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윤리학의 개요>
1)개요
①'Meta- Ethics'의 용어: 1949년 A.J.Ayer가 처음 사용. 저서[도덕적 판단의 분석에 관하여]
②Ethics- 도덕 이론을 가리키는 말. 윤리적 관행을 의미
③Meta- Ethics : 전통적 윤리 이론을 거부하고, 윤리적 진술들을 분석하는 일만 하는 '비철학적인' 철학. 즉 평가와 무관한 철학
2)분석 철학과 언어 분석
①분석 철학: 도덕적 언어의 논리적 분석에만 관심
-H.J. Paton: '옹졸하고 비인간적'
-M. 워녹: 새로운 윤리학의 시대 전개
②분석 철학을 논리실증주의에 포함시키는 경향
언어분석 철학: 논리실증주의의 '검증 가능성의 원리'를 배격한다.
3)논리실증주의와 언어분석 학파의 차이
①논리실증주의: 반 형이상학적, "검증 가능성의 원리"강조
②언어분석 철학(비철학적 철학): 형이상학과 도덕적 가치에 대하여 중립적 입장을 취함. 즉 비 평가적이다. ==> "의미 용도론"
③그러나 두 학파는 어떠한 윤리규범도 제시하기를 거부한다.
- 논리실증주의: 윤리적 규범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기에
- 언어 분석: 일체의 논쟁을 피하고, 언어분석에만 전력하기 때문이다.
④각기 비트겐슈타인의 전기 이론(자연과학만 인정)과 후기 이론(의미의 용법)의 근본적인 차이점들에 상응한다.
예)1935년 영국의 W.H.Barnes: '가치 판단'은 '시인의 외침'에 불과하다.
제 1절 가치회의주의: 정의주의적 관점
1. C.K.오그덴과 I.A.리차드: 언어의 정의적 기능
- 공저: [의미의 의미]
1)언어의 이중적 기능
①상징적 기능(진위 판단 기능): 인식적 진술을 통해 사실문제를 기술하는 것
②정의적 기능: 감정을 표현하는 기능. 정서의 표현에 관련된 언어적 기호에 불과.
예)태도, 기분, 관심, 의향, 욕구 등
2)언어의 정의적 가치
①정의적 언어는 객관적 대상물을 갖지 않는다. 단지 감정표현 또는 어떤 태도를 취하도록 청하는 말일뿐이다.
②옳음 : 허구적 존재를 지칭
③이러한 정의적 진술은 참도 거짓도 아니지만, 정의적 효과 - 정의적 가치 -를 지닌다.
3)가치 허무주의
①도덕적 진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의적 권고"가 그릇된 형태를 취한 것
②오그덴과 리차드는 "선은 정의할 수 없다"는 무어의 주장을 거부한다.
③윤리적 언어는 상징적 기능이 없다. 따라서 분석 불가능하다. 단지 태도의 표현(정서적)
4)우그덴과 리차드의 윤리이론 비판
①언어를 정보(상징)적인 것과 정의적인 것으로 구분하고 정보적인 것만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정의적인 것도 의미를 가짐 ==> 언어의 포로가 되었다.
②오스본(H.Osborne): 언어의 문법을 실재의 문법으로 오해
③상징적 언어도 종종 감정을 유발한다.
2. B.러셀: 윤리학적 회의주의와 욕구의 윤리학
-주관주의와 자연주의의 반영
-과학주의의 산물: 과학적 방법만이 타당성을 가진다.
1)과학주의와 도덕적 가치
①과학주의는 규범 윤리학과 모든 가치를 배제한다. 따라서 이것이 인간 지식의 한계를 벗어난다.
②윤리학은 과학의 차원에서 다루어질 수 없으므로 인식적 의미를 갖지 못하며 따라서 참도 거짓도 아니다.
2)가치 회의주의
①획득할 수 있는 지식은 어떤 것이든 과학적 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것이 확실하며, 과학이 발견할 수 없는 것을 인류는 알 수 없다.[종교와 과학](1935)에서
②전통 윤리학은 두 유형의 주제, 행위의 규칙과 본래적 선을 다룬다고 지적한다.
③가치는 전적으로 지식의 영역밖에 존재한다.
