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 전국시기(B.C.475-B.C.256년) 동경 1. 전국동경의 표면에는 대부분 흑칠고黑漆古와 수은비지(水銀泌地-수은이 칠해진 듯 은색으로 반짝이는 표면)에 철광질의 홍색 녹이 있다. 합금함량의 측정결과 동은 약 56-74%이고, 주석은 약 19-26%이며, 납의 함량은 아주 불규칙하여 일반적으로 0.5-16.5%이므로, 재질이 이전시기의 동경에 비하여 바삭거리며 단단하다.
2. 박태薄胎. 전국동경은 태체胎體가 매우 얇아 한대漢代의 동경이나 당대唐代의 동경처럼 두껍지가 않다.
3. 동경의 테두리(변연邊緣)가 평평하거나 위로 말려있으며, 위로 말려 있는 부분은 동경의 표면보다 더 높다.
4. 현문뉴弦紋紐가 대다수이며 누공뉴(鏤空紐-구멍이 뚫려 있는 뉴)는 소수이다. 현문뉴의 족부足部는 비교적 크며 뉴량紐梁은 비교적 좁다. 후대 한대동경이나 당대동경의 뉴는 모두 둥근 유정형乳釘形이다.
5. 동경 전체에 문양이 하나도 없는 동경(전소경全素鏡)과 다뉴경多紐鏡처럼 뉴좌紐座가 없는 소수를 제외하고 기타 동경에는 모두 뉴좌가 있으며, 뉴좌는 주로 원형圓形과 방형方形 및 연호형連弧形이다.
6. 문양장식에는 지문(地紋-표면에 전체적으로 장식된 보조문양)이 많다. 주문양과 지문이 서로 조화된 점이, 전국동경의 문양장식이 기타 시기의 문양장식과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의 하나이다.
二. 양한시기兩漢時期(B.C.220年-A.D.206年)의 동경 1. 한대의 동경은 전국동경에 비하여 두껍다. 산화되어 형성된 "흑칠고"를 제외하고 동경의 표면에는 대부분 은회색을 띠며 홍색의 녹이 나타나있다.
2. 뉴는 주로 반원형半圓形으로 매우 규정하다. 동한東漢시기의 뉴는 높고 커서 특히 현저하게 튀어나와 있다. 뉴에는 모두 뉴좌가 있으며 뉴좌의 주요형식은 방형, 원형, 시체형(枾체形-감꼭지모양), 연호형連弧形, 연주문連珠紋 등이다.
3. 변연邊緣은 대부분 넓고 두터운 변연이며, 두터운 변연이 동경의 중심을 향해 미미하게 기울어져 있다. 전국동경과 같이 말아 올라간 변연은 초기의 동경을 제외하고 이미 나타나지 않는다.
4. 문양장식은 독특하다. 박국문博局紋은 다른 시기와 구별되는 문양이고, 유정문乳釘紋은 보통의 경우에 장식으로 사용되어 첨유(尖乳-끝이 뾰족한 유정)와 원철유(圓凸乳-반원형으로 둥근 유정) 및 중심이 파여 있는 유정(중심하요정中心下凹釘)이 있다. 이 밖에 변연에 나타나는 거치문(鋸齒紋-톱날모양의 문양)과 쌍선파문(雙線波紋-두 줄로 구성된 물결문양)과 쌍선삼각문雙線三角紋과 유운문流雲紋도 전국동경이나 당唐이후의 동경과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5. 한대동경의 명문은 글자수를 줄여서 표현하거나(감자減字), 글귀를 줄여서 표현하거나(감구減句), 필획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는(생필략획省筆略劃) 현상이 보편적이며, 이러한 현상은 당唐이후의 동경의 명문에는 매우 적게 나타난다.
6. 자주 나타나는 명문은 다음과 같다 <도리문경蹈璃紋鏡> - "대락부귀大樂貴富, 천추만세千秋萬歲, 의주식宜酒食."(어형魚形) - "대락부귀大樂貴富, 득소호得所好, 천추만세千秋萬歲, 의주식宜酒食."(어형魚形) - "대락미앙大樂未央, 장상사長相思, 원무상망願毋相忘." - "수상사修相思, 번무상망煩毋相忘,대락미앙 大樂未央." - "내청질이소명內請(淸)質以昭明, 광휘상부일월光輝像夫日月, 심홀心忽."(내권內圈) "양이원충揚而願忠, 연옹색이불설然雍(壅)塞而不泄, 괴미미지궁애懷靡美之窮애(白+豈), 외승환지가설外承驩(歡)之可說, 모요조지영천慕窈窕之靈泉, 원영사이무절願永思而毋絶."(외권外圈)
<반훼문경蟠훼紋鏡> - "상상사常相思, 무상망毋相忘, 상귀부常貴富, 락미앙樂未央." - "상여군常與君, 상환행相驩(歡)幸, 무상망毋相忘, 막원망莫遠望."
<연호문경連弧紋鏡> - "견일지광見日之光, 소견필당所見必當." - "견일지광見日之光, 천하대명天下大明." - "견일지광見日之光, 장무상망長毋相忘." - "내청질소명內淸質昭明, 광휘상부금일월光輝象(像)夫今日月; 심홀양이원충心忽揚而願忠, 연옹색이불설然雍塞而不泄." - "내이청이이이소이며이광이부이일이월이內而淸而以而昭而明而光而夫而日而月而." - "결청백이사군潔淸白而事君, 원음환지빈명怨陰驩(歡)之賓明, 환현석지유택煥玄錫之流澤, 지소원이일망志疏遠而日忘, 신미미지궁애愼미美之窮애, 외승환지가설外承驩(歡)之可說, 모요조우영천慕窈窕于靈泉, 원영사이무절願永思而毋絶." - "연야동화청이명煉冶銅華淸而明, 이지위경이의문장以之爲鏡而宜文章, 이연년이익수거불상以延年而益壽去不羊, 여천무극與天無極, 일지광日之光, 장미앙長未央." - "일유희日有熹, 월유부月有富, 락무사樂毋事, 상득의常得意, 미인회美人會, 간슬시竿瑟侍, 고시정만물賈市程萬物."
