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세(別歲)
[요약] (別: 헤어질 별. 歲: 해 세)
한 해를 보낸다는 말. 섣달그믐날 밤에 집안 곳곳에 불을 밝히고 잠을 자지 않는 풍속. 섣달 그믐밤을 날밤으로 새우는 풍속은 묵은해를 지키기 위한 것(守)이라 했고 또는 묵은해를 정성스레 전별 보내려는 것(別)이라 했음.
또한 사람의 죽음을 말하기도 함(別世).
[동어] 경신수야(庚申守夜), 수세(守歲), 불 밝히기, 해 지킴.
[출전] 《쇄쇄록(瑣碎錄),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등.
[내용] 중국 송(宋)나라 때 온혁(溫革)의 『쇄쇄록(瑣碎錄)』에 “섣달그믐날 밤에는 신불(神佛) 앞이나 마루, 방, 변소 등에 새벽까지 불을 밝혀 집안에 광명을 주었다.”라고 하였고, 맹원로(孟元老)의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에는 “섣달그믐날 밤 사람들이 집에서 화롯가에 둘러앉아 아침이 되도록 자지 않는데, 이를 수세(守歲)라 하였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중국 촉(蜀)나라 풍속을 기록한 대목에 섣달그믐날 잔치를 베풀어 술과 음식으로 서로 맞이하는 것을 별세(別歲)라 했고, 밤에 불을 밝히고 자지 않는 것을 수세(守歲)라 하여 이 풍속이 중국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였다.
[관련속담] 섣달그믐날 밤에 잠을 자면 굼벵이가 된다, 섣달그믐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세 [守歲]
송(宋)나라 때 대문장가 소동파(蘇東坡= 소식.蘇軾)는 촉(蜀)땅의 풍속인 별세(別歲)를 이렇게 노래했다.
별세(別歲) 소식(蘇軾)
오랜 친구가 천리 길 떠나려 할 때,
이별을 하려하니 차마 발길 떨어지지 않네.(故人適千里,臨別尚遲遲.)
사람이야 갔다가도 다시 돌아 올 수 있지만,
가는 세월은 어찌 쫓아 갈 수 있는 가(人行猶可復,歲行那可追.)
세월에게 물어보세! 어디로 가느냐고,
거기는 멀리 저 하늘 끝이라네.(問歲安所之,遠在天一涯.)
이미 동으로 흐르는 물을 따라가니,
바다로 들어가면 돌아오는 때를 모른다네.(已逐東流水,赴海歸無時.)
동쪽 이웃집 술도 잘 익었고,
서쪽 집에 돼지도 살이 토실토실 해졌다네.(東鄰酒初熟,西舍彘亦肥.)
잠시 오늘 하루라도 즐기면서,
다 지나가려는 이 해의 슬픔을 위로하세.(且為一日歡,慰此窮年悲.)
묵은 해 가는 것 탄식하지 말게나,
새 해가 와도 이별 할 날 또 오는 것이네.(勿嗟舊歲別,行與新歲辭.)
가고 가면서 뒤돌아보지 말게
그대에게 老衰(노쇠)만 주니 어서어서 가시게.(去去勿回顧,還君老與衰.)
이하[문화일보] 박석 교수의 古典名句 別歲의 글.
人行猶可復 歲行那可追(인행유가복 세행나가추) 사람은 떠나도 다시 돌아올 수 있지만 세월은 떠나면 어찌 쫓아갈 수 있으랴?
송대 소식(蘇軾)의 ‘별세(別歲)’에 나오는 구절이다. 그의 고향 촉 지방에는 연말이면 가까운 사람끼리 서로 선물을 주고받는 궤세(饋歲), 술자리를 벌여 한 해와 작별하는 별세, 제야를 지새우는 수세(守歲) 풍습이 있었다. 막 과거에 급제해 멀리 지방관으로 근무하던 소식은 연말이 되자 고향과 가족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아 ‘궤세’ ‘별세’ ‘수세’ 세 편의 시를 지어 동생 소철에게 보냈다.
시인은 노래한다. 먼 길 가는 친구는 아쉬움 때문에 작별할 때는 걸음이 더욱 더뎌지는데 세월은 그렇지가 않다. 게다가 사람은 멀리 떠나도 다시 돌아올 기약이나 있지만, 세월은 한번 가고 나면 끝이다. 어디 가는지 물어보아도 저 멀리 하늘가라고 답할 뿐, 물결 따라 바다로 가고 나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그냥 오늘 하루 즐겁게 술이나 마시며 한 해를 위로하자. 묵은해 보낸다고 탄식하지 말고 새해를 맞아 새 인사 나누자. 세월을 의인화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명시다.
어릴 때는 시간이 천천히 흘러갔는데 지금은 시간이 왜 이리 빨리 흘러가는 것일까. 새해를 맞으며 희망찬 계획을 짤 때가 엊그제 같은데 특별히 이룬 것도 없이 올 한 해도 저물어간다. 내 나이도 이제 남은 날이 지나간 날보다 훨씬 적은데…. 이런 생각들이 밀려올 때는 아쉬움과 더불어 조급함이 들기도 한다. 이럴 때 나는 술로 달래기보다는 차분히 눈을 감고 명상한다. 그래, 강물이 밤낮없이 흘러가듯이 시간도 매 순간 흘러가는 것이니 연말이라고 해서 특별히 아쉬워할 것은 없다. 그보다는 오늘 하루에, 지금 이 순간에 최선을 다하자. 그리고 과거에 대한 후회나 미래에 대한 걱정보다는 지금 여기 나에게 주어진 행복을 만끽하자. 마음이 저절로 편안해진다.
상명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