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1인 및 맞벌이 가구, 고령화 인구 지속 증가에 따라 로봇청소기시장이 확대 중 -
- 최근 중국 소비자 트렌드 및 가전의 스마트화에 대응한 특화부가기능의 중요성이 커짐 -
□ 상품명
제품 | 진공청소기(로보트형) |
HS Code | 8508.19 |
관세율 | 8% |
2018 한·중 FTA 협정세율 | 4.8% |
관련 인증 제도 | 중국 국가인증인가감독위원회의 CCC (중국 강제성 인증제도, 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
주: HS Code 850819류 상품수입 시 수입통관증을 제출해야 하며, 통관 시 상품검역국에서 CIQ검사를 받음
□ 개요
ㅇ 중국 맞벌이 가구, 1인 가구, 고령화 인구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로봇청소기시장이 확대되고 있음. 로봇청소기는 시간을 절약하고, 청소를 편리하게 대신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는 중
- 중국 통계국 인구표본조사(国家统计局人口抽样调查样)의 자료에 따르면 1인가구가 2009년 3651만 가구에서 2016년 5135만 가구로 약 1.4배 증가했음.
ㅇ 최근 특화된 기능을 갖춘 차별화된 로봇청소기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임.
- 로봇 청소기가 보편화되면서 용도에 따라 물걸레 기능, 반려동물 털엉킴 특화기능, 창문 청소기능 등 특화기능을 선호하는 추세. 현지 소비 트렌드에 맞는 제품사양을 고려해 로컬기업과 협력 및 진출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걸레, 세정제, 회전 브러시, 필터 등 소모품의 경우 교체시기가 6개월에서 1년 내이므로 유지 보수 및 교체 수요가 지속확대 전망
□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동향
ㅇ 스마트 가전이란 IoT를 기반으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경유하고, 서버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기기를 사용하는 가전을 의미하는데, 로봇청소기의 제품이나 연구개발도 스마트화 추세로 발전함.
ㅇ 중국 스마트 가전 규모는 2014년 이후 지속 성장함.
- 스마트 가전은 최근 스마트폰과의 연동기술 발달로,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작동 및 관리가 쉬운 특징을 갖추게 돼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2030세대의 사용 확대 전망
중국 스마트가전 시장규모 및 예측
(단위: 억 위안)

주: E는 해당연도 예측 규모임
자료원: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ㅇ 2014년 이후 로봇청소기 연간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임.
-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 시장에서의 2013년 연 매출액이 7억9000만 위안에서 2017년 53억3500만 위안으로 약 6배 이상 증가함. 2018년에는 연매출액 67억4000만 위안, 매출량 483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중국 로봇청소기 연매출량 및 매출액

주: E는 해당연도 예측 규모
자료원: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ㅇ 중국 내 로봇청소기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현재 중국 이외 독일, 미국, 호주, 러시아 등으로 수출함.
중국 로봇청소기 생산규모
(단위: 만 대)

주: E는 해당연도 예측규모
자료원: 지연컨설팅그룹(智研咨询集团)
중국 로봇청소기 수출동향(HS Code 850819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6 | 2017 | 증감률('17/'16) |
1 | 독일 | 43,472 | 47,954 | 10.3% |
2 | 미국 | 29,219 | 46,614 | 59.5% |
3 | 호주 | 30,496 | 33,544 | 10.0% |
4 | 러시아 | 25,866 | 28,102 | 8.6% |
5 | 이란 | 13,001 | 14,903 | 14.6% |
6 | 프랑스 | 8,647 | 12,632 | 46.1% |
7 | 아랍에미리트 연합 | 11,378 | 12,151 | 6.8% |
8 | 칠레 | 5,792 | 8,755 | 51.2% |
9 | 사우디아라비아 | 8,821 | 8,292 | -6.0% |
10 | 이라크 | 4,791 | 6,864 | 43.3% |
자료원: KITA(한국무역협회)
□ 중국 로봇청소기의 스마트화 및 최근 기능별 이슈
ㅇ 시장 및 소비자 조사 기관인 GfK 중국(捷孚凯)에 따르면 로봇청소기의 스마트화는 두 가지 주요 기능으로 나눌 수 있음.
