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대차대조표의 자산을 구성하는 항목 중 가장 위에 표시되는 유동자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기업회계기준상 자산과 부채에 대한 유동과 비유동의 분류기준은 1년 기준과 영업주기 기준이 있다. 즉, 유동자산(current assets)이란 원칙적으로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되거나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을 말하지만, 영업주기가 1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재고자산과 회수되는 매출채권 등은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실현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유동자산은 성질 또는 기능에 따라 다시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분류된다.
당좌자산은 1년 내 또는 영업주기 내에 판매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또는 간접으로 현금화해서 사용할 수 있어 유동성이 매우 큰 자산이다. 이와 같은 당좌자산의 구분은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요청되는 구분기준으로 기업이 유동부채 상환에 충당할 화폐성 자산이 얼마나 되는가를 검토(유동비율)하는 데 적합한 구분기준이다.
당좌자산은 다시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예금 등의 단기금융상품, 단기매매증권, 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매도가능증권과 만기보유증권, 단기대여금, 매출채권, 선급비용, 이연법인세자산, 미수수익등 기타의 유동자산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1. 현금및현금성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은 ‘통화 및 타인발행수표 등 통화대용증권과 당좌예금, 보통예금 및 큰 거래비용 없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치변동의 위험이 중요하지 않은 금융상품으로서 취득 당시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것’을 말한다.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할 때 주의할 것은 가입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것을 말하므로 3개월 만기 정기예금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통상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는 보통예금이라도 차입금에 대한 담보로 제공되어 있는 경우 등 사용이 제한되어 있을 경우에는 현금및현금성자산이 아닌 단기금융상품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2. 단기금융상품
단기금융상품이라 함은 기업이 여유자금의 활용 목적으로 보유하는 정기예금·정기적금 등의 단기예금과 기타 정형화된 상품 등으로서 단기적 자금운용 목적으로 소유하거나 기한이 1년 내에 도래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담보로 제공된 예금 또는 법적으로 사용이 제한된 예금 등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예금으로서 1년 이내에 당해 제한 사유를 해제하여 예금을 현금화 할 수 있다면 단기금융상품으로 분류하고 그 제한사유를 주석으로 기재하여야 한다.
그러나, 모든 정형화된 금융상품을 금융상품이라는 계정으로 분류하는 것은 아니며, 기업회계기준서 제8호(유가증권)에서는 수익증권, MMF, 투자일임자산, 뮤추얼펀드 등은 수익자의 보유목적에 따라 단기매매증권, 매도가능증권 또는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투자신탁의 계약기간이 3개월 이하인 초단기수익증권(MMF를 포함한다) 중 큰 거래비용이 없고 가치변동위험이 중요하지 않은 수익증권은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한다.
출처 : S한경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성공투자하세요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