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심판사의 편지 ♡
¤ 개미는 두 개의 위를 가지고 있다 ¤
이 지구상에서 가장 사회적’인
생물은 개미라고 한다.
퓰리처상을 받은 책 '개미세계의 여행'을 보면 앞으로의 지구는 사람이 아니라 개미가 지배할 것이라는
다소 생뚱맞은 주장을 펼친다.
그 근거는 개미들의 희생정신과 분업능력이 인간보다 더 뛰어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개미는 굶주린 동료를 절대 그냥 놔두는 법이 없다.
그 비결이 무엇일까?
개미는 위를 두 개나 가지고 있다. 하나는 자신을 위한 ‘개인적인 위’고, 다른 하나는 ‘사회적인 위’다.
굶주린 동료가 배고픔을 호소하면 두 번째 위에 비축해 두었던 양분을 토해내서 먹이는 것이다.
한문으로 개미 ‘의(蟻)’자는 벌레 ‘충(虫)’자에 의로울 ‘의(義)’자를 합한 것이다.
우리 인간의 위도 개미처럼 두 개라면 얼마나 좋을까?
그랬다면 인류는 굶주림의 고통을 몰랐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우리 인간에게 딱 하나의 위만 주셨다.
그래서일까?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은 굶주림의 고통이 닥쳐올 때 닭 보다 더 무자비한 행위도 서슴지 않곤 한다.
하지만, 그 보다 더 놀라운 일은 위가 한 개 뿐인 인간들이 때로는 위를 두 개나 가진 개미들보다 더 이웃의 아픔을 자기 일처럼 감싸왔다는 사실이다.
1935년 어느 추운 겨울 날이었다.
뉴욕 빈민가의 법정을 맡고 있던 피오렐로 라과디아(Fiorello
La Guardia) 판사 앞에 누더기 옷을 걸친 노파가 끌려 왔다.
빵 한 덩어리를 훔친 죄였다.
노파는 울면서 선처를 호소했다.
사위란 놈은 딸을 버리고 도망갔고, 딸은 아파 누워 있는데,
손녀들이 굶주리고 있었다.
하지만 빵 가게 주인은 비정했다. 고소 취하를 권하는
라과디아 판사의 청을 물리치고 ‘법대로’ 처리해 달라고 소리치고 있었다.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한숨을 길게 내쉬고는
라과디아 재판장이 노파를 향해 이렇게 선고한다.
“할머니, 법에는 예외가 있을 수 없어요. 벌은 받아야 합니다. 벌금 10달러를 내시거나 아니면 열흘 간 감옥에 계십시오.”
선고를 내리고 그가 자리에서 일어섰다.
그리고 갑자기 모자를 벗더니 자기 주머니에서 10달러를 꺼내 거기에 넣는 것이 아닌가.
그는 이어서 이렇게 최종 판결을 내렸다.
“여러분, 여기 벌금 10달러가 있습니다. 할머니는 벌금을 완납했습니다. 나는 오늘 굶주린 손녀들에게 빵 한 조각을 먹이기 위해 도둑질을 해야 하는 이 비정한 도시에 살고 있는 죄를 물어 이 법정에 앉아 있는 모든 사람에게 50센트의 벌금형을 선고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모자를 법정 경찰에게 넘겼다.
그렇게 모인 돈이 자그마치 57달러 50센트였습니다.
대공황 시절 불황 속에서는 결코 작은 돈이 아니었다.
판사는 그중에서 벌금 10달러를 뺀 47달러 50센트를 할머니의 손에 쥐어주었다.
다음날 아침 뉴욕타임스는 이 훈훈한 이야기를 이렇게 보도했다.
《'빵을 훔쳐 손녀들을 먹이려 한
노파에게 47달러 50센트의 벌금이 전해지다!' 얼굴이 붉으락 푸르락하게 된 빵가게 주인과 법정에 있다가 갑자기 죄인이 되어 버린 방청객, 그리고 뉴욕 경찰들까지 벌금을 물어야 했다.》
현재 뉴욕 시에는 공항이 두 개 있다. 하나는 J.F.K. 공항이고, 다른 하나는 라과디아 공항이다.
전자는 케네디 대통령의 이름을 딴 공항이고, 후자는 바로 피오렐로 라과디아 재판장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는 이후 뉴욕 시장을 세 번이나 역임하면서 맨해튼을 오늘날 맨해튼으로 만든 장본인이다.
