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의 발전이 가전제품에 이용되는 추세로 미래의 성장 가능성이 큰 제품
- 다양한 기능과 가격 경쟁력이 중요
□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로봇청소기
- HS Code 8508.11 기준, 모터 1500W, 20L 의 더스트 백을 갖춘 로봇 진공청소기
□ 시장규모
○ 프랑스 진공청소기 시장규모
- 프랑스 가정의 90%는 최소한 1 대의 진공청소기를 소유하고 있고, 평균적으로 한 가정당 1.3 대의 진공 청소기를 보유하고 있음.
- 전통적인 실린더형 청소기를 기본으로 소유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틱형 청소기를 보조로 구매하는 가정이 많아지면서 청소기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음.
○ 프랑스 진공청소기 판매 동향
- 2018년 프랑스 진공청소기 판매량은 약 530만 대로 2017년 대비 약 3% 성장한 수치
- 전통적인 실린더형 청소기의 판매율은 감소하는 추세(2018년 4% 감소)
- 스틱형 청소기 시장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로 현재 시장을 리드하고 있음(2018년 총 110만 대 판매, 전년대비 총 30% 증가)
프랑스 진공청소기 시장규모 및 판매 동향

자료원: Euromonitor
- 로봇청소기 2018년 판매량은 177,000 대로 진공청소기 전체 판매량의 약 3.5%에 해당됨.
* 로봇청소기 판매량은 다른 종류의 진공청소기와 비교하면 미비한 편이나, 2023년까지의 성장률 전망은 월등한 것으로 조사됨.
일반 진공청소기와 로봇 청소기 성장률 비교

자료원: Euromonitor
□ 로봇청소기 시장동향
○ 기술의 발전과 소비 트렌드의 변화로 잠재력이 큰 상품
- 로봇청소기는 2012년~ 2013년 프랑스시장에 본격적으로 등장했으나, 비교적 높은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기까지 시간이 걸림.
- 최근 몇 년 사이 IoT 상품과 로봇 결합 상품들이 일상화 되어감에 따라 로봇청소기 판매율도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총 판매량 160,000 대로 2018년까지 2 년간 판매율 약 11% 증가
○ 한국 기업 등 글로벌 대기업 제품들의 가격진입 장벽 큰 편
- 로봇 청소기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는 높아지고 있지만, 신뢰도가 높게 형성된 브랜드 제품들의 가격대가 높아 장벽이 있음.
- 이에 최근 중국 기업들이 가성비가 높은 제품을 출시하고 있고, 또한 고가의 브랜드들도 기능을 단순화해 저가 상품도 같이 내놓는 방식을 취하고 있음.
□ 수입 동향
○ 프랑스 로봇청소기 수입량은 3년 째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주요 수입국에는 유럽 국가뿐 아니라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아시아 국가가 다수 포함됨.
- 비교적 신기술이라는 제품의 특성상, 국가별 증감률도 큰 폭으로 변화하는 등 아직 고착화되지 않은 시장임을 알 수 있음.
- 한국의 제품의 경우, 2016년 약 0.8의 점유율을 차지한 후 매 해 수입율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
프랑스 로봇청소기 10대 수입국 현황(HS Code 850811 기준)
순위 | 국가 | 금액(천 USD) | 점유율 % | 증감률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 총계 | 342,867 | 435,590 | 503,123 | 100.00 | 100.00 | 100.00 | 15.50 |
1 | 독일 | 96,987 | 145,286 | 152,172 | 28.29 | 33.35 | 30.25 | 4.74 |
2 | 중국 | 100,087 | 130,539 | 144,633 | 29.19 | 29.97 | 28.75 | 10.80 |
3 | 벨기에 | 37,048 | 39,746 | 41,911 | 10.81 | 9.12 | 8.33 | 5.45 |
4 | 말레이시아 | 26,823 | 25,734 | 41,573 | 7.82 | 5.91 | 8.26 | 61.55 |
5 | 네덜란드 | 11,770 | 12,753 | 33,799 | 3.43 | 2.93 | 6.72 | 165.02 |
6 | 스페인 | 10,082 | 12,324 | 22,004 | 2.94 | 2.83 | 4.37 | 78.55 |
7 | 헝가리 | 23,524 | 18,225 | 17,583 | 6.86 | 4.18 | 3.49 | - 3.53 |
8 | 이탈리아 | 11,557 | 13,627 | 14,070 | 3.37 | 3.13 | 2.80 | 3.25 |
9 | 필리핀 | 0 | 2,051 | 12,099 | 0.00 | 0.47 | 2.40 | 489.88 |
10 | 영국 | 5,105 | 6,496 | 5,784 | 1.49 | 1.49 | 1.15 | - 10.95 |
21 | 한국 | 2,691 | 1,761 | 438 | 0.79 | 0.40 | 0.09 | -79.09 |
자료원: GTA
□ 경쟁 동향 및 주요기업
