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설다라니집경 권제사 관세음 권상 대당천축삼장아지구다역
佛說陀羅尼集經 卷第四(觀世音 卷上) 大唐天竺三藏阿地瞿多譯
불설다라니집경 제4권 (관세음부 상) 아지구다 한역
십일면관세음신주경 주시인의 추시경본 차권총유오십이인 오십시주 이인시객
十一面觀世音神咒經 (注是人意 麤是經本 此卷總有五十二印 五十是主 二印是客)
여시아문。일시 불 재왕사성중 기사굴산。여무량보살마하살대중구。전후위요。
如是我聞。一時 佛 在王舍城中 耆闍崛山。與無量菩薩摩訶薩大衆俱。前後圍遶。
이시 관세음보살마하살。여무수지주현성구。전후위요。내예불소。도불소이 오체투지
爾時 觀世音菩薩摩訶薩。與無數持咒賢聖俱。前後圍遶。來詣佛所。到佛所已 五體投地
정례불족。례불족이 요불삼잡。각좌일면。
頂禮佛足。禮佛足已 遶佛三匝。卻坐一面。
시 관세음보살 백불언。세존 아유심주。명십일면。구유무량대다라니 병제인법
時 觀世音菩薩 白佛言。世尊 我有心咒。名十一面。具有無量大陀羅尼 幷諸印法
급무량단。아금설지。위일체중생고。욕령일체중생 념선법고。
及無量壇。我今說之。爲一切衆生故。欲令一切衆生 念善法故。
욕령일체중생 무우뇌고。위제일체중생병고。위일체장난 재괴악몽 실제멸고。
欲令一切衆生 無憂惱故。爲除一切衆生病故。爲一切障難 災怪惡夢 悉除滅故。
욕제일체횡병사고。욕제일체제악심자 령조유고。욕제일체제마귀신 장난불기고。
欲除一切橫病死故。欲除一切諸惡心者 令調柔故。欲除一切諸魔鬼神 障難不起故。
십일면관세음신주경(주는 사람의 생각이고, 추는 이 경본이다. 이 권에는 모두 쉰두 개의 인이 있는데 쉰 개가 주이고 두 개는 객이다.)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의 기사굴산에서 한량없이 많은
보살마하살들이 모두 앞뒤로 에워싼 가운데 계셨다.
이 때 관세음보살마하살이 수없이 많은 진언을 수지하는 현자와 성자들이
앞뒤로 에워싼 가운데 부처님 계신 곳으로 나아갔다.
이윽고 부처님 계신 곳에 이르러 오체투지하여 부처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배하고
부처님 주위를 세 바퀴 돈 다음 물러나 한쪽에 앉은 뒤 관세음보살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에게 십일면이라는 심주가 있는데 이는 무량한 대다라니와
모든 인법과 무량한 단을 갖추고 있습니다. 제가 지금 모든 중생들을 위해서,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선법을 생각하도록 하기 위해서,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근심과 괴로움이 없게 하기 위해서, 모든 중생들의 병을 없애주기 위해서,
모든 장애와 어려움과 괴이한 재난과 악몽을 모두 없애주기 위해서,
모든 횡사하고 병들어 죽는 것을 없애주기 위해서, 온갖 나쁜 마음 지닌 자들을
유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것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세존 아미증견。약천 약마 약제석 약사문 약바라문등。유능수지 여시법자。
世尊 我未曾見。若天 若魔 若帝釋 若沙門 若婆羅門等。有能受持 如是法者。
약독 약송 약서사 유포。혹이차법 방호기신。혹이차인 인수주이 조욕기신。
若讀 若誦 若書寫 流布。或以此法 防護其身。或以此印 印水咒已 澡浴其身。
세존이시여, 제가 아직까지 천나 마군이나 제석이나 사문이나 바라문 등이
이와 같은 법을 능히 받아 지녀서 읽거나 송하거나 베껴 쓰거나 유포하거나,
혹은 이 법으로 그 몸을 보호하거나 혹은 이 인으로 물에 인하고 진언을 송한 뒤에
그 몸을 씻는 일을 보지 못하였습니다.
야입진두전。약위독소중。지차법자。일체제난 무소능위。유숙앙불제。여시지법。
若入陣鬥戰。若爲毒所中。持此法者。一切諸難 無所能爲。唯宿殃不除。如是之法。
일체제불소념。아차주법。일체제불소기。
一切諸佛所念。我此咒法。一切諸佛所記。
만일 군진[陣]에 들어가 전투할 때나 독에 중독되었을 때에 이 법을 지니면
모든 재난이 미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오직 숙세의 재앙만은 없앨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은 법은 모든 부처님께서 기억하시는 것입니다.
나의 이 주법은 모든 부처님께서 수기하신 바입니다.
세존 아억과항하사수겁외。유불명백연화안정무장애공덕광명왕여래。
世尊 我憶過恒河沙數劫外。有佛名百蓮華眼頂無障礙功德光明王如來。
아어이시 재피불소。작대지주 선인중왕。어피불소 방득차법。득차법시。시방제불
我於爾時 在彼佛所。作大持咒 仙人中王。於彼佛所 方得此法。得此法時。十方諸佛
개현목전。견불현이。홀연즉득 미증유지。당지차법 유여시신력。
皆現目前。見佛現已。忽然卽得 未曾有智。當知此法 有如是神力。
역능이익 무량중생。시고당지。
亦能利益 無量衆生。是故當知。
세존이시여, 제가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겁을 지난 과거를 기억하건대,
백련화안정무장애공덕광명왕여래라고 이름하는 부처님께서 계셨습니다.
제가 그 때에 위대한 진언을 지니는 선인들 가운데 왕이 되어
그 부처님 계신 곳에서 비로소 이 법을 얻었습니다.