그리고 라과디아 공항에는 그곳ㅇ 주차장의 특이한 주차 위치 표시에 담긴 일화(逸話)가 있다.
그곳 주차장 바닥에는 ‘Judges(법관)' 그 옆에는 ’Handicapped(장애인)'와 'Senators(상원의원)'라는 주차 표시가 나란히 있다.
아무리 법관이 존경받는다는 사법국가 미국이라지만, 그 미국에서도 다른 지역에서는 좀처럼 만나보기 어려운 모습이다.
어째서 장애인이나 상원의원보다 법관의 주차 위치가 더 좋은 곳으로 지정되었을까?
그것은 한 법률가의 따뜻한 마음씨에서 우러나온 인간애의 표현으로 받아들이고 훈훈했던 즉결법정을 회상하기 위해 공항 주차장의 가장 좋은 위치에 법관들을 위한 자리를 따로 마련해 놓았다..!!
🌷너 있는 곳을 언제나 좋게 만들어라🌷
(The place where you are will be blessed)
-----♡-----♡^♡-----♡-------
영국의 어느 마을에 부모를 일찍 여윈 채 할아버지의 손에 자라난 에드워드 윌리암 보크라는 소년이 있었습니다.
너무 너무 가난해서 하루하루를 살아가기가 힘들었던 보크는 큰 꿈을 안고 미국으로 이민 가기로 결심하였습니다.
할아버지와 마지막 작별인사를 나누고 배를 타려 할 때 할아버지가 어린 손자에게 한 마디 유언 같은 부탁을 하였습니다.
"너 있는 곳을 언제나 좋게 만들어라"
(The place where you are will be blessed).
학교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소년은 할아버지 말씀을 가슴깊이 새기고
이 말씀대로 살 것을 굳게 다짐하면서 영국을 떠났습니다.
소년 보크는 미국 북부인 보스톤에 도착했습니다.
그는 거리에서 신문 가판대를 만들어 놓고 신문팔이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른 새벽, 남보다 먼저 나와서 신문을 파는 가판대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고,
다른 사람보다 한발 앞서 조간신문을 받아다가 손님들에게 팔았습니다.
석간신문도 남보다 먼저 가져다가 팔면서 주변을 늘 깨끗하게 정리하고 유지했습니다.
이 가판대에서 조간신문을 종종 사서 보던 커티스 출판사 사장은 부지런하고 주변정리를 늘 깨끗하게 해 놓는 그 소년이 마음에 들어서 그를 커티스 출판사의 청소부로 채용을 하였습니다.
그는 그의 자리에서 성실하게 일했습니다.
그의 성실성에 놀란 커티스 출판사 임원들은 그를 정식사원으로 채용을 했습니다.
보크는 그곳에서 다시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는 마침내 판매부장으로 승진하였습니다.
그곳을 언제나 좋게 만들리라는 정신으로 일하는 보크는 다음에 경리부장이 승진되었고,
그의 신실성과 근면성에 반한 커티스 출판사 사장은 그를 사위로 삼았습니다.
사위가 되면 이젠 최고자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된 것 아닙니까?
드디어 그는 편집국장과 총 지배인을 거쳐 마침내 커티스 출판사 사장 자리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그는 커티스 출판사를 미국 내의 유명한 출판사로 키웠습니다.
가난뱅이 보크가 기업의 사장이 된 겁니다.
그는 오직 한 가지 할아버지가 준 교훈
"너 있는 곳을 항상 Blessed(신성한, 좋게, 복되게, 행복하게) 하라"는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어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않고
그 교훈대로 살았기에 성공한 것입니다.
우리의 있는 곳을 복되게 해야 합니다.
나 자신도 복을 누릴 뿐만 아니라
내가 속해 있는 곳을 복되게 해야 합니다.
내가 속해 있는 삶의 공동체인
우리의 가정을 복되게 해야 합니다.
내가 일하는 직장과 사업장을 복되게
해야 합니다.
빛과 소금으로 살아가는 우리는 행복합니다.🌈✝️
-좋은글 중에서-
⚘️항상! 겸손하고 성실해야 합니다!평화를 빕니다.⚘️
2024. 9. 8. 일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