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를 위한 퍼포먼스유머의 기술
WowTV 2007년 11월 4일 직업강좌1 - VOD로 다시보기함
강사: 김창옥 퍼포먼스트레이닝 대표

맞는 말을 기분나쁘게 하는 사람이 있다.
해놓고 내가 틀린 말해? 난 맞는 말만 해
맞긴 맞다. 그러나 그런 모습때문에 인간관계가 안좋고, 성과도 안좋다는 걸 모른다.
아이를 깨울때 부드러운 말이나 스킨쉽으로 깨우면 창의력이 좋아진다.
우리 어머니들 어떻게 깨우는지 다 알지 않는가?
안일어나!!!!!!!!
한번에 안 일어나니깐 그렇게 한건데..
그러니 기술이 필요하다.
음이 나가는 통로가 대화이다.
마음 없이 모든 걸 기술로만 하는 사람도 있다-듣기 싫은 음성 서비스
그러니 맞는 말만 한다고 되는게 아니다.
사람의 마음을 잘 움직이는 사람은
맞는 말+ 인상이 좋은 사람(목소리와 말에도 인상이 있다.)이다.
인상이 좋은 말 (맞는말 기분좋게 하는 법)
1. 유머가 있어야 한다.
유머의 어원은 인간, 라틴어 Human이다. 웃기다가 아니라 (심리적으로)흐르다다.
삶이 흘러야 유머가 되는것이다.
자기는 흐르지 않는데 웃길려고 하는 건 썩소다.
한국 사람은 잡을 줄은 아는데 놓을 줄은 모른다.
사람이나 돈이나 인간관계나 모두 그냥 하는게 아니라 놓고 해야 한다.
그래야 인생의 좋은 공연을 할 수 있다.
인생을 아버지 원수 갚듯이 하는 사람이 있다
영업도 처음에 시작하면 그렇게 한다.
그러나 오래못간다.
애들을 놔둬라. 남편도 놔더라.
놔서 돌아오지 않는 놈은 잡아서도 돌아오지 않는다.
외로워서 결혼한 여자는 결혼해도 외롭다.
외로우니깐 집착하는 것이다.-직업, 아이, 남편, 쇼핑
유머라는 것은 예상치 못한 놀라움. 해학, 반전
그럴려면 삶을 놔줘라.
놔도 안죽는다.
낮에는 죽기 살기로 죽어라. 저녁에는 놔라.
사랑은 집착이 아니라 집중이다.
그럴려면 놓아주어야 한다.
음악에는 쉼표가 있다.
쉼표없이 계속달리는 건 음악이 아니라 소음이다.
삶도 그렇다.
2. 무장해제
여자들은 이쁜척하는 여자를 척하면 안다
척을 안하려면 상대를 사랑하면 그리고 마음이 건강하면 척하지 않는다.
자존감- 내가 소중하니까 내 마음을 보담고 살피는 것이다.
오프라 윈프리-독서, 진실을 자신의 성공의 비결.
진실은 사실을 인정하는 것..
사건 상처를 통해서 자신을 지키니깐 자꾸 척하게 된다.
타인은 다 아는데 나만 모른다. 결국 진상이 된다
상처받은 우리 맘을 달래기 위해 울어라. 기쁠때는 웃어라.
울지 않는 이유는 괜찮냐고 물어봐 주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생기있는 자기 얼굴이 가장 영향력있는 얼굴이다.
옆에 있는 사람을 안아주면서 괜찮아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괜찮치 않으면 그 때 눈물이 주루루 나온다고 한다.
김창옥 강사님 어록 (예전의 어록같은데... 업그레이드 된 지금의 강의내용들이 더 좋은 것 같다.)
* 변화란 사람의 마음을 여는 것이다.
* 탄력과 변화 있는(생동감 있는) 보이스가 목표이다.
-> 집중 -> 영향력 -> 변화
*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려면 Lesson 의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 정통을 알아야 Semi 가 가능하다
- 세미 클래식을 하기 위해 클래식(성악) 전공
* 무엇이든지 철학과 원칙이 있어야 한다.
* 소리는 자신의 인격, 지식, 지성, 성품, 내면 + 몸이다.
* 소리에는 느낌과 매력이 있어야 한다.
*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메시지와 메신저가 좋아야 한다.
- 메시지(내용)는 좋은데 메신저(강사)의 자질부족인 경우가 많다.
* 신세대는 철학이 없고, 구세대는 자유롭지 못한 것이 문제이다.
