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심박을 이용한 운동법입니다.
저두 스마트로라를 장만해서 파워를 측정할 수 있기 전까지 활용했던 방식이였습니다.
일단 검색을 해보시면 여러가지 이론들과, 기기업체들별로 다양한 적용방식이 존재합니다.
저는 그중에서 가장 간단해보이면서도 합리적으로 보이는 카르보넨 공식으로 적용해 보았습니다.
* 카르보넨 공식 : 안정기심박 + 심박구간차(최대심박-안정기)*적용비율
* 주변의 헬스장에서 제시하는 최대심박기준도 같이 계산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최대심박기준은 안정기 심박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오차가 꽤 있어 보입니다.
즉, 아래 심박표 몇년전 제 기준인데.. 최대심박기준으로 하면 한계점이 146으로...
실제 심박계를 차고 운동을 해보면 이정도는 한계치가 아니라 약간 힘든정도 수준으로
카르보넨 공식기준인 Tempo영역이 타당할듯 합니다.
안정기 | 48 |
최대심박 | 182 |
심박존 | 적용비율 | 카르보넨 공식 | 최대심박기준 |
Zone 5 | 무산소(Vo2Max) | 90% | 169 | 164 |
Zone 4 | 한계점(Threshold) | 80% | 155 | 146 |
Zone 3 | 유산소(Tempo) | 70% | 142 | 127 |
Zone 2 | 보통(Aerobic) | 60% | 128 | 109 |
Zone 1 | 지구력(Recovery) | 50% | 115 | 91 |
나이에 따라 최대심박을 산출하는 공식이 있지만...
산출공식은 건강상태 편차가 적은 젊은 층에게는 어느정도 맞으나
건강상태, 운동수준 등에 따라서 편차가 큰 중년층 이후는 심박계로 직접 측정하는 방식을 추천드립니다.
먼저 심박을 알려면 당연히 심박계가 있어야 하고요 그리 비싸지 않습니다. 몇만원이면 장만할 수 있고요
1. 안정기 심박 : 한숨 푹자고..아침에 눈떠서 몸을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심박입니다..
앞전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지구력 운동을 많이 하신분은 안정기 심박이 낮습니다.
네 낮을수록 좋은겁니다.
2. 최대심박 : 이건 심박계차고..숨이 넘어갈때까지 고강도의 운동을 하시면서 측정하시면 됩니다.
혹시 그러다가 심장에 이상오는것 아니냐..걱정하시는 분도 있겠지만.. 특별한 병증이 없는 건강한 분이라면
전혀 걱정안하시어도 된다고 합니다. (인체가 알아서 이상생기기 전에 그만두게 만든다고 합니다.)
역시 운동을 많이 하신분들이..최대심박이 높습니다.
** 측정요...업힐에서 제대로 개거품한번 물면 됩니다.. 크... (혹은 로라에서 인터벌 세게 칠때..측정)
3. 심박구간차 (최대심박 - 안정기 심박 차이)
사실 이 부분이 더 중요합니다. 심박구간차이가 클수록 관리가 잘된 건강한 신체입니다.
심박구간의 폭이 커서 좀더 안정적으로 운동수준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사실 심박방식으로 운동을 관리하는 방식은 파워기준으로 하는것보다 몇가지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1. 몸컨디션, 즉 스트레스나 건강상태에 따라서 심박이 변합니다.
2. 장시간 운동을 하면 몸이 알아서 적응해버려(심박 동조화 현상) 심박이 정상적으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애용하는 이유는 파워를 측정하는 고가의 장비없이
몇만원짜리 심박계로도 효과적으로 운동을 관리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입니다.
자..살을 효과적으로 빼시고 싶으신 분은
심박계를 장만하시고...측정해보신 다음에 상기방식으로 계산해서 존구간을 산출해 놓고.
Zone2나 Zone3영역 수준으로 꾸준히 운동을 하시면
가장 효과적으로 지방을 태워버립니다 ~~~~~
아.. 상기 내용은 당연히 자전거뿐만 아니라 모든 운동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