이 법을 얻을 때에 시방의 모든 부처님들께서 모두 눈앞에 나타나셨고,
부처님들께서 나타나시는 모습을 보고 나서 홀연히 곧 일찍이 없었던 지혜를
얻었습니다. 마땅히 이 법에는 이러한 신비로운 힘이 있고 또한 능히 무량한 중생을
이익되게 하므로 마땅히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약선남자선녀인등。유능주야 은근독송。물령망실。지차법시 경막타경。어신조시
若善男子善女人等。有能晝夜 慇懃讀誦。勿令忘失。持此法時 更莫他境。於晨朝時
세욕기신。착신정의。수지차법 작인호신。정니마단 수의방원。활협대소 결계이경。
洗浴其身。著新淨衣。受持此法 作印護身。淨泥摩壇 隨意方圓。闊狹大小 結界已竟。
청관세음 좌어단상。소향산화 종종공양。예배송주 일백팔편。지차주자。현신즉득
請觀世音 坐於壇上。燒香散華 種種供養。禮拜誦咒 一百八遍。持此咒者。現身卽得
십종과보。하등위십。
十種果報。何等爲十。
일자 신상무병。이자 항위시방제불억념。
一者 身常無病。二者 恒爲十方諸佛憶念。
삼자 일절재물 의복음식。자연충족 항무핍소。사자 능파원적。
三者 一切財物 衣服飮食。自然充足 恒無乏少。四者 能破怨敵。
오자 능사일체중생 개생자심。륙자 일체고독 일체열병 무능침해。
五者 能使一切衆生 皆生慈心。六者 一切蠱毒 一切熱病 無能侵害。
칠자 일체도장 불능위해。팔자 일체수난 불능표익。구자 일체화난 불능분소。
七者 一切刀杖 不能爲害。八者 一切水難 不能漂溺。九者 一切火難 不能焚燒。
십자 불수일체횡사。시명위십。
十者 不受一切橫死。是名爲十。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 등이 밤낮으로 은근히 독송하여 잊지 않고
이 법을 지닐 때에는 다른 경계를 생각하지 말아야 하며, 아침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이 법을 받아 지녀 인을 결하여 호신한 다음에
깨끗한 진흙으로 단을 문질러서, 네모나거나 둥글거나 넓거나 좁거나 크거나 작거나
마음대로 결계하고 나서 관세음보살을 청하여 단 위에 앉으시게 하는데
향을 피우면서 꽃을 뿌리고, 온갖 공양으로 예배하고 진언을 백여덟 번 송하면,
이 진언을 지닌 사람은 현재의 몸에 곧 열 가지 과보를 얻게 됩니다.
첫째는 몸에 항상 병이 없는 것이고,
둘째는 항상 시방 모든 부처님들께서 억념하시는 것이고,
셋째는 모든 재물, 의복, 음식이 자연히 충족되어 항상 모자라는 일이 없는 것이고,
넷째는 능히 원수를 이기는 것이고,
다섯째는 능히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자심을 내게 하는 것이고,
여섯째는 모든 독충과 모든 열병이 침해할 수 없는 것이고,
일곱째는 모든 칼과 몽둥이가 해칠 수 없는 것이고,
여덟째는 모든 수난, 즉 물에 빠지거나 표류하게 되지 않는 것이고,
아홉째는 모든 화난, 즉 불로 인한 피해를 받지 않는 것이고,
열째는 모든 횡사를 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를 열 가지라고 이름합니다.
부득사종과보。하등위사。일자 불위일체금수소해。이자 영불타지옥。
復得四種果報。何等爲四。一者 不爲一切禽獸所害。二者 永不墮地獄。
삼자 임명종시 득견시방일체제불。사자 명종지후 생무량수국。
三者 臨命終時 得見十方一切諸佛。四者 命終之後 生無量壽國。
또 네 가지 과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하면,
첫째는 모든 짐승들에게 해를 입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영원히 지옥에 떨어지지 않는 것이고,
셋째는 목숨이 끊어지려 할 때 시방의 모든 부처님을 뵙게 되는 것이고,
넷째는 목숨이 끊어진 후에 무량수국에 태어나는 것입니다.
세존 아념과항하사수겁。부과무량항하사수겁。이시 유불명만다라향여래。아어피불
世尊 我念過恒河沙數劫。復過無量恒河沙數劫。爾時 有佛名曼陀羅香如來。我於彼佛
위우바새신。어피불소 부득차법。득차법이。어사방겁 초생사제。설차법시。
爲優婆塞身。於彼佛所 復得此法。得此法已。於四方劫 超生死際。說此法時。
득일체제불 대자대비 대희대사 지혜장법문。
得一切諸佛 大慈大悲 大喜大捨 智慧藏法門。
세존이시여, 제가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수만큼의 겁을 지난 과거를 생각하면,
그 때 만다라향여래라고 이름하는 부처님께서 계셨으며,
저는 그 부처님 계신 곳에서 우바새의 몸으로써,
그 부처님 계신 곳에서 이 법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이 법을 얻고 나서 사방겁에서 생사제를 초월하였고, 이 법을 말씀하실 때에
모든 부처님의 대자ㆍ대비ㆍ대희ㆍ대사의 지혜장법문을 얻었습니다.
이차법문력고。능구일체중생 일체뇌옥계폐 추계가쇄 임당형륙。수화등난 종종고뇌。
以此法門力故。能救一切衆生 一切牢獄繫閉 杻械枷鎖 臨當刑戮。水火等難 種種苦惱。
아항구호 령득해탈。일체야차 나찰사등。유차법인 다라니력。령차야차 나찰사등。
我恒救護 令得解脫。一切夜叉 羅刹娑等。由此法印 陀羅尼力。令此夜叉 羅刹娑等。
개발선심 공덕구족。즉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아차법등 유여시력。
皆發善心 功德具足。卽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我此法等 有如是力。
그리하여 이 법문의 힘으로 능히 모든 중생을 구하되 모든 뇌옥에 갇혀
추계와 가쇄의 형륙을 당하거나 물과 불 등의 온갖 고뇌에서
제가 항상 구호하여 그들로 하여금 해탈하게 하였습니다.
모든 야차와 나찰사에게도 이 법의 인과 다라니의 힘으로
모두 착한 마음을 내게 하여 공덕을 구족하게 하고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게 하였습니다. 저의 이 법에는 모두 이와 같은 힘이 있습니다.
