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수첩 852 - 공덕
♧♧♧
공덕이란 불공을 말하며
불공이란 삼보에 귀의하여
마음의 쌓음 좋은 댓가 공덕을 말하며
좋은 마음을 내어 그 힘으로 좋은 과보를
말하는 것을 공덕이라 말하고
좋은 마음이란 곧 직지인심 견성성불 하게끔
오직 상대방을 인도하게끔 힘쓰는 모든 방법
방편 신력 행동으로 상대가 견성 불성을 보아
자성이 부처임을 깨닫게만 하는 모든
작용 방편을 공덕이라 말한다.
복덕이란 무슨일을 하든지간에
마음밖으로 끄달려 바라는 것을
댓가성 기복 복덕이라 하여
바라는 맘이 있으면 모든거 공덕이 없고
베풀어도 바라는 맘이 없이 삼보에 관련있게
베푸는 가장 좋은 베품을 공덕이라 말한다.
삼보에 벗어난 베품을 기복 복덕이라 말하고
삼보에 관련이 있어 오직 자성 깨달음 위해
먹고 자고 쓰고 또한 상대에 오직 깨달음
위해 베푸는 것을 공덕이라 말한다.
즉, 오직 깨달어야 공덕이 있지
깨달음 위하지 않는 것은 공덕이 없다 말하고
복덕 댓가성만 쌓은 마음밖에 것들은
공덕이 아니고 복덕이라 말한다.
천만 마음 밖 복덕을 쌓아 가져도(돈, 명예, 권력등)
마음 안 깨달음을 하나 갖는거보다 못하다.
불공덕 깨달음 위해 지은 힘씀
공덕을 말한다.
복덕은 한없이 윤회 갖어도 한 공덕은
윤회를 끊는 영원한 대자유 공덕이다.
욕을 얻어 먹어도 기복 복덕이 아닌
마음 안 공덕을 많이 쌓아야 한다.
그렇게 실천해야 허접하지 않는
즉, 세속 속되지 않는 사람이라 한다.
머리를 깎어도 세속적인 복덕을 쌓는
사람들이 수두룩하다.
오직 깨닫게 하고 오직 깨달음을 구해야
하는 일이 공덕이 있다 말한다.
깨달음을 구하지 않고 돈, 명예, 권력에 빠져
사는 중들을 복덕중이라 말한다.
마구니승이라 한다.
마고 할미는 절 입구에 시기, 질투, 투쟁,
오기심이 꽉찬 사람들을 잡아 먹는
도깨비를 말한다.
깨달음을 구하지 않는 사람들이
도깨비로 되기 쉽다 한다.
우리나라는 깨달음을 구하지 않고
끝없이 마음 밖 시기, 질투, 투쟁,
돈, 명예, 권력에 한없이 세월을 보내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생각한다.
--- 2019.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