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서는 2023년 5월 현재 . 고금리 상품이 없습니다.
물론 미국은 현재 고금리 상황이여서, 5% 금리를 MMT, 레포 시장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 잡설
(의문, 은행들이 저러한데 ,, FED는 레포를 통해 5%이상 이자를 주며 달러를 흡수 하고 있다는 점 ,, 그냥 알아서 망하라는 건지? 의도가 멀까 싶다....)
*/
문제는 금리가 인하되면 일일 금리로 적용하므로 금리가 바로 낮아집니다. 채권처럼 금리 인하할대 혜택을 주진 않음 .
대신 그냥 매일 이자를 주는 5%의 FED의 금리를 따라 운영하는 매일이자 주는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장점은 언제나 매도만 하면 끝납니다. 1년간 돈을 묶어두는 것이 아닌 매일매일 이자는 특징이나 매일 환율은 변동합니다.
국내에 SOFR 이라는 금융 상품이 생겼습니다. .
5월 1 6일 기준 5.09% 연 기준 이자를 제공 하는 국내 상장된 증권사 상품들 입니다. 전부 생겨난지 몇달 되지 않앗고 .
최근에도 증권사에서 서로 출시 하고 있습니다. 1빠 kodex 삼성 2빠 미래에셋 . 3. 4. . 5 등 ..
문제점 딱하나 (합성) ETF 로 . 원금 보장성은 약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인이 직접 달러로 미국의 MMT 단기 시장에 돈을 굴릴 수 없습니다. 그걸 해결 해 주는 상품입니다. ~ ~ . 아니 국내 큰은행갔더니 . 이자가 연 3% 입니다. .. 당연히 5% 라면 눈이 가지요 .
거기다가 달러로 이자를 줍니다. !! 물론 환율 차이에 따른 손실이 날 수 있습니다 .
대한민국 자본의 울타리를 잠시 넘어다볼 수 있는 상품들이라 생각되어 글 남겨 봅니다. .
저도 진작 알앗다면 . 좋았을 것을 .. 시간 다 흐르고 알게 되었네요 . 직접 찾지 않으면 알 수 없습니다.
PS: 투자상품에 대한 권유가 아니며 투자에 따른 손실은 책임 지지 않습니다. 공부 하십시오~ 환율은 귀신도 모른답니다.
+ 이런건 사기꾼들이 몰랐으면 좋겠습니다. 뭐 이미 다 외국 나갔다더라는 카더라 소문만 무성합니다.
작금의 현재 상황에 인플레이션과 달러영향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연 5%? SOFR이 뭐길래”...40일만에 2000억 몰렸다. - 매일경제 (mk.co.kr)
첫댓글 그래서 미국내 머니 마켓펀드로 돈이 몰리고 있지요.
초단기 상품으로 안전하고 금리도 많이 주고요.
중소은행권 불안으로 예금이 빠지고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