④언어는 이중적 기능, 즉 정의적 기능과 서술적 기능, 의사소통적 기능과 표현적 기능을 갖는다.
3)윤리의 주관성- 윤리학적 주관주의자
①윤리학: 주관성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
예)선은 욕구되지만 욕구는 주관적이다.
②정의주의적 측면: 그 자체로서 선한 것을 설득하려는 시도는 감정 유발의 기술에 의존한다.
③결국 모든 판단의 타당성을 부정 ==> 윤리학적 회의주의 되풀이
④윤리적 가치판단은 단순히 소망의 표현일 뿐이지 주장은 아니다.
⑤욕구가 도덕을 산출한다.==> 인식불가능하다. 따라서 선도 악도 아니다.
4)러셀의 비 일관성
①정의주의의 기본전제: 도덕적 가치판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②도덕적 가치판단 옹호: 훌륭한 삶은 사랑으로 활기가 샘솟고 .....
5)윤리의 주관성에 대한 비판
①러셀에 의하면 혼란과 불일치는 도덕적 가치판단의 주관성에 기인한다. 윤리학적 주관주의는 본질적으로 자기 모순이다.
②C.E.M. Joad: 만약 도덕이 주관적이라면 모든 도덕적 견해는 동등한 가치를 가진다. 어린이의 도덕 = 어른의 도덕, 바보의 도덕 = 현자의 도덕이 된다. 따라서 도덕이 주관적일 경우, 도덕적 행위의 어떠한 논리적 근거도 마련될 수 없다.
3. A.J.에이어: 정의주의
-옥스포드 대학. 논리실증주의의 검증가능성의 원리의 전제들에 바탕을 둔 윤리관 제시
-어떤 진술이 의미 있는 진술이 되려면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한 것이든가?' '선험적 의미에서 분석적으로 검증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윤리적 문장들은 감정적으로 의미있는 것들이지만 진정으로 의미있는 문장들은 아니다.
1)정의주의적 윤리설
①도덕 판단은 서술적이라기 보다는 정의적이며, 태도를 설득하기 위한 표현이다. 따라서 참도 거짓도 될 수 없다.
②전통적 윤리설을 네 범주로 분류
a.윤리적 용어에 대한 정의를 표명하는 명제들: 진정한 도덕 철학 구성
b.도덕경험과 그 현상 및 원인을 기술하는 명제들: 과학(사회학/ 심리학)
c.의무나 덕을 고취시키는 훈계를 담은 문장-- 명제라 볼 수 없다.(단지 '감탄')
d.실제의 윤리적 판단을 담은 문장들-- 도덕철학과 관계없는 것
③에이어는 "모든 윤리적 용어를 윤리와 무관한 용어로 환원하는 메타윤리학적 작업을 자신의 과제로 삼았다.
④주관주의와 공리주의 배격
⑤규범적인 윤리적 상징들은 직관적으로 파악되는 것으로서 단지 검증 불가능한 가치진술들이다.
⑥어조 또는 감탄 부호는 문장의 진정한 의미에 아무 것도 보태지 않는다.
2)가치 회의주의
①도덕적 가치는 알려질 수 없다는 가치회의주의와 도덕원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치허무주의로 귀결된다.
②명령은 명제로서 아무런 의미가 없다.
③도덕철학은 단지, 윤리적 개념이 사이비 개념이며 따라서 분석 불가능한 것이며, 결국 정의 불가능한 것임을 밝히는데 있다.
3)에이어의 수정된 정의주의
①도덕 판단을 단순한 행위의 표현으로 간주하는 것도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란 점을 인정했다.
②철학자의 관심사는 도덕적 태도의 과학적 분석이 아니라 "윤리적 언어의 용법에 대한 분석"이다.
③도덕판단은 어떤 의미로는 태도이고, 태도의 설득적 표현이며 사실에 대한 진술은 아니다.
④윤리학자의 임무는 도덕과 무관한 활동, 즉 도덕 판단을 분석하는 메타윤리학에 종사하는데 있다.
4)정의주의에 대한 비판
①브랜드 블랜샤드
-어떤 것도 실제로 '다른 어떤 것보다 더 좋다거나 더 나쁘다거나 하지 않다.'
-즐김에 있어서의 유일한 선은 그것에 대한 우리의 태도이며 따라서 즐기는 것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소멸됨에 따라 선 또한 사라진다.
