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훌리건 천국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 공노비/사노비정보게시판(열람) [공무원] 9,7급 공시생들에게 수험공부 이외의 조언을 해보고자 합니다.
파닭 추천 0 조회 8,741 15.06.26 22:41 댓글 1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8.01.25 11:28

    어디에서 들었는데 서울시로 인사교류하면 한 계급 낮게 가야한다던데 사실인가요?

  • 작성자 18.01.25 11:29

    금시초문
    일부 시군의 경우 강임해야만 받아주는 곳들 있음(안양시 등 해당 시군 노조 강성한 곳)

  • 18.01.30 14:24

    파닭님 질문과 조언을 구할수있을까 싶어서 댓글남깁니다.24살 지거국다니고 7급을 목표로하는데 공부를 어떻게 해야될지 고민입니다.
    우선 한국사 행정법 행정학(전한길 써니 김중규) 개념강의 완강을 했고 국어 영어는 아직 시작안했습니다. 경간부도 생각했어서 한국사 행정학만 공부했었고 행정법은 어제 써니 개념강의 완강했습니다. 국어 베이스는 한자강의 들은적 있고(김병태) 영어 베이스는 토익RC 430입니다. 목표가 7급이라 9급을 합격한 뒤 헌법 경제학을 공부할지 즉 5과목 개념 기출 여러번 돌리고 헌법 경제학 들어가는게 낫겠죠? 올해 우선 국가직 지방직 서울 9급 다 칠 계획은 있습니다. 다만 지금 학교를 다니고있는중이라

  • 18.01.30 14:24

    학기중에 시간확보를 못할것같은게 좀 걱정입니다.. 우선 일단 2월달에는 국어 개념강의와 영어 문법강의 완강하고
    한국사 행정학 행정법 기출 조금씩 풀 생각입니다.. 혹시 파닭님 제 공부방향이나 그런것 조언 가능할까요?
    마지막으로 지방직7급을 위해서 경제학을 버리고 자치론만 공부하는것은 너무 도박일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작성자 18.01.30 19:31

    1.목표가 7급이면 처음부터 7급 공부해야함. 9급 붙고 나서 7급 공부한다는 건 아름다운 계획이나 현실에서 9급 붙고 7급 공부하기가 좀 어려운 게 아님. 국가직 220명 지방직 15명 포함 한 해에 연이어 9, 7급 붙은 사람들은 종종 봤으나 9급 붙고 나서 1년 더 공부해서 7급 붙은 사람 본인 제외 한 명도 못 봄. 학교 다니면서 붙기도 생각보다 쉽지 않음. 학교까지 오가는 시간, 학교에서 잡아먹는 시간, 지인과 공유하는 공간에서의 공부로 인한 부대시간 소요 등 온전히 공부하는 시간 확보가 어려움.
    2.제발 지방직 7급 보겠다고 경제학 공부 접고 자치론 한다는 얘기 안했음 좋겠음. 물론 내 동기 중에서도 2명 있긴 함. 헌데 예외에 속함.

  • 작성자 18.01.30 19:33

    @갓군 지방직 7급은 어디까지나 번외경기임. 기본적으로 국가직에 초점을 맞추고 공부해야 함. 아무리 많이 몰린다 해도 많이 뽑는 쪽에 합격 확률이 더 높은 법임. 아울러서 경제학만큼 공부량 대비 80점 이상 확보가 수월한 과목이 7과목 중 없음. 경제학만큼 기출문제'만'을 '외우기만해서' 80점 받을 수 있는 과목이 없음. 경제학을 이해하려 하면 안됨. 시중 경제학 문제집 다 풀어보면 공무원 7급 경제학이 매우 굉장히 가장 대단히 쉬움. CPA나 세무사 기출 이런거 풀어서 머리아픈 거고 이론강의 이해하려 하니 안되는거임. 더도 덜도 말고 딱 공무원 기출 '암기'할 수 있을 정도만 공부하길 바람. 그럼 80점 맞음.

