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전제품 다음은 애니메이션으로 맹추격 「일본 애니메이션은 한국인 애니메이터 없이는 만들 수 없다」
관객 동원 2350만명, 흥행 수입 304억엔과 「타이타닉」이나 「도쿄 올림픽」을 앞지르고,
국내 영화 흥행 성적으로 단연 역대 최고를 달리고 있는 스튜디오 지브리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년 여름에 공개된 공개된 작품은, 이듬해 봄방학까지 계속 되어 이례적인 롱런 흥행이 되었다.
참고로 2012년 현재, 역대 흥행 성적 2위는 「하울의 움직이는 성」(04년 공개)의 196억엔, 3위는 「원령공주」(1997년 공개)의193억엔으로 이 회사의 작품이 베스트3를 독점하고 있다.
■한국 스탭을 위로한 미야자키 감독
미야자키 애니메이션을 대표하는 작품에 대한 국내외의 평가는 높고, 이듬해에 열린 베를린 국제영화제에서, 일본은 39년만에, 애니메이션으로서는 사상최초로 황금곰상(최고상)을 수상했다.
또 베네치아 국제영화제의 오젯라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애니메이션상,
03년에는 장편 애니메이션 부문에서 아카데미상등을 수상했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또, 미국과 영국,프랑스나 중국, 한국 등 8개국에서 공개되었다.
한국에서는 직역으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 불명(실종)」로서 일본에서의 개봉 직후에 공개되었지만, 자신 스스로 필름을 가지고 방한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당신들이 없었으면 이 영화는 완성되지 않았다」라고 한국 스탭의 노고를 위로했다고 한다.
■엔딩에 나오는 한국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실제 국내외의 영화상을 독차지한 애니메이션 작품에는, 한국 애니메이터에 의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화의 엔딩, 제작 총지휘:토쿠마 야스요시, 음악:히사이시 조 등과 제작 스탭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에 영상이나 디지털 부문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한국인 스탭이나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가 나온다. 개인으로서 화면에 등장하는 스탭은, 30명정도 된다. 이런 영상 참여 제작은, 애니메이션 제작에 중요한 작업이다.
한국인 스탭으로 참여한 DR무비 사장 정정균은, 미즈호 종합 연구소가 편집·발행하는 법인을 위한 회원잡지 「Fole」의 03년 4월호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제작에서 중요한 것은, 품질관리와 작업 효율성입니다.
특히 스케줄대로 작업을 제대로 진행하는 것은, 집단 작업에는 빠질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 두 부분이 평가되어, 미야자키 감독의 다음 작품에도 참여하게 되었던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회사는,97년 스튜디오 지브리가 「원령공주」의 영상 제작 일부를 위탁받은 계기로, 미야자키 작품에 참여는 물론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도 참여했다.
즉 텔레비전이나 극장용등, 애니메이션 작품을 지탱하고 있는 것은 영상 담당자이며, 한국인 애니메이터 없이는 일본 애니메이션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닌 것이다.
■「386세대」가 제작 회사를 시작
하지만 한국의 애니메이션 업계가, 일본이나 디즈니로 상징되는 미국의 애니메이션 하청만으로 만족할 리 없다.
80년대 중반 이후에는 국산 애니메이션 제작 모색이 시작되어, 87년경부터 방송국 제작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
90년대 초반에는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하던 애니메이터들이 제작 회사를 설립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극장용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도전하기 시작했다.
그 중심이 된 것이, 「386세대」이다. 90년대에 한창 일할 30세 연령층으로, 80년대에 학생 운동을 경험한 60년대에 태어난 세대이다.「PC386」이라는 PC의 기종명에서 유래한, 디지털 시대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세대이기도 하다.
제작 회사에서 영상을 그렸던 정사장은, 독립과 동시에 「PERFECT BLUE」등의 작품으로 알려진 매드 하우스의 하청으로 일을 시작했다.
「코치카메」 「오자루마루」
■일본 애니메이션에 파고드는 동우 동영상
역시 영상으로 애니메이터 생활을 시작한 김영두는, 91년3월에 동우 영상을 설립.
