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 식문화의 문화적 다양성은 해외에서 온 음식들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
1. 어묵 연대기
어묵은 일본 어묵에서 유래 - 일본은 지역에 따라 그리고 제조 방식에 따라 어묵을 부르는 다양한 명칭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명칭이 '가마보코'다.
2. 대한민국 햄버거의 역사와 문화
햄버거는 구운 쇠고기 패티와 각종 야채가 빵 사이에 들어간 샌드위치 형태의 음식을 말함. 미국에서는 쇠고기가 들어가지 않은 것은 꼭 샌드위치라고 부른다.
한국의 햄버거는 해방이후 한국에 진주한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인도 아대륙/커리) 우리의 식탁에서 맛보는 인도 아대륙
카레(커리)는 인도에서 일본을 경유하여 한국으로 전파.
4. (중국/양꼬치) 낯섦과 문화의 장벽을 넘어온 양꼬치의 여행
오늘날 중국식 양꼬치의 원류가 된 것은 샤슬릭에 가까운 위구르 양꼬치
한국에는 연변을 중심으로 한 중국동포들이 한국으로 소개
5. (중국/마라탕) 한국 MZ세대의 위로 음식이 된 마라탕
마라탕은 마라 소스를 베이스로 하고 燙(탕)이라는 요리법을 합쳐 만든 음식으로, 마라소스를 잔뜩 넣은 국물을 다 마셔버리겠다는 생각은 금물. - 燙은 국물이라는 뜻이 아니고 '데우다, 데치다'는 뜻
대림동 순풍샤브샤브, 봉선마라탕이 유명
6. (베트남/쌀국수) 쌀국수 한 그릇에 담긴 베트남인의 삶과 이주
1975년 남베트남 패망 이후 베트남 난민에 의해 1976년 한국에 소개
7. (튀르키예/케밥) 중동 이주민의 위로 음식
케밥은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에서 구운 고기 요리를 부르는 말이다. 대표적으로 꼬치에 꾀어 굽는 시시 케밥, 고기를 세워서 굽는 되네르 케밥 등이 있다.
8. (태국/똠얌꿍) 한국에서 맛보는 시고, 달고, 짜고, 매운 맛의 조화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음식 문화의 다양성을 만든 한국 사회 내 이주민의 에스닉 푸드이면서 동시에 위로 음식인 외래 음식을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