추계 – 고대의 형구. 고대수갑의 일종.
가쇄 - 죄인이 목에 거는 형틀과 족쇄.
설부유인。범사중죄 급오역죄。능지차법 독송일편다라니자。소유일체한본중죄。
設復有人。犯四重罪 及五逆罪。能持此法 讀誦一遍陀羅尼者。所有一切恨本重罪。
실득제멸。송차주자 유여시공덕。황부의교。능작인법 송지주자。
悉得除滅。誦此咒者 有如是功德。況復依敎。能作印法 誦持咒者。
당지시인 어만만억나유타제불소。증문차법 금환득문。황부수지독송 주야불망자。
當知是人 於萬萬億那由他諸佛所。曾聞此法 今還得聞。況復受持讀誦 晝夜不忘者。
시인 약심유소념자。아만기원。
是人 若心有所念者。我滿其願。
설사 또 어떤 사람이 4중죄와 5역죄를 범하였다 하여도 능히 이 법을 지니고
다라니를 한 번만이라도 독송한다면 모든 근본중죄가 모두 없어질 것입니다.
이 진언을 송하는 것만으로도 이와 같은 공덕이 있는데 하물며 다시 가르침에
의하여 능히 인법을 행하고 진언을 송하여 지니는 것이겠습니까?
이 사람은 만만억 나유타의 모든 부처님 처소에서 일찍이 이 법을 들어오다가
지금 다시 듣게 된 것인 줄 알아야 합니다.
또한 하물며 다시 받아 지니고 독송하여 밤낮으로 잊지 않는 것이겠습니까?
이 사람이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제가 그 소원을 다 이루어줄 것입니다.
약부유인 월십사일 혹십오일 이향탕세욕기신。착신정의。일상측 일세욕。여차정의。
若復有人 月十四日 或十五日 以香湯洗浴其身。著新淨衣。一上廁 一洗浴。如此淨衣。
부득상병。행차법시。경일불식。작인호신。결계법이。송다라니。지어명단。
不得上屛。行此法時。竟日不食。作印護身。結界法已。誦陀羅尼。至於明旦。
기도량중。치관세음상。작청관세음인。송주。현어종종。잡색번개。향화공양。
其道場中。置觀世音像。作請觀世音印。誦咒。懸於種種。雜色幡蓋。香華供養。
초입도량시。필수은중 지심봉청 시방제불。은근참회。찬탄삼보。예삼배이。재어상전
初入道場時。必須殷重 至心奉請 十方諸佛。慇懃懺悔。讚歎三寶。禮三拜已。在於像前
부일좌구。호궤공경 지심발원。작수주인。파주겹지。일심송주 일천팔편 일백팔편
敷一坐具。胡跪恭敬 至心發願。作數珠印。把珠掐之。一心誦咒 一千八遍 一百八遍
역득무구。차집향로 소향이언。차처무유종종공양 상미음식。참괴사지。
亦得無咎。次執香鑪 燒香而言。此處無有種種供養 上味飮食。慚愧謝之。
이 법을 행하고자 하는 사람은 다음과 같이 해야 합니다.
14일이나 보름에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어야 하며,
한 번 변소[廁]에 갈 때마다 한 번씩 세욕하고 깨끗한 옷을 입고는
병에 올라가지 말아야 합니다.
이 법을 행할 때는 종일 먹지 않아야 하고 인을 결하여 호신하고
결계법을 행한 다음 다음 날 아침까지 다라니를 송하고
도량 가운데 관세음보살의 형상을 안치합니다.
그리고 관세음을 청하는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며 온갖 다양한 색깔의 번ㆍ개를
매달고 향과 꽃을 공양합니다.
처음 도량에 들어갈 때 반드시 은근하고 정중하게 들어가야 하며
지극한 마음으로 시방의 모든 부처님을 받들어 청한 다음에
은근히 참회하고 삼보를 찬탄하며 세 번 절하여 예배합니다.
그리고 상 앞에 좌구를 하나 펴고 무릎 꿇고 공경히 지심으로 발원하고
수주인을 결한 다음 염주를 잡고 돌리며 일심으로 진언을 천여덟 번 송합니다.
백여덟 번 송하여도 허물이 없습니다.
다음에 향로를 잡고 향을 피우며 말하기를,
‘이곳에 온갖 공양과 맛좋은 음식을 갖추지 못하였습니다’라고 하여
참괴하며 사죄합니다.
세존 아유차등법인주력。명호존귀 난가득문。약유칭념 백천구지나유타제불명호。
世尊 我由此等法印咒力。名號尊貴 難可得聞。若有稱念 百千俱致那由他諸佛名號。
부유잠시 칭아명호。피이인복 정등무이。
復有暫時 稱我名號。彼二人福 正等無異。
세존이시여, 이와 같은 법의 인과 진언의 힘으로 말미암아 저의 명호가 존귀하니
듣게 되기가 어렵습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백천 구지 나유타의 부처님 명호를 칭념하고,
다시 어떤 사람이 잠시 저의 명호를 칭한다면
이 두 사람의 복이 바로 똑같아 다름이 없습니다.”
이시 관세음보살백불언。세존 약선남자선녀인。주야은근 칭아명호자。
爾時 觀世音菩薩白佛言。世尊 若善男子善女人。晝夜慇懃 稱我名號者。
개득아비발치지。현신득리 일체고뇌 일체장난 일체포외。급삼독죄 실득제유。
皆得阿毘跋致地。現身得離 一切苦惱 一切障難 一切怖畏。及三毒罪 悉得除愈。
황부유인。의어차교 여법수행。당지시인 즉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여재장내。
況復有人。依於此敎 如法修行。當知是人 卽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如在掌內。
이 때 관세음보살이 또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밤낮으로 은근히 저의 명호를 칭한다면
모두 아비발치의 경지를 얻을 것이며, 현재의 몸으로 모든 고뇌와 장애와 어려움과
두려움을 여의고 3독죄를 모두 없애게 되는데,
하물며 다시 어떤 사람이 이 가르침에 의하여 여법하게 수행하는 것이겠습니까?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이 사람은 곧 마치 손 안에 있는 듯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것입니다.”
