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Ce que je propose, c'est que nous acceptions de mourir en nos enfants et que les étrangers qui nous ont défaits prennent en eux toute la place que nous aurons laissée libre."**의 구조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전체적인 구조
이 문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
문장을 요소별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2. 첫 번째 절 분석: Ce que je propose, c'est que nous acceptions de mourir en nos enfants
➡ "Ce que je propose,"
- "Ce que" → 관계 대명사 (목적어 관계대명사)
- "je propose" → 주어(je) + 동사(propose)
- **즉, "내가 제안하는 것은"**이라는 의미.
➡ "c'est que nous acceptions de mourir en nos enfants"
- "c'est que" → 강조 구문 ("~하는 것이다.")
- "nous acceptions" → 접속법 현재 (acceptions, 1군 동사 "accepter"의 1인칭 복수형)
→ 접속법이 쓰인 이유: 제안(제안 동사 "proposer" 이후에는 접속법이 온다.) - "de mourir" → "죽는 것을"
- "en nos enfants" → "우리의 아이들 속에서" (즉, 후세대에서 사라지는 것을 의미함)
✔ 해석: "내가 제안하는 것은 우리가 우리의 아이들 속에서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3. 두 번째 절 분석: et que les étrangers qui nous ont défaits prennent en eux toute la place que nous aurons laissée libre.
➡ "et que les étrangers qui nous ont défaits"
- "et que" → 두 번째 종속절을 연결하는 접속사
- "les étrangers" → 주어 ("외국인들")
- "qui nous ont défaits" → 관계절 (les étrangers를 수식)
- "qui" → 관계대명사 (주격)
- "nous ont défaits" → 과거시제 (복합과거)
- "défaire" (패배시키다)의 과거분사 "défaits"
- 즉, "우리를 패배시킨 외국인들"
➡ "prennent en eux toute la place que nous aurons laissée libre."
- "prennent" → 동사 "prendre"의 3인칭 복수 현재형 ("차지하다")
- "en eux" → "그들 속에서"
- "toute la place" → "모든 자리"
- "que nous aurons laissée libre" → 관계절
- "que" → 목적어 관계대명사 ("장소를 가리킴")
- "nous aurons laissée" → 미래완료형 ("우리가 남겨 둔")
- "libre" → 형용사 ("비워둔")
✔ 해석: "그리고 우리를 패배시킨 외국인들이 우리가 남겨 둔 모든 자리를 그들 속에서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4. 문장 구조 도식 [Ce que je propose], [c'est que nous acceptions de mourir en nos enfants] (목적어 관계대명사 절) (강조 구문 + 명사절) et [que les étrangers qui nous ont défaits prennent en eux toute la place que nous aurons laissée libre.] (접속법 명사절) (관계절)
5. 결론 및 자연스러운 해석
✔ "내가 제안하는 것은 우리가 우리의 아이들 속에서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우리를 패배시킨 외국인들이 우리가 남겨 둔 모든 자리를 그들 속에서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6. 문법적 포인트 정리
- "proposer"(제안하다) 동사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종속절에서 **접속법 (subjonctif)**이 사용됨.
- "que nous acceptions" (접속법 현재)
- **"qui"**는 선행사 "les étranger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nous ont défaits" (복합과거) → "우리를 패배시킨"
- **"que"**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 "toute la place"를 받음.
- "nous aurons laissée" (미래완료) → "우리가 남겨 둔"
- "libre" (형용사) → "비워 둔"
➡ 이 문장은 문어체이며, 철학적이거나 시적인 표현을 담고 있다.
동사 "ont défaits" 다음에 동사 "prennent"**이 올 수 있는 이유는 문장의 구조 때문입니다. 문장을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문장 구조 다시 분석
문장:
"C'est que les étrangers qui nous ont défaits prennent en eux toute la place que nous aurons laissée libre."
➡ "C'est que + [명사절]"
➡ 명사절 안에서:
- "les étrangers qui nous ont défaits" → 주어 + 관계절
- "prennent en eux toute la place que nous aurons laissée libre" → 동사 + 목적어 + 관계절
2. 관계절과 주절의 구분
여기서 **"qui nous ont défaits"**는 관계절로, **"les étrangers"**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qui nous ont défaits"**는 **"les étrangers"**에 대한 설명일 뿐, 문장의 주요 동사가 아닙니다.
✔ 주요 동사: "prennent"
✔ 관계절 내부 동사: "ont défaits"
3. 문장 구조 도식화 C'est que [les étrangers qui nous ont défaits] prennent en eux toute la place [que nous aurons laissée libre]. └────────────────── 주어 ────────────────────┘ └───── 동사와 목적어 ─────┘ └── 관계절 ───┘ └── 관계절 ───┘
➡ "qui nous ont défaits" → 관계절이므로 주절의 동사 **"prennent"**과는 별개입니다.
➡ 문장의 실제 주어는 "les étrangers", 그리고 이 주어가 동사 **"prennent"**과 연결됩니다.
4. 비슷한 구조 예제
이 구조는 프랑스어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 예제 1
- "Les étudiants qui ont réussi l'examen entrent maintenant dans la salle."
→ "시험에 합격한 학생들이 이제 교실로 들어간다."
→ "qui ont réussi l'examen"은 **"Les étudiants"**을 수식하는 관계절
→ 문장의 주요 동사는 "entrent"
✅ 예제 2
- "Les soldats qui ont combattu pendant la guerre reçoivent aujourd’hui une médaille."
→ "전쟁 동안 싸웠던 군인들이 오늘 메달을 받는다."
→ "qui ont combattu pendant la guerre"는 **"Les soldats"**을 수식
→ 문장의 주요 동사는 "reçoivent"
✅ 예제 3 (원래 문장과 비슷한 구조)
- "C'est que les citoyens qui ont protesté contre la loi demandent maintenant justice."
→ "그 법에 항의했던 시민들이 이제 정의를 요구하는 것이다."
→ "qui ont protesté contre la loi"는 **"les citoyens"**을 수식
→ 문장의 주요 동사는 "demandent"
5. 결론
**"qui nous ont défaits"**는 **"les étrangers"**를 꾸미는 관계절일 뿐이며, **"prennent"**이 문장의 주요 동사입니다.
✔ **"les étrangers prennent"**이 문장의 기본 구조.
✔ **"qui nous ont défaits"**는 단순히 추가적인 설명을 하는 관계절.
✔ 관계절 내부에 다른 시제(복합과거)인 **"ont défaits"**가 와도 문장의 전체 구조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
➡ 따라서 "ont défaits" 다음에 "prennent"이 오는 것이 문법적으로 완벽히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