<초엽문경草葉紋鏡> - "견일지광見日之光, 장락미앙長樂未央." - "견일지광見日之光, 천하대명天下大明, 복자군경服者君卿." - "견일지광見日之光, 천하대양天下大陽." - "견일지광見日之光, 천하대양天下大陽, 복자군경服者君卿, 소언필당所言必當." - "상귀부常貴富, 락미앙樂未央, 장사ㅏ長相思, 불상망不相忘." - "일유팽日有烹, 의주식宜酒食, 장귀부長貴富, 락무사樂毋事." - "군행졸君行卒, 여지비予志悲, 구불견久不見, 시전희侍前稀." - "심사미인心思美人, 무망대왕毋忘大王." - "원장상사願長相思, 구무견망久毋見忘." - "여천상수與天相壽, 여지상반與地相反." - "천상견장天上見長, 심사군왕心思君王."
<박국문경博局紋鏡> - "상방어경대무상尙方御竟(鏡)大毋傷, 교공각지성문장巧工刻之成文章, 좌룡우호피불상左龍右虎避不羊, 주조현무순양음朱鳥玄武順陽陰, 자손비구거중앙子孫備具居中央, 장보이친락부창長保二親樂富昌, 수폐금석여후왕혜壽폐金石如侯王兮." - "상방작경진대호尙方作竟(鏡)眞大好, 상유선인부지로上有仙人不知老, 갈음옥천기식조渴飮玉泉飢食棗, 부유천하오사해浮游天下敖四海, 수여금석위국보壽如金石爲國保." "신유선동출단양新有善銅出丹陽, 화이은석청차명和以銀錫淸且明, 좌룡우호주사팽左龍右虎主四彭, 주작현무수음양朱爵玄武順陰陽." - "차유가경성독호此有佳鏡成獨好, 상유선인부지로上有仙人不知老, 갈음예천기식조渴飮禮泉飢食棗, 부유천하오사해浮游天下敖四海, 수여금석위국보壽如金石爲國保." - "작가경성진대호作佳鏡成眞大好, 상유선인부지로上有仙人不知老, 갈음옥천기식조渴飮玉泉飢食棗, 수여금석壽如金石." - "왕씨작경진대호王氏作鏡眞大好, 상유선인부지로上有仙人不知老, 갈음옥천기식조渴飮玉泉飢食棗, 부유천하방사해浮游天下放四海, 수여금석지국보壽如金石之國保." - "주씨명경쾌인의朱氏明鏡快人意, 상유용호사시의上有龍虎四時宜, 상보이친의주식常保二親宜酒食, 군의관질가대부君宜官秩家大富, 락미앙樂未央, 의우양宜牛羊." - "두씨작경사이복杜氏作竟(鏡)四夷服, 다하신가인민식多賀新家人民息, 호로진멸천하복胡虜殄滅天下復, 풍우시절오곡숙風雨時節五穀熟, 장보이친수대복長保二親受大福, 전길후세자손력傳吉後世子孫力, 관위고官位高." - "복록진혜일이전福祿進兮日以前, 천도득물자연天道得物自然, 참하비룡승부운參賀蜚龍乘浮雲, 백호실白虎失, 상대산上大山, 봉조하鳳鳥下, 견신인見神人." - "복희진혜일이맹福熹進兮日以萌, 식옥영혜음선천食玉英兮飮渲泉, 하문룡혜승부운賀文龍兮乘浮雲, 백호구혜상태산白虎口兮上泰山, 봉황무금견신선鳳凰舞今見神仙, 보장명령수만년保長命令壽萬年, 주복시금팔자십이손周復始今八子十二孫." - "금지청金之靑, 시오형視吾形, 견지?見至口, 장사군長思君, 시래유時來游, 의자손宜子孫, 락무우樂无憂." - "상태산上太山, 견신인見神人, 식옥영食玉英, 음례천飮醴泉, 하문룡賀文龍, 승부운乘浮雲, 군의관질보자君宜官秩保子." - "오작가경자유상吾作佳鏡自有尙, 공사가주주문장工師刻做主文章, 상유고수피비상上有古守(獸)피非羊(祥), 복지수고의후왕服之壽考宜侯王." - "유시건국이년신가존惟始建國二年新家尊, 조서수하대다사詔書數下大多思, 고인사시불궁색전賈人事市不躬嗇田, 갱작피옹치교관更作피雍治校官, 오곡성숙천하안五穀成熟天下安, 유지지십득몽은有知之十得蒙恩, 의관질宜官秩, 조자손藻子孫." - "조치가경자손식調治佳鏡子孫息, 장보이친득천력長保二親得天力, 전입후세락무극傳入後世樂無極."
<조수문경鳥獸紋鏡> - "장의자손長宜子孫."(내구內區) "여씨작경자유기呂氏作鏡自有紀, 장보이친구손자長保二親口孫子, 벽거불상의고시(피去不羊(祥)宜古市), 위리고승관인우爲吏高升官人右, 수여금석壽如金石."(외구外區) - "의후왕宜侯王, 락미앙樂未央."(내구內區) "후씨작경대무상侯氏作鏡大毋傷, 교공각지위문장巧工刻之爲文章, 좌룡우호벽불양左龍右虎피不陽(祥), 칠자구손거중앙七子九孫居中央, 부처상보여위앙혜夫妻相保如威央兮."(외권外圈) - "개작경자유기盖作竟(鏡)自有紀, 비거불상의고시(피去不羊(祥)宜古市), 장보이친長保二親."