- 첫 번째는 스마트폰 연결 기능으로, 이 기능을 포함한 로봇청소기 유통액 비중은 2015년에 11.4%를 차지했으며 2017년 50.4%로 약 5배 증가함.
- 두 번째는 센서를 통한 AI(인공지능) 기능으로, 이 기능을 포함한 로봇청소기 유통액 비중은 2015년 1.9%에서 2017년 16.6%로 약 8배 증가함.
ㅇ 스마트가전에 속하는 로봇청소기는 현재 주 고객이 젊은 층에 편중돼 있음. 하지만 중국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새로운 소비자 계층으로 등장함.
- 유로모니터(Euromonitor) 에 따르면 중국 65세 이상 인구가 2012년 1억2000만 명에서 2017년 1억5000명수준으로 지속 증가
- 스마트가전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조작법이 어렵지 않은 제품과 음성 명령어 인식 기능이 필요함.
ㅇ 로봇청소기 기능의 최근 이슈
- 로봇청소기의 기능 향상으로 인한 배터리 용량문제 개선을 위해 자동충전방식을 도입하는데, 일정 배터리 잔량 이하가 되면 충전단자에 자동으로 로봇청소기가 도킹해 충전하는 방식임. 충전소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향후 무선충전기능 도입이 필요함.
- 제품 흡입력이 지속적으로 향상하고 있어서, 샤오미의 경우 1세대 1800Pa*, 2세대2000Pa로 향상됨. 흡입력이 낮은 제품의 경우 물걸레 기능 등을 도입해 보완하고 있음.
* Pa(파스칼):압력이나 변형력의 단위
-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 문제로 인해, 청결한 집안 청소를 위해 UV살균(자외선 살균), 스팀청소등 기능도 주목받고 있음.
□ 중국 로봇청소기 경쟁동향
ㅇ 중국 주요 로봇청소기 브랜드 및 가격
- 호상망주간(互相网周刊)과 e-Net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2017년 로봇청소기 상위 5위 브랜드는 科沃斯(Ecovacs, 중국), 艾罗伯特(IRobot 미국),浦桑尼克(Proscenic,대만), 塔波尔(TAB, 중국), 美的(Midea,중국)임.
- 시장 및 소비자 조사 기관인 GfK 중국(捷孚凯)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1000~2000위안 가격의 제품 판매액이 71.1%를 차지했는데, 최근 2000~3000위안 가격대 제품 비중이 2016년 26.6%에서 2017년 55.0%로 약 두 배 상승함. 제품의 발달 및 새로운 기능 추가로 인해 제품 가격대가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음.
- 한국 로봇청소기의 경우 소음, 배터리, 디자인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음. 그러나 한 제품에 여러 기능을 탑재해, 다른 제품들에 비해 가격이 높은 편. 중국 전문 과학기술제품 플랫폼인 ZOL상품가격(ZOL产品报价)에 따르면 한국 브랜드의 로봇청소기는 3000위안 이상의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음.