이시 불 고관세음보살마하살언。선재선재 선남자。여내능어일체중생。
爾時 佛 告觀世音菩薩摩訶薩言。善哉善哉 善男子。汝乃能於一切衆生。
기어대자대비지심。이욕개시 차대신주인등법문。선남자 여유차법방편력고。실능구탈
起於大慈大悲之心。而欲開示 此大神咒印等法門。善男子 汝由此法方便力故。悉能救脫
일체중생。소유병고 장난 포외 신어의악。내지 안립 일체중생
一切衆生。所有病苦 障難 怖畏 身語意惡。乃至 安立 一切衆生
어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결정무의。선남자 차다라니인등법문。아역수희。수여신주
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決定無疑。善男子 此陀羅尼印等法門。我亦隨喜。受汝神咒
인등지법。아역인가。선남자 여금설지。
印等之法。我亦印可。善男子 汝今說之。
이 때 부처님께서 관세음보살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도다, 훌륭하도다, 선남자여, 네가 마침내 능히 모든 중생에게 대자대비한
마음을 일으켜 이 대신주인 등의 법문을 열어 보이려 하는구나.
선남자여, 네가 이 법의 방편력으로 능히 모든 중생을 모든 병고와 장애와 어려움과
두려움과 몸과 말과 뜻으로 지은 악에서 구제하여 벗어나게 하고,
나아가서 모든 중생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안립시켜
결정코 의심이 없게 하겠구나.
선남자야, 이 다라니와 인 등의 법문은 나도 따라 기뻐하는 것이다.
너의 신주와 인 등의 법을 나 역시 인가하리니 선남자여, 너는 지금 말하거라.”
이시 관세음보살마하살。종좌이기 편단우견。오체투지 정례불족。우슬착지
爾時 觀世音菩薩摩訶薩。從座而起 偏袒右肩。五體投地 頂禮佛足。右膝著地
이백불언。세존 아금승불신력。차제설인다라니단공능법식。
而白佛言。世尊 我今承佛神力。次第說印陀羅尼壇功能法式。
이 때 관세음보살마하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체투지하여
부처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배하고 나서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부처님의 신력을 받들어 차례로 인다라니와
단의 공능과 법식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즉설주왈
卽說咒曰
나 모 라 다나 다라 야야 나 모 아리야
那(上音)謨(上音) 囉(上音)跢那(二合)跢囉(二合)夜耶(一) 那(上音)謨(上音) 阿𠼝耶(二)
바로 기뎨 새바 라 야 모디사다 야 마하사다 야
婆路(輕呼)枳帝 攝跋(二合)囉(去音)耶(三) 菩提薩埵(去音)耶(四) 摩訶薩埵(去音)耶(五)
마하가로 니가 야 다냐타 옴 다라 다라 디리 디리
摩訶迦嚧 尼迦(去音)耶(六) 跢姪他(七) 唵(八去音長引) 馱囉 馱囉(九) 地哩 地哩(十)
도로 도로 이대 바대 우리 미우리 아리 아리
杜嚕 杜嚕(十一) 壹𪘨 伐𪘨(十二)(茶賣反去音上下同) 齲犂 尾齲犂(十三) 闍梨 闍梨(十四)
바라아리 바라아리 구소먀 구소마바리 이리 미 리
缽囉闍梨 缽囉闍犂(十五) 鳩素咩(十六) 鳩蘇麽婆梨(十七) 壹里 弭(去音)里(十八)
디리 디지 아라마 바나 야 바라 마슈다살타
止里 止徵(知里反十九) 闍羅摩(二十) 波那(去音)耶(二十一) 缽囉(二合)摩輸陀薩埵(二十二)
마하가로니가 사바 하
摩訶迦嚧尼迦(二十三) 莎(去音下同)訶(二十四)
그리고 곧 다음과 같은 다라니를 송하였다.
나모 라다나 다라야야 나모 아리야 바로기뎨 새바라야 모디사다야 마하사다야
마하가로 니가야 다냐타 옴 다라 다라 디리 디리 도로 도로 이대 바대 우리 미우리
아리 아리 바라아리 바라아리 구소먀 구소마바리 이리 미리 디리 디지 아라
마바나야 바라마 슈다살타 마하가로니가 사바하
(namo ratnatrayāya namo aryāavalokiteśvaraya bodhisatvaya mahāsatvaya mahākāruṇikāya
tad yathā oṃ dhara dhara dhiri dhiri dhuru dhuru iṭṭe vaṭṭe cale cale pracale pracale
kusume kumapare kil mili cili ciṭa jvala mabhanaya padma śuddhasatva mahākāruṇikā svāhā)
관세음보살설차다라니시。불보살중 금강제천등。고성찬언 선재선재。
觀世音菩薩說此陀羅尼時。佛菩薩衆 金剛諸天等。高聲讚言 善哉善哉。
이시 관세음보살백불언。세존 차시근본다라니。약유념송。획여상설 공덕승리。
爾時 觀世音菩薩白佛言。世尊 此是根本陀羅尼。若有念誦。獲如上說 功德勝利。
이설근본다라니경 차설칠일공양단법
已說根本陀羅尼竟 次說七日供養壇法
관세음보살이 이 다라니를 송할 때에 부처님과 보살들과 금강과 모든 천 등이
소리 높여 찬탄하였다. “훌륭하도다, 훌륭하도다.”
그러자 이 때 관세음보살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이 근본다라니를 만일 어떤 사람이 염송한다면
앞에서 말할 것과 같은 공덕과 수승한 이익을 얻을 것입니다.