94년에는 후지TV 「여기는 카츠시카구 카메아리 공원 앞 출장소」와 NHK「오자루마루」등을 제작하는(본사·네리마구, 와카나 아키오 사장)의 OEM회사로 인정되었다.
동우 영상은, 후지의 「코치카메」 「히메짱의 리본」, TV 도쿄의 「빨간 망토 차차」등의 제작에 참여하는 한편,2003년4월에는 일한 첫 공동 제작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무한 전기 포트리스」에 참여했다.
「포트리스」는 한국의 온라인 게임에서 태어난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이지만, 일한 양국은 물론 구미 시장도 염두에 두고 캐릭터 상품화 등의 소프트웨어 이기도 했다.
이를 휘해, TV 도쿄나 소년 만화잡지 「코믹 부자」에 「포트리스」를 연재하는 고단샤,반다이 등 일본측 6개 회사와 한국측4개 회사가 「일한 공동 포트리스 프로젝트」를 결성했던 것이다.
소스:2012年03月27日(화) 小田桐?
ID:sgYJs/Zn
일본 어쩌냐ww
이제 일본은 한국에 이길 수 있는 분야가 없어 wwww
ㄴID:7gKJ9NLj
너 너무 바보같아ww
일본 회사로부터 일거리를 받고 기쁜거냐?
ID:DiDd93GN
일본 애니메이션 하청업체가 된게 자랑스러운 니다
ID:0A8t+GfF
우수한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은 한국을 탈출하는거지.
ID:LuNtIKmW
저들은 언제까지 일본의 뒤만 쫓고 있을건가?
독자적인 분야를 개척할 수 없다면 영원히 그 신세를 못 면하지.
ID:9D5KYTdh
>「당신들이 없었으면 이 영화는 완성되지 않았다」
스탭에 대한 당연한 격려이며, 「한국 스탭이니까」라서가 아니야.
분명히 말하자면 미야자키가 없다면 「미야자키 애니메이션」은 있을 수 없지만, 「스탭」은 얼마든지 바꿀수 있으니까.
ID:lpSDgnRH
요점은 인건비겠지.
예전엔 원피스를 한국에 하청을 줬지만 지금은 인건비가 싼 필리핀(?)에 발주하고 있어.
ID:/8K4XLor
하청 받으면 그걸로 만족하는거야?
ID:BYtsnPJF
뭐든지 공짜로 기술을 내주거나 미래의 국익을 생각하지 않고 행동한 결과임.
ID:gQdI3PQT
실제적인, 비용대비 효과의 관계상, 대작 이외엔 모두 국내는 어려워.
ID:OJdnj1Ef
그 기세로 오리지날을 만들어 보라고.
ID:e4CTPGpZ
원작 능력이 없는데 어떻게 맹추격 하겠다는 거야?
ID:cP8xf9fX
30년전에도 한국은 하청을 받았지.
아직 지금도 하청이야.
ID:ZHFD1N/g
애니메이터는 … 인건비 문제 w
ID:NtwP/Tec
연출이나 시나리오, 감독등, 중요한 부분들을 충족하지 못하면 한국은 아직 어렵지,
ID:S/WCX2wd
애니메이션은 작화 스탭보다
감독을 할 수 있는 작가성이 있는 인재가 더 중요한거다.
일본의 애니메이션이 쇠퇴해도 한국에게 밀릴 일은 없어.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가 사라질 뿐
ID:bGasHYGE
애니메이션에서 그림이 상당히 심한 것이 있던데
그 이유가 하청때문 아닌가?
ID:XB16BJVI
일본은 망가와 애니메이션, 게임등이 균형있게 합쳐지고 생산되는 시장을 만들고 있지만, 한국은 그런 시장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을거라고 생각되지 않아.
한국은 원래, 어떤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싶은건데?
ID:UqxtDEnp
일본의 반 가격이니까 사용하고 있는거지···.
ID:qa7VH+mt
하청으로 기뻐하지 말고, 독자적인 컨텐츠로 승부해라.