- 형식과 틀에 얽매여 있기 때문에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 작은 무대에 서려면 끼와 재능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큰 무대에 서려면 반드시
자신만의 철학이 있어야 한다.
- 호흡, 기질, 성품, 역량, 마인드
* 보이스는 Fresh, Smart, Bright 해야 안정감 있고 리드미컬 하게 들린다.
* 변화는 일순간에 또 단기간에 이룰 수 없지만 꾸준한 트레이닝으로 가능하다.
* 본질은 외모가 아니라 내공(내면)이다. 그것이 바로 매력이다.
* Attention과 Relax의 밸런스가 필요하다.
- 집중을 유도해 어필하기 쉽다.
* 공연을 앞두고 긴장완화를 위해 마인드 컨트롤이 필요하다
- 호흡과 명상, 스트레칭, 편안한 대화와 유머
* 변화를 위해선 좋은 메시지 & 양질의 컨텐츠 + 훈련된 메신저가 필요하다.
* 비즈니스는 생존경쟁이며 냉정하다.
* 공기업(한전) 직원은 안정적인 기득권이 보장되기 때문에 변화에 대한 동기부
여가 어렵다.
* 진정한 변화를 위해선 효율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꾸준한 수양(수련)으로
좋은 습관을 들여 언행일치를 이루어야 한다.
* 변화를 위해선 몸과 마음 모든 것이 바뀌어야 한다.
* 체계적인 트레이닝을 위해선 룰, 질서, 레슨, 경험 등이 필요하다.
* 미국에선 보이스 컨설팅이 백악관, 상/하원 의원, 배우와 관리자들의 기본적
인 트레이닝 코스이다.
* 순수함을 가진 어린이나 청소년들은 질서(원칙과 철학)를 습득하게 되면 무섭
게 변화한다.
* 영업냄새 나는 영업사원, 서비스 냄새나는 서비스맨은 룰을 모르기 때문에 마
음을 움직일 수 없다.
* 보이스의 원칙 : “ 말하듯이 말하라 ”
* 프로는 컨디션에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히 성적을 낸다.
* 강의 후에 피로감이 밀려온다면 그것은 스스로 체화된 자기 말이 아니기 때문
이다.
* 서비스란 현실감이 있어야 한다. 현실과의 괴리감이 고객을 부담스럽게 한다.
*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고통과 스트레스만 줄 뿐이다.
* 히브리어로 가르치다와 배우다는 같은 단어이다.
* 거짓말 하거나 스스로를 속이지 말라
* 무대에서 필요한 것은 표현하는 연습과 원칙, 철학이다.
* 발표와 말하기의 차이점을 명심하라
* 무대는 삶의 응집이다.
* 교육이란 무서운 변화 잠재력을 가진다.
- 항상 그 사람과 많은 시간을 함께하기 위해 노력하는 體化(체화) 과정을 거쳐
라
* 體化(체화)의 원리 : 어떻게 하면 그 사람의 장점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까?
* 소리에는 말하는 사람의 철학이 담겨있다.
* 10년이면 기술이고 100년이면 철학이다.
* 진정한 서비스란 왕 대접이 아니라 인간 대 인간으로 다가가는 것이다.
* 따뜻하고, 자연스럽고, 안정적이며, 진실 된 인간이 되라
* 말하듯이 노래하라
* 삶과 무대는 같아야 한다.
* Color는 같아야 한다.
* 이젠 무대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
* 무대에서의 원칙과 철학을 삶으로 가져오고자 하는 것이 강사가 된 동기였다.
* 평정과 안정감, 철학이 큰 무대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
- 집중력을 높이고 마인드 컨트롤
★ 매너리즘에 빠져서 고민하고 있는 강사들이여 터닝 포인트를 만들라!!!
흐르는 삶을 위해 일상에서 하면 좋은 것
- 차 마시기 차 만났다(여운, 향기, 느낌)
한국 사람은 먹어버려. 아 뜨거워. 같이가.!!
어떤 사람은 생각을 많이 하기도 한다. 어떤 사람은 고민도 하고 (고민차)
관상: 자신을 볼 수 있는 힘
그렇게 차를 마셔야 한다. 감정에서 나와보면 세상을 평온하게 바라볼 수 있다.
- 산책하기
혼자하기. 그러면 편안하게 내려온다. 흙에서 향이 나고
생각이 정리가 되버린다. 사건에서 나와서 편안한 마음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