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마을에 가난한 대장장이가 11남매를 두고 살았답니다.
대장장이 큰딸은 동생들을 위해 어릴때부터 산이나 들로나가 열심히 쑥과 나물들을 캐와서 먹여 살렸답니다.
동네사람들은 그녀를 "쑥을 캐러 다니는 불쟁이의딸"이란 뜻으로 쑥부쟁이라고 불렀답니다.
그러던 어느날 산에 올라갔다가 덫에 걸려죽어가는 노루 한마리와 함정에 빠진 젊은남자를 구해주게되었답니다.
노루는 풀려나면서 은혜를 꼭 갚겠다는말을하고 사라졌고 남자는 쑥부쟁이가 보살펴주면서 그 남자를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다 나은 남자는 자신은 서울 박 재상의 아들이라 말하면서 부모님께 말씀드려 가을엔 꼭 데리러 오겠다고 떠났답니다.
쑥부쟁이는 매일 그 산에 올라 그 남자를 기다리며 나물을 캤지만 그 남자는 가을이 지나고 겨울이 자나도 오지 않았지요.
그 와중에 어머니가 깊은 병이 들게되었고 아침마다 정한수를 떠놓고 지극정성 기도를 드리는데
구해 주었던 노루가 나타나 세가지 소원을 들어준다는 구슬을 주고 갔습니다.
쑥부쟁이는 먼저 첫번째 구술에 첫번째 소원을 말했습니다.
어머니를 낫게 해달라고요.
그러자 어머니는 씻은듯이 나았습니다.
두 번째는 뺨을 발그레 물들이며 그 젊은 남자를 다시 보게 해달라고 빌었습니다.
그러자 그 남자가 눈앞에 나타나서 용서를 비는것이였습니다.
그동안 까맣게 잊고있었는데 미안하다고 하면서 자신은 이미 좋은집안에 장가를 들었지만
쑥부쟁이와 약속을 이제라도 지키기위해 그 부인을 버리고 새장가를 들겠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쑥부쟁이는 한참 망설인후에 마지막 구슬에 마지막 소원을 빕니다.
사랑하는 남자를 다시 그 아내가 있는 집으로 돌려보내달라고 말이죠.
이리하여 세가지 소원을 다 써버린 쑥부쟁이는 여전히 가난하여 쑥과 나물을 캐러다니며
부모 봉양을하고 동생들 뒷바라지에 고생하며 혼자 살다가 하루는 절벽에서 나물을 캐며 그 남자를 생각하다가 헛걸음을 디뎌
절벽 아래로 떨어져서 그만 숨을 거두게 되었고 그자리에서는 연한 보라빛꽃이 피어나 그 꽃을 쑥부쟁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흰 까실쑥부쟁이<국화과>
국화과의 다년초인 쑥부쟁이를 생약명으로 "산백국"이라고 한다.
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개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섬쑥부쟁이등 지상부를 모두 약용한다.
비슷한 꽃이 피는 종류를 통틀어 '들국화'라고 부른다.
쑥부쟁이의 맛은 쓰며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소풍청열해독, 거담진해의 효능이 있어 기침을 멎게 하고 풍을 게거하며 해열, 해독하며 벌에게
쏘인상처, 풍열로 인한 감기로 열이 나는데, 편도선염, 기관지염, 진해, 거담, 유방염, 종기,
독사에 물린데, 노인성 만성 기관지염, 코피나는데, 천식을 치료한다.
여름과 가을에 뿌리가 달린 전초를 채취하여 신선한 것을 쓰거나 햇볕에 말린다.
하루 20~80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찧은 즙을 마신다. 외용시 짓찧어 바른다.
쑥부쟁이의 효능은 감기에 좋다는것인데. 감기에 걸렸을때 열을 내려주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는 효능이 있다.
가래와 염증도 없애주며 독을 없애는 효능이 있어 약재로도 쓰인다.
비타민 C가 많으며 어깨결림이나 심한 통증이나 복통에 좋은 효과를 낸다.
이 쑥부쟁이가 새로운 효능이 밝혀졌다.
바로 비만에 좋다는 것이다.
쑥부쟁이 추출물을 먹인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실험군에서 몸무게가 15%감소 했으며
지방세포를 생성하는 주요 인자들을 평균 40%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효능 해설]
여름과 가을 사이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려서 약재로 쓴다.
약리실험에서 전초 달임약이 강심작용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 쑥부쟁이는 심장과 관계되는 질환에 주로 쓰이는 약초로 옛부터 알려져 오고 있다.
심장기능부 전에 의하여 생기는 급성심장병과 만성심장병 치유에 효험을 나타내며,
혈맥 계통의 장애 요호를 개선하는 데 약용한다. 그런데 심내막염과 심한 동맥경화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역기능이 일어날 염려가 있으므로 쓰지 않는다.
너무 많은 양을 계속 복용하노라면 맥박이 느려지는 등의 여러 부작용이 일어난다.
아무리 좋은 약이라도 쓰이는 방법에 따라서 부작용이 생기기도 하는 것이다.
숙부쟁이는 심장을 보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위의 뒤쪽에 있는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또한 위장을 조화시키면서 음식을 잘 소화시키는 구실을 한다.
하루 복용량은 10g 정도이다.민간에서는 전초를 달여서 기관지천식, 기침, 몸이 부을 때 써 왔으며,
잎과 씨를 한데 모아 살충약, 가래약으로 썼다.
[식용 방법]
떫지 않고 담백한 맛을 지니고 있어서 오래 전부터 널리 식용해 온 식물이다.
일반적으로 생장점이 되는 어린 잎을 따다가 깨끗이 씻은 다음 가볍게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는다.
양념장은 너무 짙고 짜게 하지 말아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종류의 재료를 섞지 말고 간소하고 담백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쌀과 섞어 나물밥을 짓기도 하는데, 뜸 들일 때에 잘게 썬 잎을 넣는다.
튀김, 볶음으로 쓰고 멸치 국거리에 넣어 먹는다.
[식물 특징]
여러해살이풀로서 땅속 줄기가 사방으로 뻗어 증식되어 나간다.
약간의 가지를 치면서 30~50cm의 높이로 자란다.
줄기는 밋밋하고 푸른빛인데 약가느이 보랏빛 기운이 감돈다.
잎은 마디마다 서로 어긋나게 달리며 길쭉한 타원꼴에 가까운 피침꼴로서 짤막한 털이 깔려 있다.
아래쪽에 나는 잎자루와 함께 결각과 같은 생김새의 톱니를 가지고 있다.
가지 끝에서 나는 잎은 작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잔가지의 끝에 지름이 3cm쯤 되는 꽃이 한 송이씩 피어난다.
빛깔은 연한 보랏빛이고 중심부는 노랗다. 7~10월 중에 꽃이 핀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산기슭과 들판의 양지바른 풀밭 속에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