<변형사엽문경變形四葉紋鏡> - "군의고관君宜高官."(내구內區) "부차창富且昌, 락미앙樂未央, 사명장師命長, 의후왕宜侯王."(외구外區) - "건녕원년구월구일병오조작상방명경建寧元年九月九日丙午造作尙方明鏡, 유련삼상幽煉三商, 상유동왕부上有東王父, 서왕모西王母, 생여산석生如山石, 장의자손長宜子孫, 팔천만리八千萬里, 부차창富且昌, 락미앙樂未央, 의후왕宜侯王, 사명장師命長, 매자대길상買者大吉羊(祥), 의고시宜古市, 군의고관君宜高官, 위지왕공位至王公, 장락앙구長樂央口."
<신수문경神獸紋鏡> - "오작명경유련궁상吾作明竟(鏡)幽煉宮商, 주라용상周羅容象, 오제천황五帝天皇, 백아탄금白牙單琴, 황제제흉黃帝除凶, 주조현무朱鳥玄武, 백호청룡白虎靑龍, 군의고관君宜高官, 자손번창子孫番昌, 건안십년조대길建安十年造大吉." - "오작명경吾作明竟(鏡), 유련삼상혜幽煉三商兮"(방매명方枚銘) "원흥원년오월병오일천대사元興元年五月丙午日天大赦, 광한조작상방명경廣漢造作尙方明竟, 유련삼상幽煉三商, 주득무극周得無極, 세득광명世得光明, 장락미앙長樂未央, 부차창富且昌, 의후왕宜侯王, 사명장師命長, 생여석生如石, 위지삼공位至三公, 수여동옥부壽如東玉父, 서왕모西王母, 선인자仙人子, 임지공후立至公侯."(명문대銘文帶)
<용호문경> - "청개작경사이복靑盖作鏡四夷服, 다하국가인민식多賀國家人民息, 호로진멸천하복胡虜殄(첨)滅天下服, 풍우시절오곡숙風雨時節五穀熟, 장보이친득천력長保二親得天力."
三. 삼국양진시기三國兩晉時期(220年-589年) 동경의 감정요점 1. 이 시기의 동경은 모두 원형으로 한대동경보다 얇고 매우 작으며 주조수준도 거칠다.
2. 경면鏡面이 밖으로 돌출되어 호형弧形으로 되어 있으며, 배면背面은 아래로 오목한 현상이 현저하다.
3. 뉴가 독특하게 편원형扁圓形이며, 이것은 한대동경과 수당隋唐동경의 풍만하면서 반원형인 뉴와 선명하게 대비된다.
4. 경연이 사파형(斜坡形-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이다.
5. 번잡한 문양장식을 간결하게 변화시켜, 신수경神獸鏡의 반원방매대半圓方枚帶는 한 바퀴의 연주문連珠紋이나 피마자문으로 간략화되고, 신수神獸의 형태가 작으며 인물의 풍채는 청수淸秀하고 동물의 형체는 길고 유연하다. 각 단계를 선명하게 선으로 구획하였다. 한대의 "쌍수문雙獸紋"은 이 시기에 이르러 동물의 머리위치가 달라지거나 변형되었다.
6. 명문의 글자체는 풍격이 한대에 가깝지만 주조가 정밀하지 않아 완전히 식별할 수 있는 것이 매우 드물다. 명문은 주로 배면의 도안중의 방매상에 주조되어 있으며, 글자수는 1-4자로 상이하고, 왕왕 몇 개 방매상의 문자는 순독으로 문장을 구성하기도 한다. 변연상의 명문은 문자가 얕게 주조되어 대부분 모호하다.
<자주 나타나는 명문> - "황무육년오월왕자사일계축조작삼명지의왕차후黃武六年五月王子四日癸丑造作三命之宜王且侯, 복경지인개수세服竟(鏡)之人皆壽歲, 자손중다子孫衆多, 실위공경悉爲公卿, 수재수백우양이????收財數百牛羊而口口口口." - "적조원년赤鳥元年, 조작명경造作明鏡, 가조형상피록원可照刑上피祿훤, 장생로수長生老壽, 위지공경位至公卿, 자손구선子孫口禪, 복록무궁福祿無窮." - "적조원년오월감일赤鳥元年五月甘日, 조작명경造作明竟(鏡), 백련청동百煉淸銅, 복자군경服者君卿, 장락미앙長藥(樂)未央, 조주선사造鑄先師, 명위주공名爲周公." - "태평이년太平二年, 조작명경造作明竟(鏡), 가이조명可以詔明, 의후왕宜侯王, 가유오마천두양家有五馬千頭羊." - "태평원년太平元年, 오조작명경吾造作明竟(鏡), 백련정동百煉正銅, 복자노수服者老壽, 작자장생作者長生, 의공경?宜公卿口." - "영안사년태세기사오월십오일경오永安四年太歲己已五月十五日庚午, 조작명경造作明竟(鏡), 유련삼상幽煉三商, 상응열숙上應列宿, 하피불상下피不祥, 복자고관服者高官, 위지삼공位至三公, 여의부인女宜夫人, 자손만당子孫滿堂, 역의차도亦宜遮道, 육축반상六畜潘傷, 락미앙樂未央." - "보정이년사월오일寶鼎二年四月五日, 조작명경造作明竟(鏡), 백련청동百煉淸銅, 복자노수服者老壽." - "감로사년오월십일甘露四年五月十日, 우상방사작경청차명右尙方師作竟(鏡)淸且明, 위지삼공位至三公, ?고관口高官, ?자의손口子宜孫." - "감로오년이월사일甘露五年二月四日, 우상방작경청차명右尙方作竟(鏡)淸且明, 군의고관君宜高官, 위지삼공位至三公, 보의자손保宜子孫." - "영강삼년육월책일永康三年六月冊日, 오작명경吾作明鏡, 유련삼상幽煉三商, 사이자복四夷自服, 다하국가多賀國家, 인민안식人民安息, 호로진멸胡虜珍滅, 시우응절時雨應節, 오곡풍숙五穀豊熟, 천하복天下復." - "태강이년삼월구일太康二年三月九日, 오군공청양조작지경吳郡工淸羊造作之鏡, 동왕공서왕모東王公西王母, 차리인호귀此里人豪貴, 사환고천士患高遷, 삼공승상구경三公丞相九卿."