중국 주요 로봇청소기 브랜드
브랜드
| 이미지
| 제품명
| 제품특징
| 비고
|
科沃斯 (Ecovacs)
| 
| WA30
| 유리창 로봇청소기 전력 중단 시 15분 동안 부착유지 애플리케이션 연동
|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점유율 1위 업체
|
艾罗伯特 (IRobot)
| 
| Braava 380T
| 자동 물걸레, 마른걸레 기능 사각형태 애플리케이션 연동
| 미국 브랜드 글로벌 로봇 청소기 1위 업체
|
米家 (MI)
| 
| 2세대
| 물걸레 기능 자동 충전 기능 청소 메모리 기능 애플리케이션 연동
|
중국 전자제품 제조사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공기 청정기 등 제조 |
海尔 (Haier)
| 
| 海尔T520
| 물걸레 기능 자동 충전 기능 UV 살균 기능
| 중국 가전제품 제조사 2014년 세계 백색가전 시장점유율 9.7%
|
地贝 (Dibea)
| 
| X500
| 방해물 감지 기능 충돌 방지 기능 자동 충전 기능
| 중국 가전업체 청소기 관련 특허 25개 보유
|
三星 (삼성)
| 
| PowerBot VR7000
| 4가지 청소 기능 자동 충전 기능 카메라 센서 애플리케이션 연동
| 한국의 주요 로봇청소기 제조사
|
LG
| 
| VR6540LV
| 초음파 센서 물걸레 기능 청소 예약 가능 애플리케이션 연동
| 상동
|
자료원: ZOL产品报价
□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중국 로봇청소기 수출입 동향(HS Code 850819 기준)
(단위: 천 달러, %)
연도
| 수출
| 수입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2017
| 384,227
| 11.9
| 16,218
| 53.4
|
2016
| 343,406
| -11.0
| 10,573
| -7.4
|
2015
| 358,928
| -42.8
| 11,415
| -21.5
|
2014
| 675,231
| -12.8
| 14,540
| 6.3
|
2013
| 774,557
| 2.5
| 13,672
| 42.5
|
자료원: KITA
중국 로봇청소기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850819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6 | 2017 | 증감률('17/'16) |
1 | 독일 | 3,000 | 4,879 | 62.7 |
2 | 이탈리아 | 3,400 | 4,638 | 36.4 |
3 | 스페인 | 217 | 2,204 | 917.6 |
4 | 멕시코 | 475 | 725 | 52.8 |
5 | 헝가리 | 567 | 604 | 6.5 |
6 | 터키 | 892 | 585 | -34.4 |
7 | 미국 | 448 | 576 | 28.7 |
8 | 스웨덴 | 262 | 513 | 96.0 |
9 | 한국 | 179 | 377 | 110.4 |
10 | 대만 | 336 | 294 | -12.6 |
자료원: KITA
□ 전망 및 시사점
ㅇ 현지 업계 A사 관계자의 의견에 따르면 중국 내 자동화 제품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
- 최근 중국의 대도시에는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면서, 휴식시간을 집안 청소에 사용하고 싶어하지 않는 경향이 강해졌음. 특히 자동화 제품은 젊은 사람들에게 시간과 체력을 아끼게 해주는 유용한 제품으로 인식돼 로봇청소기의 수요가 증가함.
- 주 고객은 스마트 기기에 관심이 많은 젊은 소비자에게 집중돼 있으며, 이들을 대상 온라인 판매 방식을 위주로 함.
- 중국 소비자는 카메라 센서, 네비게이션 센서, 물걸레 일체형, 스마트 기능형 등에 관심을 많이 가짐.
ㅇ 로봇청소기의 AI(인공지능)과 스마트폰 연결 기능의 발달로 효율적으로 청소가 가능해졌으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관리하기 쉬워 제품 사용이 편리해짐. 로봇청소기는 중국의 다양한 형태의 가구에 주목받고 있음.
- 기존 단점인 구간 중복 청소, 충전주기 등을 보완할 청소구간 기억기능, 자동 충전 기능 등 신기능 도입으로 소비자의 만족을 이끌어 내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기능을 지닌 로봇청소기 제품 확대로 로봇청소기 사용 소비자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ㅇ 국내기업의 경우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의 스마트화와 현지 소비트렌드에 대응하는 맞춤형 특화기능과 부품 및 소모품 수요를 고려해, 로컬기업과의 협력 및 시장 진출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됨.
자료원: 중국 통계국 인구표본조사(国家统计局人口抽样调查样), 유로모니터 (Euromonitor),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지연컨설팅그룹(智研咨询集团), 호상망주간(互相网周刊), e-Net연구원, 중국GfK(捷孚凯), 한국무역협회(KITA) 및 KOTRA 시안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