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5.25 관공서와 청년 등 국민 주거공간이 함께하는 첫 번째 다기능 복합건물 준공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64280&menuNo=4010100
관공서와 청년 등 국민 주거공간이 함께하는 첫 번째 다기능 복합건물 준공 |
- 영등포・남양주에 ‘정부청사+청년주택+편의시설’ 복합건물 개관 - 2030세대와 함께 청년・신혼부부 주거부담 완화 논의 |
정부가 국유지에 관공서와 청년주택, 편의시설까지 포함시킨 첫 복합건물이 5.25(목) 서울 영등포와 경기 남양주에 동시에 개관하였다.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734㎡ 국유지에 지은 지상 14층 영등포 복합청사 건물에는 1~2층에 근린생활시설, 3~7층에는 선거관리위원회 청사, 8~14층에는 63세대의 청년주택이 들어서서 면적기준으로 45%는 정부가, 55%는 국민들이 사용한다.
경기 남양주시 다산동 5,330㎡ 국유지에 2개 동으로 건축된 남양주 복합청사 건물에는 남양주 선거관리위원회와 통계청 구리사무소가 건물면적의 46%를 사용하고, 청년주택 74세대와 근린생활시설로 구성된 54%를 국민들이 활용한다.
두 곳의 복합청사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447억원을 투입하여 건축하고 34년간 임대료 수입으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위탁개발사업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이날 준공식에서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은 국유지에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주택을 2029년까지 3,200호를 공급하고, 특히 청년 창업인을 위해 업무공간과 주택을 같이 짓는「주거․사무 일체형 청년주택」을 신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준공식 후에 최 차관이 참여한 기획재정부와 청년세대 간담회에서 청년들은 청년 및 신혼부부 등의 주거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의 대책을 주문하였다.
최 차관은 청년주택 정보 공유 체계화, 생애주기에 맞춘 다양한 주거 시설 제공, 주거 약자를 위한 법률적 보호 등을 잘 가다듬어 앞으로 마련할 청년정책에 반영하겠다고 표명하였다.
담당 부서 | 기획재정부 국고국 국유재산조정과 | 책임자 | 과 장 | 정동영 | (044-215-5250) |
담당자 | 사무관 | 송재경 | (jksong14@korea.kr) |
참 고 | | 「나라키움 남양주·영등포 복합청사」사업 개요 |
□ [남양주 복합청사] 비축토지를 활용하여 남양주시 선관위, 경인지방 통계청 구리사무소와 근생시설 및 행복주택을 261억원을 들여 개발
구분 | 내용 | 투시도(안) | 소재지 | 경기 남양주시 다산동(舊가운동) 672 | | 토지 정보 | 제2종일반주거, 지구단위계획, 공공시설용지, 부지면적 5,330㎡ | 규모 | 10,398㎡ (지하1층 / 지상5층) | 세부 용도 | 구 분 | 면적(㎡) | 비율(%) | 공공청사 | 4,770 | 45.9 | 근린생활 | 1,228 | 11.8 | 공공주택 | 4,399 | 42.3 | 합 계 | 10,397 | 100.0 |
공급대상 | 전용면적 | 공급호수 | 월임대료 | 보증금 | 대학생 | 17㎡ | 24 | 145천원 | 33,100천원 | 청년 | 17㎡ | 18 | 145~154천원 | 33,100~35,100천원 | 주거급여 | 17㎡ | 2 | 128천원 | 29,200천원 | 고령자 | 27㎡ | 6 | 256천원 | 58,400천원 | 신혼·한부모 | 36㎡ | 24 | 368천원 | 83,900천원 |
* 주변 임대 시세 대비 68%~80% 수준 □ [영등포 복합청사] 기존 영등포 선관위 청사를 영등포·동작구선거관리위원회와 근생시설 및 행복주택으로 186억원을 들여 개발
구분 | 내용 | 투시도(안) | 소재지 |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 121-103 | | 토지 정보 | 제3종일반주거지역, 일반상업지역 부지면적 734㎡ | 규모 | 5,996㎡(지하2층/지상12층) | 세부 용도 | 구분 | 면적(㎡) | 비율(%) | 공공청사 | 2,737㎡ | 45.4% | 근린생활 | 767㎡ | 12.5% | 공공주택 | 2,492㎡ | 42.1% | 합계 | 5,996㎡ | 100% |
공급대상 | 전용면적 | 공급호수 | 월임대료 | 보증금 | 대학생 | 19~21㎡ | 37세대 | 208~222천원 | 49,900~53,200천원 | 청년 | 21㎡ | 14세대 | 222~235천원 | 53,200~56,300천원 | 고령자 | 20~29㎡ | 12세대 | 245~355천원 | 58,900~85,200천원 |
* 주변 임대 시세 대비 68%~80% 수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