이제 이미 근본다라니를 말하여 마쳤으니
다음에는 칠일공양단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칠일공양단법
七日供養壇法
약유사문 약바라문 선남자등。송어비밀법장。요결성취대험。약제국왕。심생결정
若有沙門 若婆羅門 善男子等。誦於袐密法藏。要決成就大驗。若諸國王。心生決定
참회중죄。원욕견문 도대도량법단회자。
懺悔衆罪。願欲見聞 都大道場法壇會者。
선멱청정 관대원우 정화대사。급호사사 불당지소。노지역득。정지처이。백월일일
先覓淸淨 寬大院宇 精華大舍。及好寺舍 佛堂之所。露地亦得。定知處已。白月一日
어신조시。아사리신 급제제자。향탕세욕。장제향화 지기처소。아사리 수집바저라。
於晨朝時。阿闍梨身 及諸弟子。香湯洗浴。將諸香花 至其處所。阿闍梨 手執跋折羅。
차제 문 제제자등 언。여등결정。욕학제불비밀법장。불생의불。
次第 問 諸弟子等 言。汝等決定。欲學諸佛袐密法藏。不生疑不。
도중답언。아등욕학제불법장。결정성신 불생의심。여시차제삼문삼답。여시답경。
徒衆答言。我等欲學諸佛法藏。決定誠信 不生疑心。如是次第三問三答。如是答竟。
차아사리 수인향로수등。주이。수집향로 호궤소향。
次阿闍梨 手印香鑪水等。咒已。手執香鑪 胡跪燒香。
칠일공양단법
“만일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선남자 등이 비밀법장을 송하여
큰 효험을 반드시 성취하고자 하거나, 모든 국왕이 마음에 결정코
뭇 죄를 참회하는 마음을 내어 모든 대도량법단회를 보고 듣기를 원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해야 합니다.
먼저 청정하고 넓은 원우나 아름답고 화려한 큰 집이나 좋은 절이나 불당을 찾되
맨 땅 역시 괜찮습니다.
처소를 정하고 나서는 백월 초하루 아침에 아사리 자신과 모든 제자들이
향탕에 목욕하고 모든 향과 꽃을 가지고 그 처소로 가서
아사리가 손에 바저라를 잡고 차례로 모든 제자들에게 묻습니다.
‘너희들이 결정코 모든 부처님의 비밀법장을 배우고자 하며
의심을 내지 않겠느냐?’
그러면 제자들이 다음과 같이 대답합니다.
‘저희들이 모든 부처님의 법장을 배우고자 하며
결정코 진실로 믿어 의심하지 않겠습니다.’
이와 같이 차례대로 세 번 묻고 세 번 대답하기를 마치고 나면
다음에 아사리가 손으로 향로와 물 등에 인하고 진언을 송하고 나서
손에 향로를 잡고 무릎 꿇고 향을 피웁니다.
계백 일체제불 반야보살 금강천등。급여일체업도명기。금차지자 시아지지。아금욕립
啓白 一切諸佛 般若菩薩 金剛天等。及與一切業道冥祇。今此地者 是我之地。我今欲立
칠일칠야 도대도량법단지회。공양 일체시방법계 제불세존。급반야바라밀다제보살중
七日七夜 都大道場法壇之會。供養 一切十方法界 諸佛世尊。及般若波羅蜜多諸菩薩衆
금강천등。령제도중。결정일체비밀법장난사의법문고。취제증성。
金剛天等。領諸徒衆。決定一切袐密法藏難思議法門故。取諸證成。
아욕호신 결계법사。재차원내。동서남북 사유상하。소유일체파괴정법。비나야가
我欲護身 結界法事。在此院內。東西南北 四維上下。所有一切破壞正法。毘那夜迦
악신귀등。개출거 아결계지소 칠리지외。약호정법 선신귀등。어아불법중 유이익자。
惡神鬼等。皆出去 我結界之所 七里之外。若護正法 善神鬼等。於我佛法中 有利益者。
수의이주。설차어이。차등의피군다리법。벽제결계。
隨意而住。說此語已。次等依彼軍茶利法。辟除結界。
그리고 모든 부처님과 반야보살과 금강과 천 등과 모든 업도와 명기에게 아룁니다.
‘지금 이 땅은 저의 땅이온데 제가 지금 7일 낮 7일 밤 동안
모든 대도량법단회를 세워 모든 시방법계의 불세존과 반야바라밀다의 모든 보살들과
금강과 천 등에게 공양하고 모든 도중을 거느리고 일체비밀법장난사의법문을
분명히 함으로써 모든 것을 증득하여 이루고자 합니다.
제가 호신하고 결계하여 법사를 행하고자 하오니 이 원 안의 동서남북과 사유와
상하에 있는 정법을 파괴하는 비나야가와 악한 귀신 등은 모두 제가 결계한 곳에서
7리 밖으로 쫓아내시고, 정법을 보호하는 착한 귀신 등 저의 불법에 이익이
되는 자들은 마음대로 머물게 하소서.’
이렇게 말한 다음에 저 군다리법에 의거하여 벽제하고 결계합니다.
기결계경。즉령굴거 십주지내。일체악토 골발탄강 와력등물。약상호지。굴심일걸。
旣結界竟。卽令掘去 十肘地內。一切惡土 骨髮炭糠 瓦礫等物。若上好地。掘深一搩。
약중일주。하지이주。약하하지 굴심삼주。악물진경。장호정토 견축령평。기고최호。
若中一肘。下地二肘。若下下地 掘深三肘。惡物盡竟。將好淨土 堅築令平。基高最好。
결계를 다 마친 다음에는 곧 10주 안에서 땅을 파서 땅 속에 있는 모든 나쁜 흙ㆍ
뼈ㆍ머리카락ㆍ재ㆍ겨ㆍ기와ㆍ자갈 등을 골라냅니다.
만일 가장 좋은 땅이면 1걸 되는 깊이로 파고 중간쯤 되는 땅이면 1주를 파고
나쁜 땅이면 2주 파고 아주 나쁜 땅이면 3주 깊이로 팝니다.
그리하여 나쁜 것들을 다 없앤 다음에 깨끗하고 좋은 흙으로 단단히 쌓아
평평히 하되 터[基]가 높으면 가장 좋습니다.