四. 수대隋代 동경(581年-618年)의 감정요점 1. 수경隋鏡은 남북조시기의 동경에 비해 이미 면모가 크게 바뀌어 동경의 몸체가 두터워지고 동질銅質이 은백색을 띠며 녹색의 녹이 있다.
2. 동경은 모두 원형이다. 반원뉴는 당경唐鏡보다 약간 크고 모두 뉴좌가 있으며, 연주문連珠紋뉴좌가 다수를 차지한다. 문양이 없는 변연의 내측에는 보통 거치문이 장식되어 있다.
3. 수경隋鏡의 도안은 구도가 근엄하고 구역을 나누어 문양을 배치하였으며, 주문양은 주로 신비한 서수瑞獸이다. 그 가운데 칸을 나누어 장식한 12지문十二支紋이 가장 특색이 있다.
<상견되는 명문> - "규장익태竅莊益態, 운무원앙韻舞鴛鴦, 만령영보萬齡永保, 천대장존千代長存, 능명능감能明能鑑, 의자의손宜子宜孫." - "영산잉보靈山孕寶, 신사관로神使觀爐, 형원효월形圓曉月, 광청야주光淸夜珠, 옥대희세玉臺希世, 홍장응도紅장應圖, 천교집영千嬌集影, 백복래부百福來扶." - "절조람심絶照覽心, 원휘속면圓輝屬面, 장보갑이광엄藏寶匣而光掩, 괘옥대이영견掛玉臺而影見, 감라기어후정鑑羅綺於後庭, 사의잠호전전寫衣簪乎前殿." - "단단보경團團寶鏡, 교교승대皎皎升臺, 난규자무鸞竅自舞, 조일화개照日花開, 임지만월臨池滿月, 규모교래規貌嬌來." - "옥갑반개개玉匣盼開盖, 경회식야진輕灰拭夜塵, 광여일편수光如一片水, 영조양변인影照兩邊人." - "소인병덕昭仁昞德, 익수연년益壽延年, 지리정일至理貞壹, 감보장전鑑保長全, 규장익태竅莊益態, 변지증연辯지增姸, 개화산영開花散影, 정월징원淨月澄圓." - "광정수인光正隨人, 장명의신長命宜新."
五. 당대唐代 동경(618-907년)의 감정요점 당경唐鏡의 조형은 다양하며 장식이 정교하다. 가장 유명한 원형고권해수포도문경圓形高圈海獸葡萄紋鏡, 규화식보상화문경葵花式寶相花紋鏡, 능화형수렵문경菱花形狩獵紋鏡, 방형진자비상경方形眞子飛霜鏡, 방형위각만자方形委角万字 등은 비교적 많이 보이는 대표작이다. 당경의 전형적인 조형을 숙지하고 풍격을 숙지한다면 감정에 도움이 된다.
1. 당경은 중후하며, 표면은 은백색과 흑갈색을 띠고 모두 광택이 반짝이고 고아하다.
2. 당경의 조형은 독특하여 최초로 능화형菱花形, 규화형葵花形, 호형壺形, 방형위각方形委角, 소형동경小型銅鏡 등을 창조하였다.
3. 당경의 문양은 정교하며 시대적인 특징이 선명하다. 문양가운데는 화초식물문과 자유롭고 활발한 난조鸞鳥, 참새, 나비, 벌 등의 동물이 주이며, 아울러 대칭對稱이나 연속連續 등의 장식수법을 대량으로 운용하였다.
4. 당경의 명문은 자체가 규정하고 예서체가 다수이며 전서체는 소수이다. 한경의 명문에 나타나는 감자減字나 감획減劃과 같은 현상은 없다. 당경의 명문은 수대동경과 시대를 구분하는 일맥상승되는 작풍으로 거의 사언四言이나 오언五言의 변체문이 대부분으로 읽으면 낭랑하게 입에 들어맞는다. 내용은 가송찬미하는 것과 종교적인 것이 있다. 당경의 명문은 점차 중시되지 않았으며 동경의 주조에 있어 도안과 문양이 중시되었으므로, 명문이 주로 당초唐初와 당말唐末의 장식과 점철點綴상에만 나타난다.
<자주 나타나는 명문> <사신문경四神紋鏡> - "미재원감美哉圓鑑, 람물칭기覽物稱奇, 조준합구雕鐫合矩, 소세응규紹洗應規, 선인루영仙人累瑩, 옥녀시규玉女時竅, 환아시평桓娥是坪, 복어타의服御他宜." - "광유소월光流素月, 질표현정質票玄精, 징공감수澄空鑑水, 조형응청照逈凝淸, 종고영고終古永固, 영차심령瑩此心靈." - "아방조담阿房照膽, 인수현궁仁壽懸宮, 릉장영내菱藏影內, 월괘호중月掛壺中, 간형필사看形必寫, 망리여공望裏如空, 산리감출山리敢出, 빙질참공氷質慙工, 요서옥전聊書玉篆, 영루청동永鏤靑銅." - "반룡여갑盤龍麗匣, 봉무신대鳳舞新臺, 난경영견鸞驚影見, 요화개曜花開, 단의벽전團疑壁轉, 월사윤형月似輪逈, 단형감원端形鑑遠, 담조광래膽照光來."