  • 작성자 18.01.30 19:38

    @갓군 경제학 80점 맞았다 하면 떨어진다 해도 그건 경제학 때문이 아닌 다른 과목에서 못받쳐줘서인 거임. 공부시간 대비 가장 80점 확보가 쉬운 과목이 경제학이고, 여기서 한 문제 찍어 맞음 85점으로 적어도 경제학 때문에 떨어진다는 소리는 안나옴.
    3.개인적으로 학교 다니면서 할 생각 말고 어차피 공무원 시험 볼거라면 학교 휴학하고 공무원 시험에 온전히 매진하는 시간을 갖길 바람. 나도 학교 다니면서 공부해봤는데 그것도 학교 휴학하고 공부해놔서 9급 붙여 놨으니 계속 한거지 아니었음 엄두도 못냄.
    제대로 공부한 2시간>>>>>>>>이거저거 신경쓰며 몰입하지 못하고 공부한 8시간임.

  • 18.01.30 21:17

    @파닭 파닭님 정성스러운 댓글 정말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럼 일단 국어 기본강의와 영어 기본강의 (영어는 문법짧은요약강의만 들을생각입니다) 들으면 어느정도 5과목 개념인강은 완료되는데 그다음 헌법 경제학 이런 순서대로 개념 추가하라는 말씀이시죠?
    학교는 무조건 졸업을 해야되서.. 우선 다녀야할것같습니다... 과목은 헌법 행정법 그런거 학교에서 열리는거 듣고 복수전공이 경제학이라 원론이랑 미시들으면서 그렇게 진행할 생각입니다..

  • 18.01.30 21:18

    @파닭 공무원공부 해보니 양이 생각보다 너무 많아서 걱정이네요. 우선 개념돌리고 기출 바로 들어가면서 기출에 익숙하게 하면서 5월 지방직 (올해는 지방직이 땡겨져서) 6월 서울시 9급 평균 80~85 노려보려고 합니다.

  • 작성자 18.01.31 20:17

    @갓군 9급 시험 가까이 있어서 거기에 집중하고 싶은 마음은 이해함. 주변에 9급 떨어지고 7급 붙는 사람 수두룩함. 7급이 9급보다 어렵다? 글쎄 난 동의 못함. 9급 붙을 실력이면 7급도 붙음. 당장 눈앞에 시험에 맞춰 공부하기보다 애초 목적인 7급에 맞춰 공부하길 바람. 실제로 들어온 다음 후회하면 늦음. 학교도 다니면서 한다니 그냥 스트레스 받지 말고 천천히 공부하길 보다 권함. 지금은 몰라도 한 바퀴 공부 돌리고 난 다음 한 해 지나가면 무슨 말인지 알 듯. 심심한 격려를 표함.

  • 18.01.31 22:11

    @파닭 파닭님 정말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죄송한데 질문 좀 더 드려도 될까요? 문제풀이 강의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꼭 들어야되는지, 아니면 부족한 특정과목만 선택할지 고민되네요. 그리고 설레발적인 질문이지만 공무원 유예같은경우 1년이 최대인건가요? 그리고 유예하면 좀 안좋게본다는? 시선이 정말인지 궁금합니다. 계속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다.

  • 작성자 18.02.01 08:12

    @갓군 1.비추. 남이 푸는 문제 들을 필요도 없을 뿐더러 그 시간과 비용으로 문제집 사서 풀면 훨씬 더 효율적임. 요즘 시중에 문제집 전 지문 해설 달려있고 혼자 공부하기 대단히 좋음. 강의는 기본강의 외에는 무의미하다 생각.
    2.공무원 유예같은 경우 학업을 이유로 유예시 2년까지 가능. 아프거나 이런 건 제외하겠음. 유예하면 안좋게 본다는 건 수험생들이나 생각하는 거. 아무도 신경 안씀. 외려 나중에 본인이 후회함. 나도 학교때문에 계속 임용 뒤로 미뤘는데(고작해야 2달) 이제와서 후회중.

  • 18.02.02 00:39

    @파닭 파닭님 진심어린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