차제이일 급제삼일。이니니지。차제사日 용우분향니。니기지경。차장승자。사방팔주
次第二日 及第三日。以泥泥地。次第四日 用牛糞香泥。泥其地竟。次將繩子。四方八肘
일잡만지。사각하점。경이승자。종동북각 지서남각。종동남각 지서북각。교차만지。
一匝挽之。四角下點。更以繩子。從東北角 至西南角。從東南角 至西北角。交叉挽之。
기승차중 하점。굴지심 일걸허。매착오보 병급오곡。
其繩叉中 下點。掘地深 一搩許。埋著五寶 幷及五穀。
다음 두 번째 날과 셋째 날에는 진흙으로 땅을 바릅니다.
다음 넷째 날에는 쇠똥과 향과 진흙을 그 땅에 바른 다음에 밧줄을 가지고
사방이 8주 되도록 한 바퀴 둘러 당기고 네 모서리 아래에 점을 찍습니다.
그리고 다시 밧줄을 가지고 동북 모서리로부터 서남 모서리까지,
동남 모서리로부터 서북 모서리까지 교차시켜 당기고
그 밧줄이 교차되는 중간 밑에 점을 찍고 그 아래 땅을 1걸쯤 되게 파서
다섯 가지 보배와 다섯 가지 곡식을 묻습니다.
기오보자。일 금 이 은 삼 진주 사 산호 오 호박。
其五寶者。一 金 二 銀 三 眞珠 四 珊瑚 五 琥珀。
언오곡자。일 대맥 이 소맥 삼 도곡 사 소두 오 호마。
言五穀者。一 大麥 二 小麥 三 稻穀 四 小豆 五 胡麻。
이일편견 공과보곡。이오색선 계견매지。기오색선。일두출지 장오지허。
以一片絹 共裹寶穀。以五色線 繫絹埋之。其五色線。一頭出地 長五指許。
차보물등 영부득출。
此寶物等 永不得出。
다섯 가지 보배란, 첫째는 금이고, 둘째는 은이며, 셋째는 진주이고,
넷째는 산호이며, 다섯째는 호박입니다.
다섯 가지 곡식이란, 첫째는 보리이고, 둘째는 밀이며, 셋째는 쌀이고,
넷째는 소두이며, 다섯째는 깨[胡麻]입니다.
한 조각의 비단으로 보배와 곡식을 같이 싸서 오색 실로 비단을 묶어 묻고,
그 오색실의 한 끝을 땅 위로 5지쯤 나오게 합니다.
그 보물 등은 영원히 꺼낼 수 없습니다.
차작대결계。기결계법。집바저라 당운금강저야 우요단외。급주삼잡。작비나야가
次作大結界。其結界法。執跋折羅(唐云金剛杵也) 右遶壇外。急走三匝。作毘那夜迦
종종결계인。인지하사방상방。
種種結界印。印地下四方上方。
송주작인。계고벽제 결계등법。여초일설。의군다리 차제법용。
誦咒作印。啓告辟除 結界等法。如初日說。依軍茶利 次第法用。
다음에 대결계를 합니다. 그 결계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바저라(당나라에서는 금강저라고 한다.)를 잡고 단 밖의 오른쪽으로 급히 달리며
세 바퀴를 돕니다. 그리고 비나야가의 온갖 결계인을 결하여 지하와 사방과
상방에 인합니다.
진언을 송하는 것과 인을 결하는 것과 계고와 벽제와 결계 등의 법은
첫째 날 말한 것처럼 군다리법의 법용의 차례에 의하여 합니다.
차제오일 결계법식。여제사일。갱용우분도지。기도지법。수우선마。물향좌마。
次第五日 結界法式。如第四日。更用牛糞塗地。其塗地法。手右旋磨。勿向左磨。
기여사자 동제사일。
其餘事者 同第四日。
다음에 다섯째 날에는 결계하는 법식을 넷째 날과 같이 한 다음
다시 쇠똥을 땅에 바릅니다.
그 땅에 바르는 법은 손을 오른쪽으로 돌리며 문지르는 것인데,
왼쪽으로 문지르면 안됩니다. 그 밖의 일들은 넷째 날과 같습니다.
차제육일。아사리세욕 선입단내。우 호총명제자이인。역정세욕 착신정의。
次第六日。阿闍梨洗浴 先入壇內。又 好聰明弟子二人。亦淨洗浴 著新淨衣。
수후입단。이단향탕 화석회경。석회즙중 염세승자。
隨後入壇。以壇香湯 和石灰竟。石灰汁中 染細繩子。
다음에 여섯째 날에는 아사리가 목욕하고 먼저 단 안에 들어간 다음에
또 매우 총명한 제자 두 사람이 역시 깨끗이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따라 단으로 들어갑니다.
단향탕과 석회를 섞어 그 석회즙속에 가는 밧줄을 넣어 염색합니다.
령일제자 파기승두。안단동북 정당각두。선점지처。
令一弟子 把其繩頭。按壇東北 正當角頭。先點之處。
차아사리 파승일두。안단동남 정당각두 선점지처。급만착지。
次阿闍梨 把繩一頭。按壇東南 正當角頭 先點之處。急挽著地。
사일제자 념승중앙。병착지상。
使一弟子 捻繩中央。拼著地上。
차동북각 제자기。향서남각좌。역여전작。차동남각 아사리기。향서북각좌。
次東北角 弟子起。向西南角坐。亦如前作。次東南角 阿闍梨起。向西北角坐。
역여전작。
亦如前作。
그리고 제자 한 사람으로 하여금 그 밧줄 끝을 잡고
단의 동북쪽의 바로 모서리 끝에 해당하는 먼저 점찍었던 곳을 누르게 합니다.
다음에 아사리가 밧줄의 한 끝을 잡고 단의 동남쪽의 바로 모서리 끝에 해당하는
먼저 점찍었던 곳을 누르고 급히 당겨 땅에 댑니다.
그리고 한 제자로 하여금 밧줄의 중앙을 붙잡아 튀겨 땅 위에 붙이게 합니다.
다음에 동북 모서리에 있는 제자가 일어나 서남 모서리를 향하여 앉아
역시 앞과 같이 하고 다음에 동남 모서리에 있는 아사리가 일어나
서북 모서리를 향하여 앉아 역시 앞의 법과 같이 합니다.