-어떤 경험이 현재로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는 그 가치를 설명할 길이 없다.
-정의주의는 가치를 그것이 속하고 있는 영역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고통과 죽음 혹은 이것을 타인에게 가하는 일은 악한 것도 그런 것도 아니다.
-도덕적 태도는 임의적인 것이다.
-윤리적 믿음의 타당성이나 가치에 대한 두 사람간의 일치나 불일치는 있을 수 없다.
-도덕적 진보를 이루는 일은 불가능하다.
-아무도 윤리적 판단에 대해 적절한 찬반논증을 할 수 없다.
-윤리적 논쟁을 해결해 줄 객관적인 최고 법정은 없다.
-정의주의는 도덕적 관념들에 대한 정확한 해명이나 설명을 하지 못한다.
②C.I. 루이스 : 정의주의는 도덕적인 냉소주의 뿐만 아니라 실제적 냉소주의를 함축한다. 그것은 모든 행위의 정당성을 무효화한다.
③S. L. Hart: 정의주의의 마비된 무관심을 정신적 착란과 도덕적 무감각의 탓으로 돌렸다.
④조드 : 논리실증주의의 전반을 비판/ 도덕적이란 말이 아무것도 나타내지 않는다면 윤리적 판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⑤마틴 다키(M. D'arcy) 와 루터 빈클리(L. T. Binkley) : 이러한 이론이 지지된다면, 사회는 큰 해를 입는다.
⑥G. E. Moore와 P. Wheelright : 도덕적 가치에 대한 판단의 타당성을 부인하기 위해선 먼저 '왜 사람은 윤리적 명제에 대해 왈가왈부 하는가?' 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⑦인식론상의 회의주의는 자기 모순을 면할 수 없다. 결국 회의주의도 정당성 획득을 위해서 가치에 의존한다.
⑧검증가능성의 원리는 논리적 결함이 있다. 성격상 형이상학적이라는 이유도 어떤 원리들이 거부된다면 논리실증주의의 철학 전체와 모든 정의주의 이론들도 붕괴하고 만다.(John Wisdom)
4. 찰스 스티븐슨: 비인지론적 윤리이론
1)윤리적 판단, 태도, 정의적 의미 : 오그덴, 리차드, 흄의 영향
①윤리적 판단은 단순히 태도를 표현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태도를 형성하고 바꾸기도 한다고 주장
②윤리적 논쟁은 태도의 불일치를 반영한다.
③윤리적 판단의 본질적 기능은 타인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데 있다.
④따라서 윤리적 논쟁의 종결은 태도의 일치를 의미한다.
2)태도와 가치 판단 시인론
①윤리적 용어에는 각기 하나의 특수한 의미가 본래부터 깃들어 있다.
②에이어와는 달리 도덕적 가치 판단을 단순히 '감탄적 발언'이나 '감정의 표현'으로 간주해 버리지 않는다.
③윤리적 진술은 그것들이 이루어지는 정의적 의미와 서술적 의미를 가진다.
④도덕적 불일치는 '소견의 불일치'를 수반할 수 있지만 '태도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⑤도덕적 훈계는 태도의 변경을 요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도덕적 의무나 도덕적 원리로 간주해서는 안되고, 오직 시인의 문제로 간주되어야 한다.
⑥도덕가: 타인의 태도를 변화시킴으로 그의 행위에 영향을 주고자 노력한다.
과학자: 타인의 행위와 태도의 인과 관계를 서술하는데 관심
⑦규범윤리학은 소견(사실지)의 불일치를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라 태도의 불일치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소견도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⑧따라서 의미있는 윤리적 진술은 태도에 관련된 진술이다.
3)설득적 정의
①윤리적 문장과 명령문의 기본 모형: ' -- 는 나쁘다.''나는 --를 시인하지 않는다.' '너도 그렇게 하라' 즉 화자는 청자의 태도를 자신의 태도에 일치하도록 바꾸고자 노력한다.
②설득적 정의는 타인의 태도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소견을 바꾸는 합리적 방법을 사용할 수 없을 때의 방법이다. 또한 설득이 합리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 비합리적임을 의미하진 않는다.
