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은 손을 흔들었습니다.대기업과 공기업만 혜택을 본다고 말했기 때문이다.경영계도 과도한 인건비 부담과 청년 취업난 등을 들어 난색을 표했습니다.노사정 모두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부작용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데는 공감합니다.하지만 고령자를 고용하는 방식을 놓고 해법이 제각각이어서 논의 과정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정년 연장이 화제가 되자 일본의 사례가 부각되고 있습니다.전 세계에서 호봉제라는 임금체계를 가진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니까."일본은 65세까지 정년 연장을 연착륙시켰다" "최근에는 70세까지 정년을 법으로 보장한다"는 보도가 쏟아지는 이유다.반은 옳고 반은 틀렸다, 실제 일본의 실태를 몰라 혼란스럽게 하는 보도다.
일본은 1994년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처럼 법정 정년을 60세로 연장(고연령자 등의 고용 안정 등에 관한 법률)했습니다.그 후 두 차례에 걸쳐 고령자 고용을 촉진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2006년, 65세의 「고용 확보 조치 의무화」를 시행했습니다.정년을 연장하거나 계속 고용(재고용) 또는 정년 폐지 중 하나를 선택해 운용하도록 했습니다.2021년에는 '70세까지 취업 확보 조치'를 하도록 권유했습니다.노인이 원할 경우 70세까지 위탁업무(프리랜서) 계약을 하거나 사회공헌사업(자원봉사) 같은 형태로 배려해 달라는 것이다.
주목할 점은 법정 정년은 바꾸지 않고 60세로 유지하고 있습니다.대신 기업에 선택지를 주고 자율권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령자 고용을 촉진합니다.일본은 왜 이런 고령자 고용 촉진책을 취했을까요?가쿠슈인 대학 경영학부의 이마노 코이치로 명예교수는 「복지 고용」이라고 하는 말을 이용해 해설했습니다.복지 일자리란 기업이 필요해서가 아니라 정책 때문에 고령 인력 고용을 맡게 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정부와 정책의 과도한 노동시장 개입을 경계하는 용어인 셈이다.
정년 연장은 임금 등 근로조건 조정의 여지가 적습니다.기존 고용계약이 계속되기 때문입니다.반면 재고용은 60세 정년 시점에서 기존 고용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고용계약을 체결합니다.근로조건을 능력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는 겁니다.정년 폐지는 나이를 이유로 해고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대신 고용계약은 자율의 영역입니다.
이 조치가 시행된 후 일본에서는 2022년 6월 기준 대기업은 83%가 재고용을 선택한 반면 중소기업에서는 26%가 정년 연장이나 폐지를 도입했습니다.김동배 인천대 경영대학 총장은 중소기업은 임금의 연공성이 비교적 약한 데다 인력 수급 여건이 열악한 것이 정년제 확대를 선택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말했습니다.
첫댓글 저출산과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 사회, 개인 각자가 위험을 공동부담하여야 하겠지요.
인구 절벽시대에 마땅한 대책을 마련한다는 것 자체가 절망적입니다. 고려장이 남의 일이 아닌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