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아들. 작은아들’이라 하면 안 된다는데....
이치나 논리는 맞는 것 같은데 일상생활에 쓰이는 정도는 이와는 달라 소견을 말해본다.
[제일 먼저 태어난 아들을 <맏아들>이라고 말한다.
그다음 테어난 아들을 둘째 아들이라하고
그 다음테어난 아들이 끝이면 셋째 아들이라하지않고 끝 아들이라고 말해야 한다.
형제 사이는 시간에 따라 차례로 이름을 지어지는것이므로
그차례대로 말해도 말이 성립된다.
맏아들이라고 말해야 함에도 큰아들이라고 말해서는 안되며
둘째아들 끝 아들이라 해야함에도 작은 아들이라 하면 더더구나 안된다.
형제사이는 대(大),소(小)의 차이가 아니고 앞뒤 즉 前後로 정해진 차례가 질서로 되기때문에
맏, 끝,이라는 차례이름으로 불러야 됨이다.
맏아버지. 둘째아버지.셋째아버지. 끝 아버지라 말해야하며
당연히 맏어머니. 둘째어머니.세째어머니 끝 어머니라 불러야하고 걸림말도 그렇게 된다.
맏딸 둘째딸 셋째딸.끝딸
맏며느리.둘째며느리. 셋째며느리. 끝며느리
맏손자(손녀). 둘째손자(손녀). 끝 손자(손녀).
맏집손자(손녀). 둘째집손자(손녀). 끝집 손자(손녀).
맏손부. 둘째손부. 끝 손부.
맏집 손부. 둘째집 손부. 끝집손부.라는 말이된다.
끝집아들이 둘째 큰아버지라고 말하는데 이는 잘못된 말이다.
둘째 셋째 큰아버지란 말은 없다.
맏집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지차이다.
그렇게 부르면 종반간(사촌간 형제)의 호칭이 전부 달라진다.
절대로 그런 말을 하지말자.
가족간의 호칭
호칭 |
관계 |
특별호칭 |
아버지 |
나를 낳아주신 분 |
부친(父親) 가친(家親) |
어머니 |
나를 길러주신 분 |
모친(母親) 자친(慈親) |
할아버지 |
아버지의 아버지 |
조부(祖父) |
할머니 |
아버지의 어머니 |
조모(祖母) |
증조 할아버지 |
할아버지의 아버지 |
증조부(曾祖父) 한 할아버지 |
증조 할머니 |
할아버지의 어머니 |
증조모(曾祖母) 한 할머니 |
남편 |
지애비, 아비 |
부(夫) 가장(家丈) |
아내 |
지어미, 자기 부인 |
처(妻) 내자(內子) |
아들 |
내가 낳은 사내아이 |
가아(家兒) 돈아(豚兒) |
며느리 |
아들의 아내 |
자부(子婦) |
딸 |
내가 낳은 여자아이 |
여식(女息) |
사위 |
딸의 남편 |
서랑(胥郞) |
형 |
손위형제 |
장형(長兄) 사백(舍伯) 사중 |
형수 |
형의 부인 |
큰 형수(長兄嫂) |
아우 |
손아래 동생 |
사제(舍弟) 동생 |
제수 |
아우의 아내 |
제수(弟嫂) |
누이 |
손위 자매 |
가매(家妹) 언니 |
자형 |
누이의 남편 |
자형(姉兄) 매형(妹兄) |
누이동생 |
손아래 남매 |
매(妹) 가매(家妹) |
매제 |
누이동생의 남편 |
매부(妹夫) 매제(妹弟) |
큰 아버지 |
아버지의 큰형 |
백부(伯父) 중백부(仲伯父) |
큰 어머니 |
아버지의 형수 |
백모(伯母) 중백모(仲伯母) |
둘째 아버지 |
아버지의 동생 |
숙부(叔父) 계부(季父) 삼촌 |
둘째 어머니 |
아버지의 제수 |
숙모(叔母) |
당숙 |
아버지의 사촌형제 |
당숙(堂叔) 종숙(從叔) |
당숙모 |
아버지 사촌의 부인 |
당숙모(堂叔母) 종숙모(從叔母) |
재당숙 |
아버지의 육촌의 형제 |
재당숙(再堂叔) 재종숙(再從叔) |
재당숙모 |
아버지 육촌의 부인 |
재당숙모 재종숙모 |
종조부 |
할아버지의 형제 |