예)직접적 정의적 충격: 정의적 의미, 수사적인 말씨, 극적인 몸짓, 적절한 비유, 청자나 청중과 밀접한 관계를 갖기 위한 배려
③설득적 정의의 주요한 방편은 '정의적 언어의 이용'이다.
④설득적 정의는 우리에게 익숙한 어떤 단어에 그 단어의 정의적 의미를 변화시킴 없이 새로운 하나의 개념적 의미를 부여하는, 그래서 타인의 관심을 변화시키려는 의식적 무의식적 목적에서 사용되는 정의
⑤'태도'는 윤리적 판단에 의해서만 바뀌는 것이 아니고 정의(定義)에 의해서도 바뀐다.
4)언어의 두 가지 목적
①의사 전달 : 서술적 기능
②감정 표출, 정서 창조, 타인의 태도 변화 : 역동적 ==> 정의적 기능(준 명령적인 힘)
5)스티븐슨의 비인지론에 대한 평가
①Richard B. Brandt : 도덕적 경험의 자료를 비인지론에 제한하려는 시도는 도덕적 경험의 중요한 사실들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②윤리적 언어가 1차적으로 '속성 지시적'인가 아니면 '태도를 표현'하고 유발하는 용도를 갖는가 하는 것은 관찰로서 결정된 문제이지 '정의'의 문제가 아니다.
③윤리적 논증이 단지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만을 목적으로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잘못이다.
④'태도의 불일치에 대한 비판' : 윤리적으로 관계있는 태도와 관계없는 태도를 구분해야 할 것이다.
제 2절 언어 분석: 윤리적 언어의 용법
-정의주의의 퇴조 원인
=도덕적 가치 판단을 부인
=논증을 거부하는 극단적인 경향
=감정의 의의에 관한 과장된 주장
-발전 단계: 검증 방법 > 의미 용도론 > "모든 진술은 그 자체의 논리를 갖는다."
1. 엄슨: 등급 매김으로서의 윤리적 평가
-사과의 등급을 매기는 것과 유사
-등급 명령: 등급을 매기는 데 사용되는 용어---- "좋은" "나쁜" 등
-종류: 심리적 등급 매김 ==== 장점에 따라 서열을 매김
예)하나의 사과를 특별히 좋아하는 것으로 등급 매김
물리적 등급 매김===그룹별로 사물을 구분.
예) 같은 품질의 사과를 상자에 넣는 것
1)여러 윤리학파에 있어서의 등급 매김
①자연주의자- 자연적 결과에 근거 예)쾌적한 신체적 반응을 준다면 '좋다'고 등급 매김
②직관주의 - 직관적으로 감지한 유형에 근거 예)사과에서 느끼는 정의 불가능한 성질에 '좋은'의 명칭을 적용
③정의주의자 - 윤리적 가치는 감정에 근거 -- 사과 맛을 보면서 느낀 감정에 근거 '좋은'으로 등급을 매김
④기술하는 것은 기술하는 것(자연주의), 등급 매기는 것은 등급 매기는 것,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일 뿐이다.
⑤이론들 중 어느 하나로 환원될 수는 없다.
2)등급 매김의 기준
①등급 매김의 명칭에 관련된 도덕적 가치에 대한 오해와 불일치는 주로 '등급 매김의 기준' 에 대한 견해가 다르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②엄슨의 체계는 기본적으로 비인지론이다. 왜냐면 " --는 좋다"라는 평가는 어떤 판단을 내리는 것과 동일한 것이 아니라 "선택의 행위"이기 때문이다.
③결국 그는 등급 매김의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2. 헤어: 보편적 규정주의로서의 윤리학
1)개요
①스티븐슨의 "정의적 의미"를 "평가적 의미"라는 용어로 대체
②윤리적 언어의 서술적 사용이 아니라 "처방적(prescriptive:규정적)으로 사용
③보편적 처방주의는 헤어가 그의 윤리이론에 붙인 명칭이다.
④[도덕의 언어]에서 윤리학을 "도덕적 언어에 대한 논리적 연구" /// [자유와 이성]에서 윤리학의 기능은 "도덕적 사고가 표현된 언어의 논리적 구조를 드러냄으로써 도덕적 물음에 합당하게 생각하도록 하게 하는 ....."이라 밝히고 있다.