그야말로, 요괴인간의 시절부터 하청하고 있었잖아.
ID:XgXO37gB
한국은 국내 경쟁으로 절차탁마할 수 있는 규모의 시장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당연히 퀄리티 향상도 전망할 수 없지.
ID:tCvjBd/S
작화나 기술면에서는 따라잡을 수 있어도, 시나리오는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을걸.
종교관을 시작으로 토양이 너무 다르기 때문이지.
ID:zSQjCvnw
20년 전부터 같은 일을 말하고 있지만 아직도 대표작 하나 없는 이유를 생각해봐라 w
ID:3agBWvcT
확실히, 애니메이션 ED에 한국인 이름이 자주 눈에 보여.
그걸 볼 때마다 한국인에 대한 감사를 잊지 않아∼
번역기자:삑사리
출처 :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ember_translation&wr_id=105095 (가생이닷컴
첫댓글 그러하다!! 뭔가뿌듯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애니메이션본다하면 오타쿠로 몰아가는 것도 너무 싫음쳇
엘사는 잘 모르겠고 올라프...!!
엘사 디자인 한국인이햇오!!
@annies song 홀 진짜? 와타시 엘사여왕님개더쿠인데 왜 몰라찌...
@annies song 그거 루머고 디자이너들이 모두가 합해 만든 결과물이 엘사인거야! 디자이너중 한국인이 있을뿐임
@홍민기 헐?어떤한국인 남자분이 엘사그림 앞에 서있는사진봤는데 그냥 여러명중 한분이셨구나..8ㅅ8
뿌듯하다!!!!제발 후원좀해줘 .
공감되서 빡침...
심슨도 하청받지않나
우리나라는 만화를 유해한거 취급해서 될리가 잇나
우리나라는 인재가 많은데 재능이 존중받지 못하는 것 같아. 오리지널을 못 만들고 하청 받는 것도 결국 다 돈 때문 아닌가. 구조적으로 기술 가진 사람이 홀대 받고 있음.
애니메이션 원작능력 없단 말도 반은 공감함. 애니메이션 연출은 일반 연출하고 다르고 만화적과장을 적절하게 이해할 줄 알아야하는데 이걸 잘하는 연출자가 있는지 모르겠더라...
진짜 능력있는 연출자는 죄다 영화로 빠지는 느낌.
돼지의왕같은건 좋았는데 상업성을 유지하면서 만화적과장을 잘 융화시킬 수 있는 사람......
하청도 요새대만으로 가는 스튜디오들 늘어난다고하고...이래저래 어려움.... 존나 내가 통일이 답이라고 생각하는 이유ㅋㅋㅋ못해도 인구가 7천만은 넘어야 뭘 자생적으로 할 수있으니까ㅜㅜ
2D기반 애니는 존나 힘듦... 일본에서도 만화가 대중적인거지 애니는 매니아적이랬음. 다만 2차생산물이 존나 잘나가서 커버치지... 3D는 옛날에 우리나라 좀 잘나가는거 같더니 요새 소식이없네....인재들 다 해외갔나ㅜㅜ
애니메이션 게임 울나라가 존나 고퀄로 잘만든다고 들었는데?