<수문경獸紋鏡> - "상득진왕경賞得秦王鏡, 판불석천금判不惜千金, 비관욕조담非關欲照膽, 특시자명심特是自明心." - "용금탁옥鎔金琢玉, 도방사원圖方寫圓, 질명채려質明采麗, 능정화선菱淨花鮮, 용반갑리龍盤匣里, 봉무대전鳳舞臺前, 대영분소對影分笑, 간경약연看鏡若硏." - "선산병조仙山幷照, 지수제명智水齊名, 화조염채花朝艶采, 월야유명月夜流明, 용반오서龍盤五瑞, 만무쌍정彎舞雙情, 전문인수傳聞仁壽, 시험쇄병始驗鎖兵." - "경발릉화鏡發菱花, 정월징화淨月澄華." - "조일릉화출照日菱花出, 임지만월생臨池滿月生, 관간건모정官看巾帽整, 망영점장성妄映点장成." - "연형신야煉形神冶, 영질량공瑩質良工, 여주출갑如珠出匣, 사월정공似月停空, 당미사취當眉寫翠, 대검전홍對검傳紅, 의창수황依窓繡晃, 구함영중俱含影中." - "유옥사하有玉辭夏, 유금거진惟金去秦, 구수장고俱隨掌故, 공집정신共集鼎新, 의천사질儀天寫質, 상일개륜象日開輪, 솔무란봉率舞鸞鳳, 분주귀신奔走鬼神, 장현인수長懸仁壽, 천자만춘天子萬春,"
<보상화문경寶相花紋鏡> - "화발무동하花發無冬夏, 임대효야명臨臺曉夜明, 편식진루의偏識秦樓意, 능조점장성能照点장成."
<팔괘문경> - "일월정명日月貞明, 천지함위天地含爲, 사규만물寫規萬物, 동감백령洞鑑百靈" - "장경지영長庚之英, 백호지정白虎之精. 음양상자陰陽相資, 산천교령山川郊靈, 헌천지측憲天之則, 법지지녕法地之寧. 분렬팔괘分列八卦, 순고오행順考五行. 백령무이도기상百靈無以逃其狀, 만물불능둔기형萬物不能遁其形. 득이보지得而寶之, 복록래성福祿來成."
六. 송대宋代 동경(960年-1279年)의 감정요점 1. 송경宋鏡의 동질은 한경漢鏡이나 당경唐鏡보다 매우 나쁘며, 기벽이 얇아 변형되기 쉽다. 경면鏡面이 대부분 황홍색黃紅色을 띠며, 일부 전세되어 온 송경의 표면에는 어두운 흑갈색의 산화층이 존재하지만 한당경漢唐鏡에 나타나는 미려하고 반짝이는 산화막은 이미 존재하지 않으며, 닦아내면 황동질黃銅質이 드러난다. 녹의 색깔은 이전시대에 비하여 옅으며 대부분 암록색暗綠色이다.
2. 뉴가 작게 변하고 비뉴鼻紐로 기울어 졌으며, 뉴의 정부頂部가 점차로 평평해지고 뉴좌가 없는 것이 다수이다.
3. 경연이 비교적 좁고 대다수는 외부가 얇고 내부가 두텁다. 경연 부근에 항상 연주문連珠紋이 장식되어 있다. 문양이 없는 일부 동경에는 '도성동방都省銅坊'과 '장인모모匠人某某' 등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대병경(帶柄鏡-손잡이가 있는 동경)의 경연은 손잡이의 변연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은 금대나 원대의 대병경과 다른 점이다.
4. 송경의 명문에서 상표명의 마지막에는 모두 '조자照子'와 '조자기照子記' 혹은 '경鏡'자가 주조되어 있다. <호주경의 명문> - 호주진석가련동조자기湖州眞石家煉銅照子記. - 호주조업진석가련동경湖州祖業眞石家煉鋼鏡. - 호주의봉교남주루상대석가진청동조자기湖州儀鳳橋南酒樓相對石家眞靑銅照子記. - 호주의봉교석가진정일색청동경湖州儀鳳橋石家眞正一色靑銅鏡. - 호주석가련동조자련동매량일백湖州石家煉銅照子煉銅每兩一百. - 호주진석가이숙점조자湖州眞石家二叔店照子. - 호주루상대석팔숙조자湖州樓相對石八 叔照子. - 호주진석가념이숙조자湖州眞石家念二叔照子. - 호주이가련동조자湖州李家煉銅照子. - 호주석가청동공부조자湖州石家靑銅工夫照子.
<요주경饒州鏡의 명문> - 요주엽가청동조자饒州葉家靑銅照子. - 요주신교허가청동조자饒州新橋許家靑銅照子. - 요주상항주가구련청동조자饒州上巷周家久煉靑銅照子. - 요주상항주가소이가련동조자기饒州上巷周家小二哥煉銅照子記.
<건강경建康鏡의 명문> - 건강부묘가연동조자기建康府묘家煉鋼照子記. - 건강부묘가공부경建康府묘家工夫鏡.
<성도경成都鏡의 명문> : 성도공가청동조자成都공家靑銅照子.
<소주경蘇州鏡의 명문> : 소주오작교남무가진동경蘇州烏鵲橋南繆家眞銅鏡.
<항주경杭州鏡의 명문> : 항주대륙가청동조자杭州大陸家靑銅照子.
5. 자주 보이는 길상어吉祥語와 경구警句 - 안명부귀安明富貴, 불검이경弗劍而鏡. - 능방요일菱芳耀日, 빙광조실氷光照室. - 교월징하校月澄河, 효운청파曉雲淸波. - 단원청만경團圓靑彎鏡, 막장명월비莫將明月比, 명월유시결明月有時缺, 차경장여차此鏡長如此. - 장경비가인將鏡比佳人, 가인격천리佳人隔千里, 수지단원심誰知團圓心, 각여월상사却與月相似.
七. 요대遼代 동경(907-1125년) 요대 동경의 형태는 주로 원형, 아자형亞字形, 규화형葵花形, 팔각형이 있다. 문양은 주로 쌍어문, 팔괘문, 하화문荷花紋, 사접문四蝶紋, 모란귀배문牧丹龜背紋 등이다. 하화문은 모두 균일하게 네 송이의 화하를 장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우아하다. 이러한 도안과 귀배문은 거란족 동경도안의 풍격을 가지고 있다.