⑤도덕 판단은 규정적 판단이다. 따라서 보편화 가능함
⑥일정한 유형의 가치 판단으로 사용된 문장들만이 도덕언어이다.
2)처방적인 것으로서의 도덕 판단: [도덕의 언어]의 기본 이론은 도덕 판단이 보편화 가능하다는 이론과, 도덕 판단이 처방적이라는, 즉 행동에 대한 지침이라는 견해를 종합한 형태인 "보편적 처방주의"라고 불린다.
3)보편적 처방주의의 방법: 도덕 원리를 갖기 위해서는 서술어를 가져야 하고, 그 단어를 보편화해야 하며, 그 단어에 처방적인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4)도덕과 자유: 도덕은 자유를 수반한다. 따라서 결단은 극히 중요한 것이다.
5)윤리적 기준의 수정: 도덕의 사회적 기준은 기존 언어의 서술적 의미가 변화하기 때문에 변하지 않을 수 없다.
예)좋은 사람의 기준은 시대에 따라 다르다.
3. 노웰 스미스: 도덕적 대화의 개념
- [ETHICS] (1954)
-도덕가: 실천적으로 윤리학을 적용하는 도덕 개혁가
-도덕철학자(윤리학자) : 도덕적 가치판단을 내리고 그 판단을 지지하기 위해 근거를 제공하는 사람
1)윤리학의 영역
①'무엇을 해야 하나?'에 대한 답 === 실천적 학문
②어떤 사람이 좋아하는 삶의 유형은 그의 심리 상태에 의존한다. 그럼에도 결단과 명령은 그의 심리적인 체질로부터 추론되지 않는다.
2)야누스의 원리
①'무엇을 해야 하나?'와 '어떤 도덕원리를 선택해야 하나?'라는 물음을 각자에 의해 스스로 답변되어야 한다.
②윤리적 문제에 대해 어떤 단일한 해결책이나 손쉬운 해결책을 제공하지 않는다.(마치 단순한 감탄, 등급 매김, 명령과 같이 )
③어떤 단어가 동시에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야누스의 원리
3)A-어(경향적 속성), D-어(기술적 특성), 그리고 G-어(동사적 형용사의 특성)
①A-어(경향어): "경향이 있는"(apt), 단순히 말하는 사람의 감정을 표현한다.
예)장엄한, 겁나게, 하다 등
②D-어(서술어): 빨간, 단단한, 무른 등
③G-어(동사의 성격을 띤 형용사): 찬양할 만한, 칭찬할 만한, 비난할 만한 등
4)A-어, D-어, G-어의 논리적 특수성
①세 유형의 모근 단어들이 동일한 문법규칙을 따르는 형용사라 할지라도, 세 유형 각각 그 자체의 '논리적 기이성'을 갖는다.
②윤리학에서 철학자의 책임은 문장과 논증 안에 있는 논리적 기이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도덕 철학자의 임무는 도덕언어, 문장, 그리고 논증들의 상호 관계를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다.
③'논리적 기이성' - 외견상의 비일관성과 자체 모순에서 유래
예)담배를 피우고 있다고 말하는 사람에게 "담배를 즐기십니까?"라고 하는 질문
4. 툴민: 윤리학에 있어서 이성의 지위
-[윤리학에 있어서 이성의 지위에 관한 연구]
-툴민의 이론은 베이컨과 연장선상에 있지만, 범위는 확장된 것이다.
1)윤리학에 있어서 이성의 역할
①툴민은 그의 윤리학에 있어서 이성의 위치와 기능을 확인하는데 있다고 진술하였다.
②인지적 관점에서 어떤 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것은 그렇게 하는 것에 대해 타당한 근거를 주장하는 것이다.
③기존의 윤리이론을 모두 거부하였다.
④윤리 판단은 어떤 사람의 감정과 행동을 변경시킬 때 이성을 활용한다.
2)윤리적 진술의 기능
①윤리학의 올바른 기능은 '모든 사람의 목적과 욕구를 가능한 한 양립할 수 있도록 성취하는 방식으로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상호 조정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②논증에 실패한 기준의 윤리이론들
a.객관주의: 가치가 객관적 특성(비자연적 특성) 이라고 가정하여 사실적인 지식을 가진 개인 들이라면 의견의 일치를 볼 것으로 생각 / 비자연적 속성을 지나치게 강조
b.주관주의: 사람들이 가치에 대해 서로 다른 기준을 세우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생각// 태도를 지나치게 강조
c.정의주의/ 명령주의: 도덕판단들은 오로지 권고하는 것이라 생각. 감정의 상호작용을 지나치게 강조
3)윤리학의 기능
①윤리적 판단의 기능은 사람의 감정과 행동을 변경시키는데 있다.