차서남각 제자기。향동북각좌。역여전법。차선병처。종외향내。리일주허。
次西南角 弟子起。向東北角坐。亦如前法。次先拼處。從外向內。離一肘許。
경의전법。위요병지。
更依前法。圍遶拼之。
차취팔주승자。굴중당단일방。하착일점。경굴이주승자。종단일방 중앙점량。
次取八肘繩子。屈中當壇一方。下著一點。更屈二肘繩子。從壇一方 中央點量。
좌우갱점양처。차기일방문벽。거단승오지허。차갱굴문벽。향좌우오지허작。
左右更點兩處。次其一方門壁。去壇繩五指許。次更屈門壁。向左右五指許作。
차기문좌우양반。관오지허작。차기문외 변직화착。일방약이。삼방준지。
次其門左右兩畔。寬五指許作。次其門外 邊直畫著。一方若爾。三方准知。
그리고 서남 모서리에 있는 제자가 일어나 동북 모서리를 향하여 앉아
역시 앞과 같이 하고 다음에 먼저 튀긴 곳에서 밖에서 안을 향하여
1주쯤 떨어진 곳에서 다시 앞의 법과 같이 하여 둥글게 돌며 튀깁니다.
다음에 8주 되는 밧줄을 취하여 가운데를 구부려 단의 한쪽 방향에 점 하나를 찍고,
다시 2주 되는 밧줄을 구부려 단의 한쪽 방향으로부터 중앙을 헤아려 점찍고
좌우의 양쪽에 다시 점찍습니다.
다음에 그 한쪽 방향 문의 벽은 단의 밧줄과 5지쯤 떨어지게 합니다.
다음에 다시 문벽을 구부려 좌우로 5지쯤 되게 합니다.
그리고 그 문의 좌우 양반을 너비가 5지쯤 되게 하여
그 문의 외변에 바로 그림을 붙입니다.
한쪽 방향을 그렇게 한 것처럼 세 방향도 그에 준해서 알아서 합니다.
차작중원。외승사주。기외원내승。여중외승。양승지간 개일주도。기중원문
次作中院。外繩四肘。其外院內繩。與中外繩。兩繩之間 開一肘道。其中院門
사방벽여。향좌우。총작삼지허。기문외변 승자병법。역여전법。기중원내방。
四方壁與。向左右。總作三指許。其門外邊 繩子拼法。亦如前法。其中院內方。
리외승일주。갱병석회승자。기단정중심。작이주원。막작문。
離外繩一肘。更拼石灰繩子。其壇正中心。作二肘院。莫作門。
차아사리 이오색선。일주일결 오십오결。용마두관세음주。
次阿闍梨 以五色線。一咒一結 五十五結。用馬頭觀世音咒。
다음에 중원을 만들되 바깥 줄[外繩]을 4주 되게 하고
그 외원의 안쪽 줄[內繩]과 중원의 바깥 줄의 두 밧줄 사이에 1주 가량 길을 열고,
중원 문의 사방 벽을 좌우를 향하여 총 3지쯤 되게 만듭니다.
그리고 그 문의 외변의 밧줄을 튀기는 법은 역시 앞의 법과 같이 합니다.
그 중원의 내방은 바깥 줄과 1주 떨어지게 하고 다시 석회밧줄[石灰繩子]을 튀깁니다.
그 단의 정중심에는 2주 되는 원을 만들되 문은 만들면 안됩니다.
다음에 아사리가 오색선을 가지고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매듭을 맺어
쉰다섯 개의 매듭을 맺되, 마두관세음주를 사용합니다.
오색선 - 백(白)ㆍ적(赤)ㆍ황(黃)ㆍ청(靑)ㆍ흑(黑)의 다섯 색 실로 만든 선.
오색수다라(五色修多羅)라고도 한다.
오색선은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금강선(金剛線)ㆍ단선(壇線)ㆍ결선(結線)이라 불린다.
이 오색은 밀교에서 오불(五佛)ㆍ오대(五大)ㆍ오자(五字)ㆍ오지(五智)ㆍ오전(五轉) 등의 표 치로 사용되는 중요한 것이다.
오색으로 표치되는 내용은 밀교의 수행법과 관련된다.
주왈
咒曰
옴 아미 리도 디 바 바 훔 박
唵(一) 阿彌(上音)哩都 知(二合)婆(去音)婆(二) 嗚𤙖 泮(三)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미리도 디바바 오훔 박(oṃ amṛte jibhava hūṃ phaṭ)
차이견편。과어오보 병오곡자。오색선계。계주삭상。수인다소 일일과지。
次以絹片。裹於五寶 幷五穀子。五色線繫。繫咒索上。隨人多少 一一裹之。
차어단사각。각수일간。서문양개죽간。이승요계 사각간상。어기승상 현잡색번。
次於壇四角。各豎一竿。西門兩箇竹竿。以繩繞繫 四角竿上。於其繩上 懸雜色幡。
기단상방 동서남북 사유계번。교락장엄。
其壇上方 東西南北 四維繫幡。交絡莊嚴。
다음에 비단조각으로 다섯 가지 보배와 다섯 가지 곡식의 종자를 싸서
오색줄로 묶어 진언을 송한 동아줄 위에 묶습니다.
사람 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낱낱이 싼 다음에
단의 네 모퉁이에 각각 한 개씩의 깃대를 세우고
서쪽 문에는 두 개의 대나무깃대를 세워 밧줄로 두른 다음에
네 모서리의 깃대 위에 묶습니다.
그리고 그 밧줄 위에 잡색 깃발을 매달고 그 단의 상방의 동ㆍ서ㆍ남ㆍ북과
4유에 깃발을 묶어 서로 엇갈리게 하여 장엄합니다.
