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명(淸明)한식(寒食)의 由來(한국)
4월 5일은 청명,한식,식목일이 같은날이다,
이 청명 한식의 유래를 살펴보니
다음과 같은 유래가 있다.
24절기의 다섯 번째 청명(淸明)과 한식(寒食)
청명과 한식은 하루 차이거나 같은 날이어서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날은 조상의 산소에 성묘(省墓)를 갑니다.
옛날에는 한 해에 네 번,
그러니까 봄에는 청명, 여름에는 중원 (中元, 7월 15일),
가을에는 한가위, 겨울에는 동지에 성묘를 했지요.
≪동국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청명(淸明)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쳤다고 합니다.
임금은 이 불을 정승, 판서, 문무백관 3백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주는데
이를 사화(賜火)라 했다.
수령들은 한식(寒食)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 주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寒食)이라고 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온 백성이 한 불을 씀으로써 같은 운명체로서
국가 의식을 다졌다.
꺼지기 쉬운 불이어서 습기나 바람에 강한 불씨통(장화통:藏火筒)에
담아 팔도로 불을 보냈는데
그 불씨통은 뱀이나 닭껍질로 만든 주머니로 보온력이 강한 은행이나
목화씨앗 태운 재에 묻어 운반했다.
청명, 한식이면 나무를 심는데 특히, `내 나무'라 하여 아이를 낳으면
그 아이 시집 장가갈 때 농짝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었다.
연정(戀情)을 품은 아가씨가 있으면 그 아가씨의 '내 나무'에
거름을 주는 것으로 사랑을 표시하기도 했다.
청명은 일 년 중 하늘이 가장 맑은 날이라서
옛부터 청명에는 풋 채소와 산나물을 먹어야 좋다고 한다.
메마른 나무에 물이 오르는 시기이니 나무 심기에도 적격이다.
올 해는 청명이(4월5일)이며 한식과 함께 식목일이기도 합니다.
한식은 설,추석,단오 명절과 함께 우리민족의 4대 명절이 아닌가?
한식 날에는 조상님들에게 한식 차례를 올리기도 하고
산소가 헐벗었으면 산소에 새 잔디를 입히는 사초도 하고
조상님의 음덕을 기리기 위해
상석이나 비석을 세우기에도 더 없이 좋은 날이다.
특히나 한식 날은 " 손 없는 날" "귀신이 움직이지 않는 날"이라고 해서
이장을 해도 허물이 없는 날이라고 한다.
우리민족처럼 설,추석,한식,기제사,시제,벌초,사초등등
조상님들을 성심 성의껐 모시며 돌보는 민족도 흔치는 않을 것이다.
봄에 씨를 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수확의 기쁨을 맛보지 못하는 것처럼
조상님들이 계시지 않았다면 오늘 날 우리가 과연 존재할 수가 있겠는가?
오늘 날 우리가 호의호식 하면서 이렇게 잘 살 수 있는 것도
따지고 보면 이 모든 것이 조상님들의 음덕이다.
누구나 태어나면 자식이 되고 결혼하여 자식 낳으면 부모가 되기에
부모님의 은혜는 하늘보다 높고 바다보다도 깊다고 한다.
그러니 부모님의 은공을 모르면 금수나 다를바가 없질 않은가?
자식이 귀여워서 불면 날아갈까 만지면 꺼질까 애지중지 키워도
내가 부모님에게 효도를 다 하지 못 않으면 그 자식인들 효도를 알겠는가?
이번 한식날에는 만사 제쳐두고 조상님들 산소를 찾아가서
한 번쯤 돌보는 것도 좋은 일이 않을까?
청명(淸明)한식(寒食)의 由來(중국)
청명(淸明)은 24절기중의 한 날로서 중국 주(周)나라의 주공단(周公旦)이
쓴 주례(周禮)에 보면
“사관장행화지정령(司爟掌行火之政令) 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사관(司爟)이라고 하는 관리가 불에 관한 정령(政令)을
담당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주(註)를 보면 ‘봄에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에서 불을 취하고,
여름에는 대추나무와 살구나무에서 불을 취하고,
늦여름에는 산뽕나무와 뽕나무에서 불을 취하며,
겨울에는 박달나무와 느티나무에서 불을 취한다고 했다.
