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y people think so. (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한다.) How many books do you have? ( 얼마나 많은 책을 가지고 있습니까?) (2) much :「많은 ~」, 셀 수 없는 명사 앞.
I don’t drink much water. ( 나는 물을 많이 마시지 않는다.) How much money do you have? ( 돈을 얼마나 가지고 있니?) --> money 는 셀 수 없는 것 알죠? (3) a lot of + 셀 수 있는 것 또는 셀 수 없는 것
A lot of dogs are running. ( 많은 개들이 뛰어가고 있다.) I drink a lot of milk. ( 나는 많은 우유를 마신다. ) (4) a few와 a little : a few는 수의 적음을 나타내고, a little은 양의 적음. 둘 다 긍정의 의미.
a few는「몇 몇의 ~」라는 뜻으로 셀 수 있는 명사 앞에, a little은 「약간의 ~」라는 뜻으로 셀 수 없는 명사 앞.
He has a few friends. (그에게는 약간의 친구들이 있다.) There is a little hope. (약간의 희망이 있다.) (5) few ( 셀 수 있는 명사 앞 ), little ( 셀 수 없는 명사 앞 )로만 쓰이면「별로 없는, 거의 없는」이라는 부정의 의미.
He has few friends. (그에게는 친구가 거의 없다.)
There is little hope. (희망이 별로 없다.) * not a few나 quite a few는「 ( 수가 )꽤 많은」라는 뜻
not a little이나 quite a little는「 ( 양이 )꽤 많은」라는 뜻.
Not a few students went home. ( 꽤 많은 학생들이 집으로 가버렸다.) Not a little honey has been used. ( 꽤 많은 꿀이 사용되었다.)
◆ 부사의 용법 ▲
1. 부사의 의미 : 부사는 동사, 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를 수식하거나, 문장 전체를 수식.
--> 위의 문장에서 well 은 생략하여도 의미는 통한다. 그러나 그는 영어를 어느 정도로 말할 까?
바로 well 이 있으니까 잘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죠 ? 따라서 동사 speak를 well 이 수식하고 있다.
2. 부사가 형용사를 수식하는 경우
This question is very easy. ( 이 문제는 아주 쉽다. )
--> 부사 very가 형용사 easy를 수식한다.
3. 부사가 다른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
Thank you very much. ( 대단히 고맙습니다.)
--> 부사 very가 부사 much를 수식한다.
It is good enough . ( 그것은 아주 좋습니다. ) --> enough가 부사로서 형용사나 다른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수식하는 말 뒤에 온다.
즉 " 형용사 + enough ".
4. 부사가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경우
Unfortunately , she died. ( 불행히도 그녀가 죽었다.)
--> 부사 unfortunately가 문장 전체를 수식한다.
◆ 부사의 종류 ▲
1. 단순 부사
(1) 시간 부사: now, then, before, ago, already, just, later, still, soon, yet, late, early 등과 같이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
I came to help you yesterday. (나는 어제 너를 돕기 위해서 왔다.) (2) 장소 부사: here, there, upstairs, away, far, down, up, back 등과 같이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
Put your hat here. ( 당신 모자를 이곳에 두시오.) (3) 정도 부사: very, much, completely, enough 등과 같이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
She is very beautiful. (그녀는 아주 아름답다.) (4) 양태 부사: well, slowly, politely, safely 등과 같이 모양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부사
He can speak English well. ( 그는 영어를 잘 말할 수 있다.)
(5) 빈도 부사: often, sometimes, always, usually, seldom, frequently 등과 같이 횟수를 나타내는 부사
I often visit my hometown. ( 나는 종종 나의 고향을 방문한다.) 빈도부사의 위치 - 조동사나 be동사 다음에, 또는 일반동사의 앞. She is always late. ( 그녀는 항상 늦는다.)
He always gets up early. ( 그는 언제나 일찍 일어난다. )
He would often go to movie. ( 그는 종종 영화를 보러 가곤 했다.)
2. 의문부사 - 장소, 시간, 이유, 방법 등을 묻는 의문사.