종조부(從祖父) |
종조모 |
할아버지의 형수, 제수 |
종조모(從祖母) |
종형제 |
아버지의 조카 |
사촌형제(四寸兄弟) |
종수 |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
사촌형수, 제수 |
재종형제 |
당숙의 아들 |
육촌형제(六寸兄弟) |
재종수 |
당숙의 며느리 |
육촌형수, 제수 |
조카 |
형, 아우의 아들 딸 |
질(姪) 조카딸(조카사위) |
조카며느리 |
조카의 아내 |
질부(姪婦) |
당질 |
사촌의 아들 |
당질(堂姪) |
당질부 |
사촌아들의 아내 |
당질부(堂姪婦) |
종손 |
조카의 아들 |
종손(從孫) |
재종손 |
육촌의 손자 |
재종손(再從孫) |
호칭 |
관계 |
특별호칭 |
장인 |
아내의 아버지 |
장인(丈人) 빙장 |
장모 |
아내의 어머니 |
장모(丈母) 빙모 |
처백부
처백모 |
아내의 큰아버지 아내의 큰어머니 |
처백부(妻伯父)
처백모(妻伯母) |
고종 |
고모의 아들 딸 |
내종사촌(內從四寸) |
처숙부 |
아내의 둘째아버지 |
처숙부(妻叔父) |
처남 |
아내의 남자 형제 |
처남(妻男) |
처남댁 |
처남의 부인 |
처남댁(妻男宅) |
처조카 |
아내의 조카 |
처질(妻姪) |
호칭 |
관계 |
특별호칭 |
시아버님 |
남편의 아버지 |
시부(媤父) 시아버지 |
시어머니 |
남편의 어머니 |
시모(媤母) 시어머니 |
시숙 |
남편의 형, 시아주버니 |
시숙(媤叔) 서방님 |
동시 |
남편의 형수 |
동시(同媤) 형님 |
동서 |
남편형제의 아내 |
동서(同胥) |
시동생 |
남편의 아우 |
기혼은 서방님, 미혼은 도련님 |
시누이 |
남편의 남매, 아가씨 |
시매(媤妹), 기혼손위는 형님, 손아래는 아우, 미혼은 아가씨 |
호칭 |
관계 |
특별호칭 |
외할아버지 |
어머니의 아버지 |
외조부(外祖父) |
외할머니 |
어머니의 어머니 |
외조모(外祖母) |
외숙 |
어머니의 남자형제 |
외숙(外叔) 외삼촌(外三寸) |
외숙모 |
외삼촌의 부인 |
외숙모(外叔母) |
외사촌 |
외삼촌의 아들 |
외종(外從)형제 |
외종수 |
외삼촌의 며느리 |
외종수(外從嫂) |
외당질 |
외사촌의 아들 딸 |
외당질(外堂姪) 외당질여 |
외당질부 |
외사촌의 아들 딸 |
외당질(外堂姪) 외당질여 |
외당질 |
외사촌의 며느리 |
외당질부 |
진외당숙 |
아버지의 외사촌 |
진외당숙(陳外堂叔) |
호칭 |
관계 |
특별호칭 |
고모 |
아버지의 여자 형제 |
고모(姑母) |
고모부 |
고모의 남편 |
고모부(姑母夫) 고숙(姑叔) |
당고모 |
아버지의 육촌누이 |
재당고모(再堂姑母) |
내종형제 |
고모의 아들 딸 |
내종사촌(內從四寸) |
대고모 |
아버지의 고모 |
대고모(大姑母) 왕고모 |
▲촌수 계산은 어떻게 하나.
촌수(寸數)를 계산할 때는 부부간은 무촌, 부모 자녀간은 1촌, 형제간은 2촌으로 계산한다. 즉 아버지 형제와는 3촌이고, 할아버지 형제와는 4촌이 되는 식이다. * 직계는 촌수를 혜아리지 않는다
한가지 주의! 아버지와 자녀, 할아버지와 손자, 부부, 형제 사이는 원래 촌수를 따지지 않는다. 단순히 계산을 위한 방법일 뿐이다.
나와 항렬이 같을 경우 할아버지가 같으면 4촌, 증조할아버지가 같으면 6촌, 고조 할아버지가 같으면 8촌이다. 나보다 한 항렬이 높을 경우, 할아버지(내가 호칭해야 할 분의 아버지)가 같으면 3촌, 증조할아버지(〃할아버지)가 같으면 5촌, 고조할아버지(〃증조할아버지)가 같으면 7촌이 된다.
