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리
백합과 나리는 무엇이 다를까. 원래는 같은 말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백합(百合)은 한자어이고, 나리는 우리말이라는 점밖에 없습니다. 흔히 백합이라는 이름 때문에 '백합은 하얀꽃'이라고 생각하는데, 백합의 '백'은 '흰 백(白)'이 아니고 '일백 백(百)'이랍니다. 백합은 구근(알뿌리)식물인데, 구근의 비늘줄기가 백여 개 모여 있다는 의미로 백합이라는 이름을 쓴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의 인식이 변하면서 향기가 진한 개량종 원예종만을 따로 백합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나리꽃은 종류가 많아서 꽃을 피우는 시기에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6월 중순경에 꽃을 피우는 털중나리를 시작으로 초가을까지 연속적으로 꽃을 피웁니다. ? 붉은 색인 토종 나리의 원산지는 우리나라입니다. ? ?여러 문헌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 때는 견내리화, 그리고 대각나리로 불리다가 조선시대에는 견이일, 개이일이, 동의보감에서는 '개나리불휘'로? 표시되었으며
19세기 초 조선 순조 때의 '물명고'에는 ?흰 백합을 '휘날이'로 ?붉은 꽃이 피는 산단(山丹)을 '산날이'로 붉은 꽃에 검은 반점이 있는 권단(卷丹)을 '개날이'로 표시되었던 이름이 변하여 지금의 '나리'가 되었다고 합니다.
원예식물로 널리 심고 있는 백합도 나리속에 속는 식물이지만 나리라고 부르지 않으며, 나리속 식물 중에서 특히 참나리만을 나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밖에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개나리도 줄여서 나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세계에서 자라는 100여 종(種)의 나리속 식물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10여 종을 볼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여러해살이풀로서 둥그런 비늘줄기를 지니고, 꽃은 6장의 꽃덮이조각으로 이루어졌다.
이 식물들은 크게 2무리로 나누어지는데 울릉도에서 자라는 섬말나리,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고 있는 하늘말나리와 같이 줄기에 6~10장의 잎들이 줄기를 감싸고 달려 있는 종류들과 참나리. 땅나리처럼 그런 잎을 지니지 않는 종류들이 있다.
이 가운데 참나리와 하늘말나리의 비늘줄기는 봄·가을에 캐서 굽거나 쪄서 먹으며, 어린잎은 나물로 만들어 먹는다. 나리속 식물들의 비늘줄기를 약으로 쓰기도 하는데, 특히 참나리의 비늘줄기를 으뜸으로 여기고 있다.
나리꽃의 꽃말은 “순결, 깨끗한 마음”입니다.
- 글 출처 : daum 카페 -
|
출처: 인생 원문보기 글쓴이: 덕산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세상에나!!!!예뻐죽겠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감사합니다.
_()_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_()_
감사 합니다
행복 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