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형태에 따른 에너지 시스템의 분류
운동의 시간에 따라서는 운동을 하고 힘을 발휘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위해서는 ATP가 필요한데,
신체에 ATP가 없다면
자신의 근육을 움직이거나 수축할 수 없게 되며,
이러한 ATP는 근육내에 소량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근육의 수축과 반복을 위해서는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재공급 되던지,
아니면 다른 형태의 에너지원이 사용되어야 할 것입니다.
에너지 시스템은 운동형태에 따라
①인원질 시스템 (ATP-PC체계)
②젖산계 시스템(Lactate system)
③유산소계 시스템(Aerobic system) 의
3가지 단계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ATP가 반복적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통해
에너지가 공급되고, 근육이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즉 기본 ATP량은 적기 때문에 운동시작 3초만에 소진되며,
이때 근육내에 저장된 '크레아틴 인산'안에 포함된 인산이
ADP와 반응하면 ATP가 만들어지고,
에너지로 공급어서
근육은 다시 몇초간 더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운동초기에는 이렇게 '크레아틴 인산'으로 에너지를 사용했다가,
운동시간이 길어지면 포도당과 지방이 분해되면서
만들어지는 에너지(젖산 or 피르부산)를 사용해서
근육이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즉, 운동 초기에는
ATP > 크레아틴 > 포도당분해 > 지방분해의
순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고,
운동시간이 길어질 수록
지방분해 > 포도당분해 > 크레아틴 > ATP의 순으로
에너지 공급비율이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운동시간이 짧고, 격렬한 고강도의 운동일 수록
ATP와 크레아틴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비중이 높아지며,
운동시간이 길어지고 저강도의 운동은
포도당(섭취한 음식, 글리코겐)과 지방(체지방)이
에너지로 사용되는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달리기의 경우를 예를 들어서
에너지 시스템이 어떻게 가동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달리기를 시작하면,
약 3초간 자신이 가지고 있는 근육속의 ATP를 끄집어 내서
에너지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후 8~10초간은
ATP-PC 시스템의 크레아틴 인산이 분해되면서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이러한 ATP-PC시스템은
잛은 시간속에 강력한 파워를 발휘하는 요하는 이것은
100미터 달리기나 역도등과 같은 운동선수들이
근육에 의해 주로 사용되는 에너지 시스템입니다.
운동시간이 더 이상 지속되면,
크리코겐 젖산 시스템으로 에너지가 공급되는데,
중거리 달리기나 단거리 수영과 같은 운동과 근력운동 같은
무산소운동에 주로 사용되는 에너지 시스템입니다.
그리고 운동시간이 계속적으로 길어지게 되면
유산소 대사과정이 시작되는데,
유산소시스템으로 에너지가 공급되며,
이것은 장거리달리기등과 같은 지구력과 오랜 시간을 요하는
저강도 운동에 주로 사용되는 에너지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순간적인 근육의 폭발력을 보여야 하는
역도나 단거리 달리기,
파워와 근력을 요구하는 근력운동 등은
무산소운동에 사용되는 에너지 시스템으로 작동되는데,
그것이 ATP-PC 시스템과 젖산 시스템입니다.
이에 비하여 낮은 강도로 오랜시간 동안 운동을 하는
달리기, 에어로빅, 걷기, 자전거 타기 같은 심폐지구력 운동들은
유산소 운동에 사용되는 에너지 시스템으로 작동되는데
특히 3가지의 ATP 시스템중
가장 긴시간 동안 많은 량의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운동체계가
유산소계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유산소운동은 에너지의 사용이 높고,
유산소운동의 시간이 길어질 수록
에너지 사용과 체지방 분해도 증가되는데,
체지방을 제거하기 위해서 유산소운동을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유산소운동의 시간이 길어질 수록
근육내 에너지 사용되 높아져서
근손실 또한 그만큼 증대된다고 볼 수 가 있습니다.
근력운동의 경우에도 고반복 운동 형태의 운동으로
운동시간이 길어질 수록,
지방분해 > 포도당분해 > 크레아틴 > ATP의
에너지 비율로 유산소운동 수준이 되어서
근손실 발생이 그만큼 커지게 될 것입니다.


첫댓글 힙업된 대둔근이 상당히 아름답다는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역시 몸은 가꾸면 그 보상이 주어진다는 평범한 사실을 알게됩니다.
공감합니다^..^ 하지만 평범하고 가장 기본적은 것을 항상 실천못하니.. 제 자신을 엄격하게 다스러야겠어요 ㅋ
정보 감사.
기본!!!
기본!!!
쉽게들 말하지만 제일 힘든게 기본지키기 아닐까요^^
항상 좋은정보 많이 배우고갑니다
힙업이 정말보기도 좋더군요.
저도 열심히,,
근데요...저 정도 힙업은 운동으로 순전히 만든게 아닐꺼라 생각해요.유전적차이죠.(골반의 형태포함) 예를들어봐도 우리나라 여자선수들 힙을봐도 알수있는데요.저런 뽈똑한 라인은 못만들어요.전 순진했을땐 무조건 저런운동만 하면 다 저 여자분같은 라인갖는줄 알았거든여.근데 울나라 여자선수들 중에 저런 힙 가진분들 못봤어요..(제가 뒷태에 관심이 많아서 젤먼저 보는게 그부분이라.. ^^:
어느정도의 도움만 될뿐 완벽뒷태에는 한계가 있다는걸 뒤늦게나마 깨달았읍니다. ㅜㅜ
국내 여자배구선수 괜찮습니다^^
우리 인체는 가꿀수록 아름다워 지는 군요
조물주는 위대하다는 것 새삼 느낌니다
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