적봉赤峯의 요대 병마위국왕묘騈馬衛國王墓에서 출토된 두 점의 사접문동경은 매우 독특하며 생기가 풍부하다. 내몽고 요대의 무덤에서 한자팔괘경漢字八卦鏡이 출토되었다. 호남에서 요경이 출토되었으며, '하천사험흘관압河川司驗訖官押'이라는 명문의 인물고사문경과 악양岳陽에서 출토된 관압쌍어문경官押雙魚紋鏡이 대표적이다. 당시에는 소면경(素面鏡-문양이 없는 동경)도 유행하였다.
요대동경의 명문은 주조 뿐만 아니라 또한 조각한 명문도 있다. 길림성 요원시遼源市에서 출토된 요경遼鏡의 경배鏡背에는 '천경십년오월기天慶十年五月記'와 '고?高口'가 변연邊緣에 '삭주마읍현험기관朔州馬邑縣驗記官'과 '??험흘관口口驗訖官'이라는 명문이 있었으며, '관官'자의 아래에 감압鑑押이 있었다. '천경십년天慶十年(1120년)'이라는 명문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글자를 새겨서 표시한 관압은 요나라의 금동禁銅상황을 나타대고 있으며, 동경주조업이 엄격한 통제를 받아 관청의 검사를 받아야 했음을 설명해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금대金代의 동경주조업에서 더욱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요대동경에도 길상어구가 출현하며 거란문자 뿐만 아니라 '연진삼원連進三元'과 같은 한자도 사용되었다. 1973년 내몽고자치구 소오달맹昭烏達盟에서 발견된 팔각형동경에는 거란문자로 '수장복덕壽長福德'을 의미하는 네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八. 금대동경金代銅鏡(1115-1234년)의 감정요점 1. 금대동경은 조형의 선이 생경生硬하고 항상 능각楞角이 나타나서, 둥그스름하고 깔끔한 맛이 없으며 매우 투박하다.
2. 금대동경은 형체가 비교적 두터우며 송대동경처럼 경묘輕妙한 풍격은 없다.
3. 원형경의 변연의 내측에 이층대二層臺를 주조해 놓은 것이 많으며, 대상臺上에 명문과 문양이 주조되어 있다. 대병경帶柄鏡의 경연과 병연은 분리되어 있다. 능하경菱花鏡과 규화경葵花鏡은 당경唐鏡을 많이 모방하였으며, 8개의 꽃잎이 있는 능화경菱花鏡과 규하경葵花鏡이 있다.
4. 주제문양의 다양화가 금경의 일대 특징이며, 이것은 당대唐代이후 각 시대의 동경에는 없었던 것이다. 한당송경漢唐宋鏡의 문양을 모방한 것을 제외하고, 쌍어문과 중원지구에서 널리 유행되는 전고典故와 민간전설을 제재로 한 도안이 가장 유행하였다. 금대동경의 도안은 송대동경에 비하여 원근법을 표현하는데 뛰어났다.
5. 금대동경에서 사실적인 인물고사문은 출유出遊, 경치 감상, 고기잡이와 사냥, 농사, 유희처럼 금대의 사회를 제재로 하였다. 화면은 주로 수목樹木, 산석山石, 물결 등의 풍경으로 처리하였다. 인물은 비교적 작게 표현되어 일반적으로 동경의 직경에서 1/3을 초과하지 않는다. 수목과 산석에는 고정된 위치가 있어, 수목은 인물의 상방에 대부분 배치되며 나뭇잎이 크고 두드러지게 표현되어있다. 산석은 비교적 얇고 단조롭게 표현되어 있다. 기타 구름 등의 문양은 보조적인 작용을 한다. 이것이 금대동경의 문양이 가진 특수한 풍격이다. 비교적 많이 출토된 선인仙人 및 신화전설을 표현한 문양의 특징은 인물이 화면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비교적 크다는 점이다. 전체적인 구도에서 이전시기의 인물문이 가지고 있었던 사실적인 특징이 없으며, 장식성이 더욱 풍부해졌다. 구름은 여이ㅡ형如意形으로 표현되고, 나뭇잎은 5-6조각이 한 조를 구성하여 장식성을 띠고 있다.
6. 문양은 어린이의 활동이 주내용이며, 이것은 금대이전의 동경에는 절대적으로 적게 나타나는 것이므로 , 시대적인 특징이 강하다.
7. 금대동경의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경연鏡緣에 관청의 검사기록과 압기(押記-서명)를 새겨 놓은 것으로, 조각된 문자는 섬세하고 선명하다.
8. 금대동경의 명문의 특징 금대동경의 명문은 실용성에 중점을 두어 멋이 점차 사라져갔으며, 음각으로 지명과 관명을 새긴 것이 특수하다. 금대에는 전쟁이 끊이지 않았으며, 동은 또한 동전제조의 원료이었으므로, 동경의 제조가 때때로 금지되었다. 그리고 국경을 넘어 동경을 유통시키는 일도 제한하였으며, 동경의 가장자리에 반드시 관청의 검사를 받고 등기하여 현지관리의 검사기록과 압기押記를 음문으로 새겨야, 비로소 일정한 구역내에서 판매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변관명이 형성되었지만, 관청과 개인이 주조한 명문도 여전히 존재하였다.
<자주 나타나는 주조명문> - 승안사년상원일섬서도운사관조承安四年上元日陝西東運司官造, 감조록사임監造祿事任(화압花押), 제공운사고提控運使高(화압花押). - 승안이년경자국조承安二年鏡子局造, 섬서서로감조사陝西西路監造使(압押).