▲관계를 가리킬 때, 실제로 부를 때
나와 4촌 형제는 종(從)형제, 6촌 형제는 재종(再從)형제, 8촌 형제는 3종(三從)형제가 된다. 나보다 항렬이 하나 위인 3촌뻘 아저씨일 경우, 큰아버지는 백부(伯父)이고 둘째아버지는 중부(仲父), 나머지 형제들은 숙부(叔父), 막내 형제는 계부(季父)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 부를 때는 큰아버지, 둘째아버지, 셋째아버지… 등으로 부르다 아버지 형제 중 막내인 계부만 끝아버지.막내아버지.작은아버지라고 부른다. 항렬이 하나 위인 5촌은 당숙(堂叔), 7촌은 재당숙(再堂叔)이다. 이때는 관계와 호칭이 같다.
조카를 부를 때는 질(姪)을 사용한다. 4촌 형제의 자녀는 종질(從姪), 6촌 형제의 자녀는 재종질(再從姪)이라고 부른다.
요즘은 삼촌, 사촌, 오촌, 외삼촌 등 촌수를 호칭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원래는 삼촌은 ‘숙부’, 사촌은 ‘종형’, ‘종제’, 오촌은 ‘당숙부’, 외삼촌은 ‘외숙부’라고 부르는 게 바람직하다.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버지 형제에 대한 올바른 호칭 |
━아버지 형은 모두 '큰아버지', 아버지 동생은 모두 '작은아버지'━
아버지 형제들에 대한 호칭(呼稱)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요.
그래서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혼란을 방지하고자, 구어(口語 : 입말)로 아버지의 형(兄)은 모두 '큰아버지'로, 아버지의 동생 (아우)들은 모두 '작은아버지'로 부르는 것을 표준(원칙)으로 정한 바 있습니다.
예전에는 아버지가 오형제(五兄弟)중 가운데일 경우, '첫째 큰아버지-둘째 큰아버지-아버지-작은아버지-막내 작은아버지'로 구분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이럴 경우에도 예를 들어'나'와 둘째 큰아버지가 서로 단독 면대(面對)할 경우에는 그냥 '큰아버지'라고 불러도 무방하겠으나, 만약에 두 분 큰아버지가 동석(同席)하게 될 때
그냥 "큰아버지!"라고 했다가는 어느 분을 부른것인지 애매(曖昧)해지는 상황이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로 구분하여 불렀습니다.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오늘날 아버지의 형은 모두 '큰아버지'로, 아버지의 동생은
모두 '작은아버지'로 통일해서 부르기로 했다지만,
지금도 아버지의 여러 형제가 추석(秋夕)이나 정초(正初)에 동석(同席)하시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첫째 큰아버지-둘째 큰아버지-아버지-작은아버지-막내 작은아버지'로 구분하여 부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한자어(漢字語)로는 아버지의 맏형을 백부(伯父), 둘째형을 중부(仲父), 아버지의 남동생을 숙부(叔父), 아버지의 맨 마지막 막내 남동생을 계부(季父)라고 하는데,
오늘날은
아버지의 형(兄)은 모두 '큰아버지'로 통일해서 부르기로 했으니까 '백부(伯父)',
아버지의 남동생(男同生)들은 모두 '작은아버지'로 부르기로 했으니까 '숙부(叔父)'라고 하여야 마땅하겠지요.
그리고 여기서 주의(注意)해야 할 것은 '막내 작은아버지'를 의미하는 '계부(季父)'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어머니가 재혼(再婚)한 남편, 즉 '나'에게는 '의붓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계부(繼父)'를 한자(漢字)로 잘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이 한자어(漢字語) 호칭들은 그분들(당사자들)이 없는데서 사용하는 지칭어(指稱語)라면 몰라도 직접 당사자(當事者) 앞에서 사용하는 호칭어(呼稱語)로는 적당치 않습니다.
그리고 요즘 아버지의 형제들을 '삼촌(三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이 '삼촌(三寸)'은 '나'와의 촌수(寸數)를 나타내는 무미건조한 관계어(關係語)일 뿐, 호칭어(呼稱語)가 아니므로 사용을 삼가기 바랍니다.
