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플레이션으로 저렴한 가격의 기본 식품들을 사기가 어려워 졌습니다.
김밥, 햄버거, 치킨, 커피 가격이 계속오르고, 냉면 가격도 15,000원을 돌파했습니다.
집에서 만드는 것도 농산물가격 폭등으로 어렵습니다.
이러한 음식을 파는 소상공인도 매출이 줄 것을 걱정하고있습니다.
Inflation makes basic food items unaffordable for many
인플레이션으로 많은 사람들이 기본식품 구매불가능
By Ko Dong-hwan 고동환 기자
Posted : 2024-05-07 16:36 Updated : 2024-05-07 17:43
Korea Times
Inflation, which has persisted for months, has started to impact the country's typically most affordable food items.
몇 달째 지속되고 있는 인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가장 저렴한 식품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Prices of gimbap (seaweed rice rolls), hamburgers, coffee, and even side dishes — common food choices that people could enjoy without spending a lot of money — have been on the rise. The inflationary impact is broad and it remains uncertain how long the price hikes will continue.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도 먹을 수 있는 일반적인 음식인 김밥, 햄버거, 커피, 심지어 반찬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의 영향은 광범위하고 가격 상승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는 불확실하다.
Some of the country's most popular chains for gimbap, instant noodles, fast food and other affordable dishes have increased the prices of their popular meal items.
김밥, 라면, 패스트푸드 등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체인점 중 일부는 인기 있는 식사 품목의 가격을 인상했다.
For example, TeacherKim raised its gimbap price from 4,300 won to 4,500 won. Gimgane increased the prices of its two popular gimbap menu items, from 3,900 won to 4,500 won and from 4,900 won to 5,500 won.
예를 들어, 김교사는 김밥 가격을 4,300원에서 4,500원으로 인상했다. 김가네는 김밥 인기 메뉴 두 품목의 가격을 3,900원에서 4,500원으로, 그리고 4,900원에서 5,500원으로 인상했다.
McDonald's, the most popular fast food restaurant chain here, made headlines earlier this month when it announced it will raise the prices of 16 products by 2.8 percent. The price of a Big Mac set rose from 6,900 won to 7,200 won and the McSpicy Shanghai burger from 6,900 won to 7,100 won. The prices of other burgers also rose by 200 won to 400 won. The brand also raised prices in November last year.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 체인점인 맥도날드는 이달 초 16개 제품의 가격을 2.8% 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하여 화제가 되었습니다. 빅맥 세트의 가격은 6,900원에서 7,200원으로,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는 6,900원에서 7,100원으로 올랐습니다. 다른 버거들의 가격도 200원에서 400원으로 올랐습니다. 이 브랜드는 또한 작년 11월에 가격을 올렸습니다.
Fried chicken chains, the country's top choice for take-out or delivery, have raised prices more drastically. Goobne raised the prices of nine products by 1,900 won and Popeyes by up to 800 won. Kyochon F&B raised the price of its signature chicken menu from 20,000 to 23,000 won. Including the delivery charge, ordering a whole chicken now costs nearly 30,000 won for most local fried chicken vendors.
테이크아웃 또는 배달의 국내 최고 선택인 치킨 체인점들은 가격을 더 크게 인상했다. 굽네는 9개 제품의 가격을 1900원, 뽀빠이는 최대 800원 인상했다. 교촌에프앤비는 대표 치킨 메뉴의 가격을 2만원에서 2만3000원으로 인상했다. 배달료를 포함하여, 현재 대부분의 지역 치킨 판매점에서 통닭 한 마리를 주문하는 것은 거의 3만원이다.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Tuesday, prices of the 39 most popular food items in the country –including tteokbokki, bibimbap, gimbap and hamburgers – increased by 3 percent on average last month.
화요일 통계청에 따르면 떡볶이, 비빔밥, 김밥, 햄버거 등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39개 식품의 가격이 지난 달 평균 3% 올랐다.
The Korea Consumer Agency reported on Monday that eight all-time-favorite food items in Seoul displayed price increases of up to 7 percent in March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한국소비자원은 3월 서울의 8개 품목에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최고 7%의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고 월요일 밝혔다.
Naengmyeon (cold noodles), one of the food items whose price has increased the most, rose 7.2 percent, and a bowl now costs 11,500 won on average. Upscale restaurants in Seoul have raised their naengmyeon prices by 1,000-2,000 won to 15,000-16,000 won per bowl.
가장 많이 오른 냉면은 7.2% 올라 한 그릇 평균 가격이 1만1500원이다. 서울 시내 고급 음식점들은 한 그릇에 1,000~2,000원 오른 1만5,000~1만6,000원에 냉면 가격을 올렸다.
Park Sung-joo, 41, a housewife with three young children, said her family used to eat fried chicken and other fast food, but they have now become unaffordable.
어린 자녀 3명을 둔 주부 박성주(41)씨는 예전에는 가족들이 치킨 등 패스트푸드를 먹었지만 이제는 감당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Fried chicken or pizza used to be our favorite choices for meals when they cost around 20,000 won. Now, prices have gone up to 30,000 won to 40,000 won and we cannot afford them anymore," she said.
"치킨이나 피자는 2만원 정도면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었습니다. 지금은 가격이 3만~4만원까지 올라서 더 이상 살 여유가 없습니다," 라고 그녀가 말했습니다.
Park said she now cooks more often instead of dining out or having food delivered.
박씨는 이제 외식이나 음식 배달 대신 요리를 더 자주 한다고 말했다.
However, grocery shopping has become more expensive than before. Following the sharp rise in prices of fruits and other agricultural products earlier this year — including an over 80 percent increase in the price of apples — prices of other items are also steadily increasing.
하지만, 식료품 쇼핑은 전보다 더 비싸졌다. 올해 초 과일과 다른 농산물 가격의 급격한 상승에 이어 사과 가격의 80% 이상을 포함한 다른 상품들의 가격 또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Due to a cocoa price hike, Lotte Wellfood increased the prices of 17 of its confectionery and ice cream products by 12 percent. Additionally, a rise in the price of seaweed prompted Sung Gyung Food to raise the retail prices of its dried seaweed products by 10 percent last month. Kwangcheonkim also raised product prices by 15-20 percent.
코코아 가격 인상으로 인해 롯데웰푸드는 17개의 제과류와 아이스크림 제품의 가격을 12% 인상했다. 게다가, 해조류의 가격 상승은 지난 달 성경식품이 마른 해조류 제품의 소매 가격을 10% 인상하게 만들었다. 광천김은 또한 제품 가격을 15-20% 인상했다.
Food company officials said unstable oil prices and a weak Korean won against the U.S. dollar have caused local food manufacturers to be hit by rising costs of ingredients, wages and logistics, forcing them to raise product prices.
식품회사 관계자들은 불안정한 유가와 미달러화에 대한 원화 약세로 인해 국내 식품 제조업체들이 재료비, 임금 및 물류비 상승으로 타격을 받고 있어 제품 가격을 인상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Inflation인플레이션 #Food식품 #Gimbap김밥 #Hamburger햄버거 #Coffee커피 #Sidedishes반찬 #Fastfood패스트푸드 #Chicken치킨 #Coldnoodles냉면 #Koreanwon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