②모든 사람의 목적과 욕구를 가능한 한 상호 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의무는 사회규범의 통합이다.
③윤리학은 욕구와 이해관계들 간의 조화로운 만족에 관심을 갖는다.
4)도덕가와 도덕적 이상
①도덕가: 현재의 도덕과 제도를 비판하고 보다 이상에 가까운 관행을 제시하는 사람이다.
②도덕적 이상: 그 사회의 최선의 자원과 지식에 의거해서 고통과 좌절을 제거하는 것
③도덕가는 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자신의 정책으로 삼게 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행할 수 있는 가능성은 행해야 하는 당위성으로 변하게 된다.'
5)정당한 근거와 옳음의 기준
①어떤 관행에 대해 '정당한 근거를 대는 것'과 '문제되는 그 관행이 옳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이다.
②이성에 윤리학에서 발견하는 규칙들은 잠정적인 것이며, 절대적이거나 최종적인 것이 아니고 언제나 발전과정에 있으며 불완전하고, 경우에 따라 만족한 규칙들로 바꾸어져야 할 것이다.
5. 언어 분석에 대한 비판적 논평
-브란트와 닐슨: 언어 분석적 윤리학자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정당한 근거'를 다시 정의하려는 활동으로 나아갔다.
1)정의주의와의 단절의 실패 - 블랜샤드
①윤리이론이 도덕 언어의 연구에 불과하다는 그들의 잘못된 생각은 주제를 하찮은 것으로 격하시켜 버렸다. 결국 도덕 판단을 정당화하는 수단을 제시하지 못함
②메타 윤리학은 어떤 윤리적 함축도 갖고 있지 않으며 도덕적 결단을 배제한 논리적 진공상태에서 논의될 수 있을 뿐이다.
③결국 '비트겐슈타인'의 선언을 무시할 수 없었다.
2)툴민의 이론에 대한 평가
①단지 정의주의와 공리주의를 연결하는 빈약한 결합을 성취했을 뿐이다.
②결국 행동의 올바름을 공리적 가치에로 귀속시켰다.
③헤어: 툴민이 순수 실제적인 전제로부터 도덕적 가치에 대한 결론을 추론하려는 헛된 시도를 하였다고 비판
3)언어분석에 있어서의 비합리주의
①대륙의 실존주의자들과 유사하다. 즉 도덕적 결단을 이성의 산물로서가 아니라 비합리적인 또는 합리적인 것과 무관한 도덕적 선택, 즉 오직 자신에 대해서만 책임을 지는 의지의 작용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②도덕적 가치 판단을 명령, 즉 선택의 행위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4)헤어의 도덕 철학에 대한 비판적 논평
①도덕 판단이 합리성과 무관한 행위의 지침이라는데 비판한다.
②닐슨 - "도덕 판단의 본성에 대해 발견한 어떤 것도, 모든 유태인들을 가스실에 집어넣는 것이 나쁘다는 것을 수반하지 않는다"는 결론이 된다.
③빈클리
a.어떤 이에게 '무엇을 하라고 말하는 것'과 그것을 하라고 '시키는 것'간의 구분을 지나치게 강조
b.윤리적 원리와 명령을 너무 밀접하게 동일시하였다.
c.의사소통의 상황에 발언될 수 있는 문자의 유형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킨 분석에 근거한다.
d.당위 진술은 명령을 수반하지 않는다.
5)엄슨의 윤리적 입장에 대한 비판
①유비논증의 오류: 사과의 등급을 매김과 사람의 등급을 매김을 비교하는 것
②사람의 좋음이 사과의 좋음과 같다면 물리학자들이 도덕가들이어야 한다.
6)도덕적 가치의 논리와 기준에 대한 결론적 논평
①정의주의자: 도덕적 가치 판단의 논리적 성격이 기본 물음
②언어분석: 옳음의 기준과 관련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