또 아버지의 형제들을 직접 호칭할 때는 그냥 "큰아버지, 작은아버지!"로만 불러 드리고, 그 호칭 밑에 '님'자(字)는 붙이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구어(口語)로 친족(親族) 피붙이, 즉 '나'의 혈족(血族) 어른에게는 전통적으로 '님'자(字)를 안 붙이는 관습(慣習)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아버님'과 '어머님'인데, 친부모(親父母)님에게는 정감(情感) 있게 그냥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고, 결연(結緣)으로 맺어진 부모 자식 관계일 경우에만 "아버님, 어머님!"으로 불렀습니다. 이를테면, 수양(收養) 부모(父母)나, 정식(正式)으로 자식이 없는 집에 양자(養子)로 입양(入養)이 되어 만난 양부모(養父母) 어른들께는 [그분들을 비록 부모(父母)님처럼 모셔야 하나 아무래도 어려운 사이이므로] '님'자(字)를 덧붙이게 되었던 것이지요. 여자들이 시집을 가면 시부모(媤父母)님을 부모(父母)처럼 지성껏 받들긴 하나, 친부모(親父母)님이 아니기 때문에 남편의 부모님을 "아버님, 어머님!"이라 불렀던 것도 같은 이유(理由)에서입니다.
또 예전에는 남의 아버지[친구 아버지 등(等)]에 대한 지칭어(指稱語)로서, "자네 아버님은 요새 건강이 어떠신가?"의 예(例)에서 볼 수 있듯이 "아무개 아버님"이란 말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직접 호칭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음도 유념(留念)해 두어야 하겠습니다.
과거(過去) 우리 나라 일부 지방(地方)에서는 데릴사위도 처가(妻家)의 장인(丈人)과 장모(丈母)를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1930년대에 발표된 김유정(金裕貞)의 소설 <봄·봄>을 보면, 데릴사위인 주인공(主人公)이 자기 장인을 가리켜 대화시(對話時)에는 꼬박꼬박 "빙장(聘丈)님"이라는 호칭어를 쓰고, 지칭어로는 "장인님"이라고 쓰는 것을 볼 수 있는 바, 처부모(妻父母)에 대한 "아버님, 어머님"이란 호칭이 데릴사위들의 전국적(全國的)인 통용어(通用語)는 아니었습니다.
'아버님'과 '어머님' 호칭 사용에 대하여 유의(留意)해 두어야 할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즉(卽), 이미 돌아가신 부모님에게는 친자식들도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지칭(指稱)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모님을 여읜 사람들은 얼마든지 "우리 아버님이 별세(別世)하시기 전에∼" 운운(云云)할 수 있습니다만, 멀쩡히 생존(生存)하신 부모님을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르면, 아마 옛날 노인(老人)들은 거의 까무러치실 것입니다.
자기 친아버지와 친어머니께 "아버님, 어머님!"하고 한 번 불러 보십시오. 그 순간 여러분은 갑자기 부모님과의 사이가 조금 멀어지면서 어색하게 변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냥 "아버지, 어머니!"가 무난하고 정겹고 좋습니다.
하기는, 요즘 아이들은 부모님을 대부분 "아빠, 엄마!"라고 하기 때문에, 어느 날 갑자기 "아버지, 어머니!"로 고쳐 부르라 하면, 아마 그 말에서조차 몹시 생경(生硬)한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하물며 자기를 낳아 길러 주신 부모님을 "아버님, 어머님"이라 부르라 하면 어떤 느낌이 들겠습니까?……
여하간(如何間)에 돌아가신 부모님은 "아버님, 어머님"으로 지칭(指稱)할 수 있지만, 이미 그 말은 부모님 면전(面前)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호칭어가 아닌 간접적인 호칭어, 즉 지칭어(指稱語)로 사용된 것이므로, 이 세상에 살아 계신 어버이께는 결코 쓸 수 없는 말입니다.
부모님 생전(生前)에는 두 분이 이 세상에서 '나'와 가장 가까운 지친(至親)이셨지만, 저 세상으로 떠나신 후에는 유교적(儒敎的) 관습상(慣習上) 그분들이 이제는 우리와 같은 '사람'이 아닌 '신위(神位)'로 격(格)이 달라지셔서 아예 제사(祭祀)의 대상(對象)이 되셨기 때문에, 경건하게 '님'을 붙여 숭모(崇慕)하게 된 것입니다.
우리가 유교(儒敎)를 종교(宗敎) 중 하나로 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고, 조선(朝鮮) 시대에 천주교(天主敎)가 이 땅에 들어올 때, 바로 이 조상신(祖上神) 숭모(崇慕) 여부(與否) 때문에 갈등(葛藤)이 벌어져 많은 순교자(殉敎者)를 냈던 사실(史實)을 여러분은 모두 잘 아실 것입니다.