제조업체 | 브랜드 | 가격 (소비자가격) | 제품사진 | 특징 |
Xiaomi (중국) | Mirobot | 329 euros | 
| - 현재 시장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제품 중 하나 - 와이파이 기능 효과적 - 가격대비 효율적인 기능이 많아서 로봇청소기가 대중화 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 |
iRobot (미국) | Roomba 980 | 700 euros | 
| - 로봇청소기 중 가장 인기 업체 - 스마트폰 앱으로 프로그램 설정 가능 - 카메라 기능이 효과적 - 1000 유로 로 출시되었다가 가격 조정됨. |
Ecovacs (중국) | Deebot SLIM2 | 229 euros | 
| - 좁은 공간 사용이 용이한 소형 모델 - 기능성은 떨어지는 편이나 가격부담이 적음. |
LG | HomBot | 700 euros | 
| - 1000 유로대로 출시되었다가 가격 조정됨. - 기술력, 기능의 다양성 부분에서 좋은 평 |
Neato (미국) | Botvac D4 | 500 euros | 
| - 레이저를 이용한 공간지각능력이 뛰어나 움직임 효율적 - 성능에 비해 합리적인 가격대라는 평 |
Eufy (미국) | Robovac slim | 270 euros | 
| - 2019년 일간지 르몽드가 로봇 청소기 중 1위로 선정한 제품 - 소음이 적고 효율적인 동선으로 움직임. - 저렴한 가격대로 인기 |
자료원: 가전제품 쇼핑몰 Darty
□ 유통구조
○ 주로 오프라인 전기제품 전문 매장에서 판매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프랑스 청소기 제품의 85%는 매장에서 판매되며 그 중 56%는 전문매장에서 판매됨.
- 28%는 대형마트, 백화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그 비중은 계속 줄어드는 추세
○ 인터넷 판매는 약 11%를 차지하며 계속적으로 비중이 커지고 있음.
- 프랑스 소비자들은 전자제품이나 신기술이 탑재된 제품을 오프라인으로 구매하기를 꺼리는 보수적인 면이 있음.
- 오프라인에서 제품을 확인하고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추세
- 특히 업계 전문가들은 로봇청소기와 같이 아직 소비자들에게 생소한 제품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사용법을 보여주고 설명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함.
□ 관세율 및 수입규제, 인증
○ 한-EU FTA로 한국산 제품 관세율 0%
○ 필수 인증
- 전자기기 제품 유럽 수출 시 CE 인증 필수
□ 전문가 의견
○ 전문가들은 로봇청소기가 조금씩 대중화되기 시작함에 따라 성능은 기본이고, 소음 제거 및 반려동물 털 제거 기능 등 다양한 옵션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추세라고 설명
- 그룹 로웬타(Rowenta)의 상품 디렉터인 에밀리 페셰(Emilie Peché) 는 "프랑스 소비자들에게가장 중요한 기준은 성능이지만, 소비자들이 가장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은 소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 36%의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호소했다" 라고 밝힘.
□ 시사점
○ 로봇청소기 시장은 성장 잠재력 높고 가전제품 중에서도 전망이 좋은 시장
- 가사노동에서 최대한 자유로워지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커지는 추세로 최대한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을 수 있는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음.
- 또한 최근 집안에서 스마트폰과 연계해 사용할 수 있는 IoT 제품들이 보편화되는 추세
○ 로봇청소기는 기본적으로 고가의 제품에 속하므로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가 큰 편
- 약점으로 지적된 소음문제와 배터리, 눈 앞의 장애물을 피해 다닐 수 있는 공간인지기술 등이 점점 크게 요구됨.
- 또한 최근 중국기업들이 저가모델을 출시하며 가성비가 중요한 키워드 떠오름.
○ 프랑스 가전제품 시장 내 전반적으로 LG, 삼성 등 한국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는 큰 편이나 한국산 로봇청소기의 수입량은 매우 적은 편
- 프랑스로 진출하려는 중소기업들의 경우, 현재 한국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가 좋은 편인 만큼 가격경쟁력을 갖추어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는 방식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Euromonitor, GTA, 프랑스 관세청, Darty, 일간지 Le monde, Les echos, Kotra 파리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