<관청의 검사기록과 압기를 조각한 명문> - 한주주부험기관고韓州主簿驗記官高(압押). - 임성현관장任城縣官匠. - 문양현흘관장汶陽縣訖官匠. - 량향현관장良鄕縣官匠(압押). - 창평현험기관昌平縣驗記官(압押). - 북경험기北京驗記, 관官(花押). - 평량위화정현험기관平凉尉華亭縣驗記官(압押). - 극주관장克州官匠. - 내향현간內鄕縣官. - 정주록사사험흘관定州祿事司驗訖官(압押). - 좌순원험기관左巡院驗記官. - 임도부록사사臨挑府祿事司. - 상경순원정上京巡院正, 금성현金城縣(화압花押). - 금성기金城記.
九. 원대동경(l206年-l368年)의 감정요점 1. 원대동경의 동질은 명청시기처럼 제련이 우수하지 못하여 경면鏡面에 사공砂孔이 많으며 표면은 대부분 황색이 번득이는 흑색(黑中閃黃)이다.
2. 조형. 원대동경은 송대동경과 달리 일반적으로 비교적 두터우며 형체가 크다.
3. 경뉴는 송대동경보다 커졌으며, 뉴좌는 주로 방형方形과 원형이고, 방형좌의 내부에 대부분 연호를 주조해 넣었다.
4. 원형경의 경연鏡緣은 송금宋金시기보다 넓어졌으며, 대부분 내직외파형(內直外坡形-중심측은 직각이고 외부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능화형菱花形과 규화형葵花形의 경연은 비교적 둥그스름하며, 모두 송대의 육분법六分法을 채용하였다. 원대의 대병경帶柄鏡은 송금경宋金鏡과 다르며 광소무연병(光素無緣柄-문양이 없고 테두리가 없는 손잡이)이 유행하였다.
5. 문양장식은 왕왕 공간을 빽빽하게 채웠으며, 도안은 대부분 굵은 선과 부조기법으로 장식하였다.
6. 원대동경의 명문가운데 상표명은 모두가 두줄 이상인 송대동경의 명문과는 달리 한 줄에 불과하였다. 이것은 송대동경과 원대동경의 명문을 구별하는 중요한 표지이다. 원대동경의 명문은 모두 그 당시에 유행하였던 해서楷書와 행서行書를 사용하였으며, 목적은 사건을 기록하기 위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장식용이 아니었다. 이 점은 후대인 명청대에 전서체로 연대를 써 넣거나 심지어 문자로 장식하는 방법과 완전히 다른 것이다.
7. 원대동경의 명문의 특징 원대전기의 동경에는 명문이 없으며, 원대후기 명문의 내용도 비교적 간단하다. 기년명문紀年銘文은 대부분 뉴를 둘러싸고 배치되어있으며 '지원사년至元四年' 쌍룡경雙龍鏡 등이 그렇다. 뉴의 한 편에 위치한 사각형내에 배치된 명문도 있으나 한 줄 뿐이며, 송대동경의 명문이 두 줄 이상이면서 문자가 많은 것과는 다르다. 이것은 송경과 원경의 명문을 구별하는 중요한 표시이다. 원대동경의 명문 가운데는 길상어도 있으며 '수산복해壽山福海'와 '금옥만당金玉滿堂' 등이다.
十. 명대동경(1368-1644년)의 감정요점 1. 명대동경은 주로 전국동경과 한당경漢唐鏡을 모방하였으나, 형태는 비교적 단순하여 주로 원형이며, 기타 형식은 매우 적다.
2. 명대동경의 형태는 대부분 송대동경보다 두텁고 무거우며 크기가 크다.
3. 명대동경의 동질은 송원시기보다 우수하며, 대부분 황색이 번득이는 백색이다. 그러나 한당경에 비하여 광택이 어둡고 주조기술도 투박하다.
4. 명경의 뉴는 특징이 극히 풍부하다. 독특한 은정뉴銀釘紐를 제외하고 주로 원형평정뉴(圓形平頂紐-원형이며 꼭대기가 평평한 뉴)가 유행하였으며 뉴정紐頂에 인장식印章式의 명문을 주조하였다.
5. 경연은 명대동경을 기타 시기의 동경과 구별시키는 중요한 근거이다. 명대에는 주로 내요연(內凹緣-경연이 중심측으로 오목)과 입장식연(立墻式緣-경연이 담과 유사한 형태)이 유행하였으며, 이것은 전국동경을 모방하였으나 자신만의 독특한 풍격도 구비하고 있다.
6. 명대동경에 자주 나타나는 문양은 홍무이십이년반룡문洪武二十二年盤龍紋, 백자문百子紋, 팔보문八寶紋, 오악문五嶽紋 등이며 이들은 명대동경에 독특한 문양이다.
7. 명대 융경隆慶이전의 동경은 비교적 문양장식을 중시하였으며, 그 이후의 동경에서는 주로 문양이 없이 문자를 주조하였다. 명대동경의 명문으로는 길상어가 유행하였으며, 대부분 넉자의 축복어로써 이것은 이전시기의 명문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또 명대동경의 명문의 내용에는 주조한 공방이나 점포명이 있으며 심지어 주조자의 성명을 표시하기도 하였다. 상표명의 글자수는 송대동경보다 적으며 대부분 상표명의 뒤에 '조造', '기記', '치置', '판辦', '포환包換' 등의 문자를 덧붙였다. 이 밖에 뉴의 꼭대기에 명문을 주조하는 것도 명대동경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길상어는 대부분 중륜경中輪鏡에서 연변되어 온 동경에 주조> "장명부귀長命富貴", "복록정상福祿禎祥", "장원급제壯元及第", "오자등과五子登科", "희생귀자喜生貴子", "백세단원百歲團圓", "난봉정상鸞鳳呈祥", "일품당조一品當朝", "수산복해壽山福海", "복수강녕福壽康寧"
<불교와 유관한 '범문'경> 동경의 내권은 범문이고 외권은 한자로 되어 있으며, 명문은 "준제사바하准提娑婆訶"이다. 이러한 명문경은 대부분 원형평정뉴이며 뉴상에도 명문이 있다.