그런데 요즘 TV 방송의 '아침 프로그램'을 보게 되면, 거의 대부분 인기 있는 연예인(演藝人)들이 출연해 자신의 사생활(私生活) 공개 중심의 방담(放談)을 하는 경향이 있는데, 방송이 끝나갈 무렵에 사회자(司會者 : MC)가 "지금 댁(宅)에서 ○○○씨 아버님께서도 이 프로그램을 시청(視聽)하실 것으로 생각하는데, 평소에 너무 바빠서 자식으로서 말씀 드리지 못한 것이 있다면 이 기회에 한 말씀하시지요." 라고 말하는 경우를 흔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좋습니다.
TV 프로그램 취재진(取材陣)이 ○○○씨 가정(家庭)을 방문(訪問)하여 가족들의 일상생활을 촬영할 때까지만 해도 자기 아버지를 보고 소아어(小兒語)인 '아빠' 호칭을 철딱서니없이 쓰던 연예인들이 막상 '스튜디오 생방송(生放送)'에 출연해서는 갑자기 점잔을 빼면서 카메라를 향해 "아버님, 지켜 봐 주십시오. 내년 아버님 칠순(七旬)에는 이 자식이 우리 나라 최고 스타(star)가 되어서, 아버님 어머님 두 분을 꼭 해외 여행(海外旅行) 보내 드리겠습니다."라고 말을 합니다.
멀쩡하게 생존(生存)해 있는 자기 부모님을 향해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르는 연예인(演藝人)의 얼굴을 보면, 그 순간 왜 그렇게 그가 한 말이 부자연(不自然)스럽게 느껴지는지, 바로 조금 전의 녹화(錄畵) 필름(film)에서 보여준 "아빠!" 소리와 자꾸 '오버랩(overlap)'되어, 실소(失笑)를 금(禁)할 수가 없습니다.
'저 연예인 부모는 친부모(親父母)가 아닌가, 언제 양부모(養父母)를 모시게 되었지?……'
'친부모(親父母)에게 저런 말을 하면 얼른 저 세상으로 가라는 말이 되는데, 그 뜻이나 제대로 알고 저런 말을 하는 것일까?……'
'무조건 <님>자(字)만 붙이면 좋은 줄 아나 보지…….'
필자(筆者)를 향해 지나치게 쓸데없는 망상(妄想)에 젖어 있다고 비난(非難)하실지 모르나, 오늘 날 '가정 교육(家庭敎育)'의 부재(不在)와 입시(入試) 교육 위주의 '학교 교육(學校敎育)'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말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자꾸 비틀어져 가고, 언어 예절(言語禮節)이 무너져 가는 것 같아 가슴이 짠하게 아픕니다.
각설(却說)하고…….
이제 '아버지 형제(兄弟)에 대한 올바른 호칭 문제'로 논지(論旨)를 되돌려, 저의 지론(持論)을 마무리짓도록 하겠습니다.
조카들이 구어(口語)로 자기 아버지 형제들을 직접 호칭할 때는 그냥 "큰아버지, 작은아버지"로 부르고 그 밑에 '님'자를 붙여서는 안 되지만, 멀리 떨어져 계시는 '큰아버지'나 '작은아버지'께 편지를 올릴 때는 '큰아버님 보시옵소서' 또는 '작은아버님 前 上書'처럼 '님'자(字)를 쓸 수 있습니다.
생존해 있는 가까운 피붙이 부모님 항렬(行列)의 어른들에 대한 직접적인 호칭어엔 '님'자를 붙일 수 없지만, 돌아가신 분들이나 '나'와의 결연(結緣) 관계로 새로이 모시게 된 부모님[시부모님, 양부모님 등(等)]과 그 형제들에게는 '님' 자(字)를 붙여서 그분들에 대한 공경(恭敬)의 마음을 표시하도록 합시다.
인간은 혼자서 떨어져 살 수 없는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평소에 말본(문법)을 지키고 예절(禮節)을 갖추어 언어를 사용해야 남들에게서 업시름(업신여김과 구박^^*)을 당하지 않고, 존중(尊重)받으며 살 수 있으므로, '호칭(呼稱) 사용법'을 결코 가벼이 여기지 않기를 이 글을 읽는 여러분 모두에게 당부(當付)드립니다.
첫댓글 根熙 선생님 잘 배웠습니다.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