그럼뭐ㅎㅐ..막상 우리나라 애니는 못크는데ㅜㅜ
나도이쪽일하는데 우리나라에선안할거야! 동기들두그러고 다른대 비슷한과애들도 그렇게말한당 환경이 안돼는데 뭐 어쩌겠엉...ㅇㅅㅇ
우리나라 사람들이 손재주 하나는 끝장나는 것 같은데............ 투자를 안함 뭐든; 돈 안들이고 노가다로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어....;; 안타깝다;;
우리나라 인재 개많음 진심... 그림 잘그리는 어린애들도 엄청 많고
근데 요즘은 그 하청도 중국으로 넘어가는 중.... 인건비가 우리나라보다 더 싸니까 하청도 중국에 맡기는 게 이득이고... 대신 그래서 작붕이 어마어마하게 나오긴 했지만
존나 슬픔ㅠㅠ 우리나라 재능 있고 전통에 관심있는 사람도 많은데..젼나 아깝ㅠ
인재유출 진짜심해ㅜㅜ솔직히 한국에 인재부족하단거 개미친 말도안되는 소리임ㅠㅠ오이깎기 카페만 가봐도 중딩인데 고퀄그리는애들 널림ㅜㅜ글고 고메나 신암행어사만 봐도ㅜㅜ능력없어서 못한다는거 개소리ㅜㅜ인프라차이임 회사가 없는것도 없는거지만 국가 푸쉬가 있어야돼ㅜㅜ일본은 만화책 다 사서보자나 거기서부터 차이가 시작되는거임
정부가 병신이라 인재들이 다 밖으로 나가는거지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22ㅠㅠㅠㅠㅠ
열받는말도 많지만 맞는말도 맞아... 울나라 정부가 제일 나빠
만화,애니보는거=오타쿠 라는 인식땜에 더 안되는거같아 걍 그렇게 인식만 하면 몰라 오타쿠라는 존재는 나보다 아래고 무시해도되는 존재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아서....나부터도 존나 일코하고다니니까....
아...진짜 부끄럽다 우리나라ㅜㅜㅜ휴
애니메이션과 여시인데...진짜 너무 힘들다 ㅠㅜ
투자는 투자대로 안되서 망하는 회사 많아지고 , 이번 취업할곳도 대폭 줄어들어서....이 길 온거 후회해.. 박벌꿀이 예술부문을 과학부문으로 합친건알고있지?ㅋㅋㅋ 꿀벌여왕때문에 더 힘들어졌다..ㅎㅎ...아 진짜 이나라 뜨고싶어. 우리나라에 얼마나 금손들이많은데..그러니까 다 실력있고 능력있는사람들이 외국나가는거야...ㅠㅠ
이 여시 나인가.... 난 일본에서 애니과 졸업하고 애니회사 다니다가 한국 들어와서 애니과 다시 갔는데 내 오히려 내 전공과 점점 멀어지고 있어 ㅋㅋㅋㅋ... 다시 나갈 생각만 하게된다....
우리나라엔 설 자리가 없으니까...
진짜 속상하고 또 속상하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2 ㅠㅠ 우리나라사람들이얼마나똑똑하고능력좋은데.. 제발공부말고도저런쪽으로나갈수있게길이열렸으면
삭제된 댓글 입니다.
홀!?진짜? 시나리오 작가가 따로 있는거? 처음암ㅠ 드라마쪽이랑 영화만 시나리오작가있는줄 알았는데 애니에도 있었구나
@matilda 나년 최소 빠가..
맞아 일본애니 제작자??에 한국인이름 대거로 나오는 경우 많이봄ㅠㅠ
애니끝나고 뒤에 이름 쭈루루숫 나오는데ㅔ 우리나라 사람이름 많더라
만화책 1권팔면 우리나라작가들은 500원받는데 이마저도 사서안봄 점 2천원 점프라도 사서보자능 긴타마 하청해보고싶었긴한데 5장그려도 1장 값만받으니 겜회사나 가야지
내 인생의 반이라고도 할수있는 애니메이션 :)... 아쉬운게..뭐랄까 우리나라는 인쇄만화가 많이쇠퇴한것같다고하나..일본같은경우는 점프나 소년선데이같은 만화잡지책이있는데 대표적인 만화들이 원피스 나루토 블리치 등등 ㅎㅎ.. 전부 만화원고지로 내는 책들이고 출판되면 가격도 저렴한 편..아무튼 인쇄만화 특유의 느낌과 장점이있고 난 이 시스템이 참 좋다고생각해 ㅠ 우리나라는 웹툰이 컷만화의 대표라고도 할수있지만 난 역시 웹툰보단 인쇄출판만화가 좋달까.. 위에 여시들 말대로 우리나라는 예술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도않아서 지원이나 환경도 부적절하고..그걸 예술인들이 느끼기때문에 전부 해외로 나가 ㅎ
진짜..모든예술분야를 우리나라가 많이 사랑해주고 아껴주고 발달시켜줬으면좋겠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