<뉴상에 주조된 명문> - 원뉴상에 '임任'자를 주조한 것 : 만력연간萬曆年間 남성南城의 익왕부益王府에서 주조한 제품이다. - 원형평정뉴상에 "호주설무송조湖州薛茂松造", "설회천조薛懷泉造", "경우자조敬宇自造", "앙계주조仰溪鑄造" 등처럼 성명姓名이나 산지産地를 주조한 제품이 있다.
<명대동경의 명문이 송대동경과 다른 또 하나의 특징> 송대동경의 명문의 마지막은 "조자照子"나 "조자기照子記"이지만, 명대동경에서는 "이소원조李小園造", "사소당조謝少塘造", "임소헌조任小軒造", "장가조張家造", "마점주조馬店鑄造"처럼 "조造"나 "주조鑄造"이다. 또한 "장소성취기張紹誠就記", "단치段置", "오인천판吳印泉辦"처럼 "기記", "치置", "제制", "판辦" 자를 사용한 것은 주문제작임을 설명한다.
<모조품과 경쟁> 일부 장인은 고객의 신뢰를 얻기 위하여 "양포포환楊鋪包換"이나 "마점자조포환馬店自造包換"처럼 "포환(包換-책임지고 교환해 준다)"이라는 글자를 넣기도 하였다. 이것은 당시에 모조품이 출현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상업적인 경쟁이 치열하였음을 나타낸다. 일부 장인은 "假充李鏡, 眞乃猪狗(가짜를 이씨李氏의 동경으로 충당하는 놈은 정말로 돼지나 개다)"처럼 저속한 말을 써 넣기도 하였다.
十一.청대동경(1368-1644년)의 감정요점 1. 청대동경의 동질은 명대동경보다 우수하다. 궁내宮內의 조판처造辦處에서 주조한 동경의 표면은 대부분 연회색鉛灰色을 띠고, 호주湖州에서 주조한 동경의 표면은 은백색을 띠면서 광택이 있다. 다수의 청대동경은 현재까지 광택이 신제품과 비슷하며 선명하게 비추어 볼 수가 있다.
2. 청대에는 무뉴경無紐鏡이 대량으로 출현하였다. 뉴가 있는 동경은 반원뉴이면서 납작하고 정부頂部를 평평하게 갈아내지 않았다. 이 시기에 두 종류의 특수한 뉴의 형식이 출현하였는데 하나는 원주형圓柱形으로 대부분 평정상平頂上에 선문旋紋과 '건륭년제乾隆年制'라는 관지를 주조하였다. 다른 하나의 뉴는 저부底部가 비교적 크며 위로 갈수록 미미하게 수렴하여 키가 작고 납작하며, 평정상에 수자형壽字形의 문양이나 '인수仁壽'라는 문자가 주조되어 있다.
3. 청대의 대병경에서는 손잡이의 장식을 매우 중요시하여 남목楠木으로 손잡이를 씌우고 상아로 장식하기도 하였다. 혹은 청옥靑玉으로 씌우고 상단에는 벽옥碧玉으로 장식을 하고 하단에는 황색의 수술을 달았다. 이것들은 모두 공경貢鏡으로 황제의 전용품이었다. 민간에서 사용한 대병경은 수가 적으며 형태는 원대의 대병경과 비슷하다.
4. 청대동경의 장식에는 칠배창금七背창金, 겹사법랑(겹絲琺瑯), 송향도묵松香塗墨 등의 새로운 기법을 채용하여 색조가 진하고 치열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문양은 용봉문龍鳳紋과 복福, 록祿, 수壽, 희喜, 재財라는 의미를 함축하는 화면이 주이며 표현이 비록 세밀하지만 매우 상투적인 감이 든다.
5. 청대의 명문경에서 초기에는 여전히 네 글자의 길상어가 유행하였으고, 이후에는 운문韻文의 명문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운어명문은 초기에는 원형경에 많이 나타나고 말기에는 방형경方形鏡에만 나타난다. 명문은 모두 사언의 운문으로 글자가 큰 예서체였다. 호주명문경湖州銘文鏡은 자체字體가 규정하면서 모두 사언四言의 운문이었다.
(1) 이 시기에 상표명의 뒤에는 항상 '제制'자 나 '조造'자를 주조하였다.
(2) 북방의 역주易州에서 주조한 동경에는 습관적으로 정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점으로 조성된 지명을 새겨넣었으며, '역주易州'와 '역주조易州造' 등이 있다.
(3) 점철한 명문으로 용문도안에 '규規'자나 '일日'자를 점철하여 써 넣었으며, 용봉도안에는 대부분 '쌍雙'자를 점철하였다. 일부 글자의 공간은 주사로 칠하였다.
(4) 자주 나타나는 명문 - 금반선로함주영金盤仙露涵珠英, 춘풍추월경장명春風秋月景長明, 양대추관소광영凉臺秋館消光盈. - 대지산하大地山河, 삽구이축揷口以祝, 연상구동宴象口銅, 명감만리明鑑萬里, 오악진형五岳眞形, 전청봉사傳靑鳳使. - 기허기중旣虛其中, 역방기외亦方其外, 일진불염一塵不染, 만물개비萬物皆備. 호성설진후조湖城薛晉侯造. - 방정이명方正而明, 만리무진萬里無塵, 수천색水天色, 서조군륜犀照群侖. 계초설혜공조溪苕薛惠公造. - 불벽이규不壁而珪, 만상능감萬象能鑑, 불발이광不渤而光, 일업백잠壹業百湛, 사구본구些口本口, 이허위감以虛爲監. 설혜공조薛惠公造. - 금정옥영金精玉英, 일광월채日光月彩, 인수양휘仁壽揚輝, 조림묘해照臨卯海. 호경湖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