불을 취한다는 것은 옛날에는 나무와 나무를 마찰을 시켜 불을 일으켰다는 것이며,
이 불씨를 불을 관리하는 주관(主官)에서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이날부터 농촌에서는 농사준비를 하는 절기(節氣)이고,
양력 4월 4~5일에 들며 음력으로는 2월 말인데, 어떤 때는 3월에 들기도 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청명(淸明)다음날을 한식(寒食)일로 알고 있는데 청명(淸明)과
한식일(寒食日)이 같은 날 겹칠 수도 있다.
그것은 동지 후 105일이 되는 날이 한식(寒食)날이기 때문이다.
한식(寒食): 한식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을 한식이라고 하는데
음력 3월에 들기도 하지만 대부분 음력 2월에 든다.
이날은 바람이 세차고 비가 많기 때문에 한식을 전후하여
3일간은 불을 때는 것을 금하고 미리 장만 하여 놓은
음식을 먹는다. (三月寒食은 改莎草不可)
이날 불을 금하게 된 것은 중국의 개자추(介子推) 고사(故事)에서 유래된 것이다.
중국(中國)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나라 사람,
개자추(介子推)- (개지추(介地推) 라고도 함), 가 정치적(政治的)으로
문공(文公)과 사이가 멀어지자,
그는 어머니를 모시고 면산(綿山)으로 들어가 은거(隱居)를 하였는데,
나중에 문공(文公)이 개자추(介子推)의 충성심(忠誠心)을 알게 되어 찾았으나
개자추는 산에서 나오지 않자 문공은 개자추를
그 산에서 나오게 하기 위해 면산(綿山)에 불을 지르도록 명(命)하였고
개자추는 끝내 나오지 않고 불에 타 숨졌다.
그 뒤 사람들은 개자추(介子推)의 충성심(忠誠心)에 감동하여
그의 넋을 위로 하려는 뜻으로 불을 사용하지 않고 찬밥을 먹으며 하루를 지낸다.
또 이날을 조상의 산소나 가정에 흙으로 만들어진 부뚜막을 손질하고 벽을 고치고,
방바닥을 손질하는 일을 하면 무해(無害)하다고 하여
산소에 잔디를 심는 사초(莎草)를 하고 이장 (移葬),
개장(開葬)을 하는 것을 거리낌 없이 하는데,
그 것의 유래는 사초를 하는 시기가 봄이 시작 되는 시기며,
잔디가 새 싹이 돋아나는 시기라서 산소에 잔디를 심는
개사초(改莎草)하는 시기로 좋다고 했던 것을
개장이나 이장으로도 발전이 되었으며,
또 하나의 설(說)을 보면 이 한식일(寒食日)에는 불을 금하는 날이므로
지상을 통제하고 다스리는 지신(地神)이 별로 할 일이 없다는 관계로
천상(天上)에서 옥황상제(玉皇上帝)가 지상(地上)에 있는 모든 지신(地神)들을
소집을 시켜서 명령(命令)을 하달(下達) 하는 날이라
지상(地上)을 감독(監督)하는 지신이 없는 틈을 타 몰래 살짝 하는 것이라는 설(說)도 있다.
이렇게 전해지는 전설(傳說)로 인하여 이러한 일을 해도
무해(無害) 무탈(無脫)하다고
믿기 때문에, 한식(寒食) 날 이장(移葬), 개장(開葬), 사초(莎草),
개축(改築), 등을 아무 거리낌 없이 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모두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라 사람의 마음에서 비롯되는 고로,
아무 일이 없다고 생각을 하면 설령 무슨 일이 있었더라도
그 일과 연관(聯關)을 시키지 않지만, 마음에서 무슨 일이 있으면
어쩌나 하는 조바심을 가지면 그 일과 연관을 시키기 때문에 탈이
있는 것이라 생각을 한다.
이 세상 모든 일은 마음에 있으므로 성(誠), 정(情), 심(心) 이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1. 노들강변2. 뱃노래
3. 신고산타령4. 방아타령
5. 한 오백년6. 사설 난봉가
7. 달타령8. 군밤타령
9. 청춘가10. 떡 풍년 노래
11. 꼬불 꼬불12. 옹헤야 13. 오봉산 타령
14. 사발가15. 밀양아리랑
16. 태평가17. 도라지 타령
18. 매화타령
첫댓글 덕분에 청명과 한식의 유래 잘 알게 되였어요.감사해요.
좋은글 즐감하였어요.
주말이니 산에가서 나무도 심고 등산도 하고..겸사겸사 주말 잘 보내세요~ㅋㅋ..
좋은 정보 감솨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