들의 득표율은
점차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답니다.
22대 총선 당시 부산 금정에 도전한
박인영 민주당 후보는 21세기 민주당계 후보
역대 최고 득표율(43.37%)을 기록했답니다.
양당 후보 간 득표율 격차도 13.25%로
16대 총선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답니다.
그럼에도 금정구가
국민의힘의 텃밭인 점은 분명합니다.
역대 금정구청장 선거에서
국민의힘계 정당 후보는 9번 중 8번을 승리했는데요.
다만 민주당도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정미영 전 구청장이 당선되면서
대이변을 일으킨 바 있답니다.
현재 금정구청장 보궐선거 출마설이 나오는
민주당 후보군은 박인영 전 부산시의회 의장,
정미영 전 구청장, 정종민 전 부산시의원 등입니다.
이 중에서 박 전 의장과 정 전 구청장은 금정구에서
성과를 낸 후보인 만큼 본선 경쟁력도
담보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민주당 내 집안싸움이
본선보다 치열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답니다.
경남 양산과 가까운 금정구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22대 총선에서
지원사격에 나설 정도로 친문계(친문재인계)의
영향력이 건재한 지역구 중 하나입니다.
다만 22대 총선에서 문 전 대통령이
지원 유세에 나선 PK(부산·경남) 지역 11곳 중
9곳이 패배하면서 친문계의 입지도 줄어드는 추세인데요.
최근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경선에서
친명계(친이재명계) 이재성 후보가 당선되면서
세력 교체가 이뤄졌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답니다.
친문계가 다수인 기존 금정구청장 후보군 외에도
제3의 친명계 후보가 등판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본지에
"험지인 금정구에서 표 분산이라도 발생한다면
야권은 승리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답니다.
조국, 호남에서 이재명 꺾으면 대권 판도 '격변'
호남은 혁신당과
민주당의 맞대결이 펼쳐질 예정입니다.
지역 기반이 부재한 혁신당은
차기 지방선거 성과가 절실합니다.
혁신당 입장에서 10월 보궐선거의 성과는
2026년 지방선거의 약진을 위한
교두보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나아가 호남의 선거 결과는 이 전 대표와
조 대표의 차기 대권 경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22대 총선 당시 혁신당은 광주·전북·전남에서
민주당보다 높은 정당 득표율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총선 결과는 곧 호남이
민주당을 절대적으로 신뢰하지 않는다는 증거입니다.
따라서 혁신당도 10월 보궐선거에서
적극적인 민주당의 대안론을 펼칠 전망입니다.
역대 영광군수 선거는 9번 중 민주당계 후보가 6번,
무소속 후보가 3번씩 당선된 바 있고,
곡성군수 선거는 8번 중 민주당계 후보가 5번,
무소속 후보가 3번씩 당선됐답니다.
이 중에서 혁신당은 곡성군수 보궐선거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보궐선거는 민주당 소속 이상철 전 곡성군수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아 치러지는 만큼,
혁신당은 민주당의 귀책사유를 지적할 수 있습니다.
민주당은 기존 당헌에 따르면
곡성군수 보궐선거에 후보를 낼 수 없지만,
최근 당헌이 개정되면서 보궐선거에 후보를
추천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6월 당헌·당규를 개정하면서
'민주당 귀책사유로
재·보궐 선거 발생 시 무공천' 조항을 삭제했습니다.
그러자 정치권에서는 조국혁신당을 견제하기 위한
당헌 개정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답니다.
황현선 혁신당 사무총장은 지난 6월 기자회견에서
민주당의 당헌·당규 개정을 두고
"어떠한 이유에서든 민주당을 탈당한 사람들을
다 받아들이겠다는 것"이라며
"기초광역의원까지 다 입당하는 방식으로 가는 것인데,
조국혁신당을 원천 봉쇄해
뿌리를 내리지 못하게 하는 걸로 밖에
얘기가 안 된다"고 지적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