When did she go out ? ( 그녀는 언제 갔습니까? ) Where do you live? ( 너는 어디에 삽니까? ) Why is the girl crying? ( 그 소녀는 왜 울고 있습니까? ) How are you doing? (어떻게 지내십니까?) 3. 관계부사 - 「접속사+부사」의 역할. --------------------> click!!!! 자세한 내용은 15.관계부사로
That is the house where he was born. (저 곳이 그가 태어난 집이다.) --> 위의 문장은 원래 두 개였어요. 한글로 하면? 저것은 집이다. + 그는 그 집에서 태어났다.
--> 이걸 영어로 하면 ????? That is the house. + He was born in the house.
--> 그럼 연결해 보시죠.????? 연결 ? 그럼 접속사가 필요하군요.
--> That is the house and ( 접속사 ) he was born in the house.
--> 가만 있자, 영어는 반복을 싫어하는데... the house 가 두 개나 있네.
--> the house 는 명사니까 대신 대명사로 바꾸고 and 도 귀찮은데 ..... 뭘로 바꿀까???
--> 아하! 관계 대명사 ( = 접속사 + 명사 ) 그럼.... 또 명사가 사물이니까 관계 대명사 which 그럼 해 보세요.
--> click!!!! 자세한 내용은 14. 관계대명사로.
--> That is the house which he was born in. 다른 방법이 또...... 목적격 관계 대명사는 생략 가능하죠.
--> That is the house he was born in. 또, 전치사 앞으로 이동...
--> That is the house in which he was born . 또 있지요. 전치사 + 관계 대명사 = 관계 부사 ( 장소니까 where )
--> That is the house where he was born . 수고했습니다.
--> 쉬운 방법 하나 가리쳐 드리죠!!
That is the house where he was born.에서 where을 기준으로 나누면 앞은 말이 되지만, 뒤는 어때요.
그는 태어났다. 뭔가 부족??? ~ 에서가 없지요. 즉 부사구가 없어요. 그래서 두 문장을 연결해주고 부사구 역할을 하는 것?
바로 관계 부사예요. 장소부사구가 빠진 것 같으면 where, 시간의 부사구가 빠졌으면 when, 이유면 why, 방법이면 how를.
That is the house which he was born in. 에서 in 다음에 뭐가 빠졌나요?
보나 마나 명사죠. ( 전치사 + 명사는 규칙이니까)
그래서 두 문장 연결하는 접속사 와 명사 대신하는 관계 대명사를 쓰면 되요. 선행사가 사물이면 which, 사람이면 who를.
관계 대명사는 격을 따지니까 조심하세요. 14장 관계 대명사 참조.
◆ 주의해야 할 부사 ▲
1. very와 much
(1) very는 형용사, 부사의 원급 ( 보통 쓰는 형용사의 형태 ) 과 최상급 ( 여러개 중에서 가장 ~ 한 ) 을 수식한다.
He is very big. ( 그는 아주 덩치가 크다.)
He is the very biggest boy in his class. ( 그는 그의 반에서 덩치가 가장 크다. ) (2) much는 비교급 ( ~ 보다 더 ~한 ) 강조 와 최상급을 수식한다.
I feel much better. ( 나는 훨씬 더 좋아졌다.)
You don’t know how much I love her. ( 내가 그녀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너는 모른다.)
2. too와 either - 「~도 또한, 역시」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too는 긍정문, either는 부정문.
Have a nice day! - You, too! ( 좋은 하루 되세요! - 당신도요!) He is a singer, too. ( 그는 역시 가수다. ) He is not a singer, either. ( 그는 역시 가수가 아니다. ) If you don’t go, I will not go, either. ( 당신이 가지 않으면, 나도 역시 가지 않을 것이다.) 3. ago와 before - ago는 현재를 기준으로「~ 전에」로 과거 문장에 , before는 과거의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그전
에」로 과거, 현재 완료, 과거 완료에 쓰인다.
I lived in Seoul two years ago. ( 나는 2년 전에 서울에 살았다. ) I saw him three times before. ( 나는 전에 그를 3번이나 본 적이 있다.) I have seen him before. ( 나는 전에 그를 만난 적이 있다.) 4. already, yet, 그리고 st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