기단외원 서문남측 이단이척。천작화로。종광심천 각이척작。어기로중 류일토대。
其壇外院 西門南側 離壇二尺。穿作火鑪。縱廣深淺 各二尺作。於其鑪中 留一土臺。
대상소작 향니연화。위연화좌。
臺上素作 香泥蓮華。爲蓮華座。
차일욕몰시。아사리 령제제자。총세욕경。차아사리 작대결계。
次日欲沒時。阿闍梨 令諸弟子。總洗浴竟。次阿闍梨 作大結界。
차일입시。소청제불보살금강。어단중심 착일불상。북방 관세음。남방 금강。
次日入時。召請諸佛菩薩金剛。於壇中心 著一佛像。北方 觀世音。南方 金剛。
이종종향화 오반음식 십육잔등 이공양지。
以種種香華 五槃飮食 十六盞燈 而供養之。
그리고 단의 외원 서쪽문의 남측으로 단과 두 자 떨어진 곳을 파서
길이와 너비와 깊이가 각각 두 자가 되는 화로를 만듭니다.
그리고 그 화로 가운데 토대 하나를 놓고
토대 위에 향기로운 진흙으로 연꽃을 만들어 연화좌로 삼습니다.
다음에 해가 지려고 할 때에 아사리가 모든 제자들을 목욕하게 한 다음
아사리가 대결계를 합니다.
또 해가 질 때에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을 청하고
단의 중심에 불상 하나를 안치하며 북쪽에는 관세음을, 남쪽에는 금강을 안치하고
온갖 향과 꽃과 다섯 쟁반의 음식과 열여섯 잔의 등으로 공양합니다.
차어서문외 부신정석。차아사리 환제제자。작호신인。일일송주칠편。각각여인
次於西門外 敷新淨席。次阿闍梨 喚諸弟子。作護身印。一一誦咒七遍。各各與印
제제자정 급양견 심열미간 발제뇌후。호신필이。령제제자 취어석상 면향동좌。
諸弟子頂 及兩肩 心咽眉間 髮際腦後。護身畢已。令諸弟子 就於席上 面向東坐。
다음에 서쪽 문 밖에 깨끗한 자리를 새로 폅니다.
그 다음에는 아사리가 모든 제자를 불러 호신인을 하고
낱낱이 진언을 일곱 번씩 송하여 각각 모든 제자의 정수리ㆍ양어깨ㆍ가슴ㆍ목ㆍ
미간ㆍ머리카락ㆍ뒤통수에 인하여 호신해 주기를 마치고 나서
모든 제자로 하여금 자리 위에 나아가 동쪽을 향하여 앉게 합니다.
차취향화 급백개자。아사리 파백개자。각주칠편。차제타 제제자두상 삼편。타경。
次取香華 及白芥子。阿闍梨 把白芥子。各咒七遍。次第打 諸弟子頭上 三遍。打竟。
경여호신。용마두관세음인주지。
更與護身。用馬頭觀世音印咒之。
다음에 향과 흰 겨자를 취하여 아사리가 흰 겨자를 쥐고
각각 진언을 일곱 번씩 송하여 차례로 모든 제자의 머리 위에 세 번씩 던집니다.
던지기를 끝내고 다시 호신을 해주되 마두관세음인을 사용하여 진언을 송합니다.
차아사리 호궤。문어최장제자이운。여금욕득 학차법불。제자답운 욕득。
次阿闍梨 胡跪。問於最長弟子而云。汝今欲得 學此法不。弟子答云 欲得。
여시차제 문제제자。법용여전。
如是次第 問諸弟子。法用如前。
다음에 아사리가 무릎 꿇고 가장 나이 많은 제자에게 묻습니다.
‘네가 지금 이 법을 배우고자 하느냐?’
제자가 대답합니다.
‘얻고자 합니다.’
이와 같이 차례대로 모든 제자에게 묻되, 법용은 앞에서와 같이 합니다.
차아사리 수경향수。반제제자 일일두상。부이우수。안제제자 일일흉상。
次阿闍梨 手擎香水。泮諸弟子 一一頭上。復以右手。按諸弟子 一一胸上。
위송마두관세음주。차취주삭。각각여계 제제자비。남좌여우。
爲誦馬頭觀世音咒。次取咒索。各各與繫 諸弟子臂。男左女右。
다음에 아사리가 손에 향수를 움켜쥐고 모든 제자의 머리 위에 뿌리고
다시 오른손으로 모든 제자의 낱낱의 가슴 위를 누르면서
그들을 위하여 마두관세음주를 송합니다.
그리고 진언을 송한 동아줄을 취하여 각각 모든 제자의 팔을 묶되
남자는 왼쪽을 묶고 여자는 오른쪽을 묶습니다.
차 이사나수즙향。차제여반 제제자신。우선삼전。반향수경。차선거화 역여전법。
次 以娑羅樹汁香。次第與泮 諸弟子身。右旋三轉。泮香水竟。次旋炬火 亦如前法。
차여류지 각장팔지。차수여화경。령제제자 향동렬좌。교제제자 투화향전。
次與柳枝 各長八指。次授與華竟。令諸弟子 向東列坐。敎諸弟子 投華向前。
차작류지 역여전투。
次嚼柳枝 亦如前投。
다음에 사라수의 즙과 향을 차례로 모든 제자의 몸에 뿌리되,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며 향수를 뿌린 다음에
횃불을 돌리는 것 역시 이전의 법과 같이 하고,
다음에 각각 길이가 8지 되는 양지를 주고 다음에 꽃을 줍니다.
다 주고 나서 모든 제자로 하여금 동쪽을 향하여 줄지어 앉게 한 다음
모든 제자에게 앞을 향하여 꽃을 던지라고 시키고 다음에 양지를 씹게 한 다음
역시 전과 같이 던지라고 합니다.
약기화두 향신자호。배향동자 지마장출。향남북자 개위불길。류지작처 향신자호。
若其華頭 向身者好。背向東者 知魔障出。向南北者 皆爲不吉。柳枝嚼處 向身者好。
배향동자 지마장출。여여화법。
背向東者 知魔障出。餘如華法。
만일 그 꽃의 머리가 몸 쪽으로 향하면 좋고 등져서 동쪽으로 향하면
마장이 출현한 줄 알아야 하며 남북쪽을 향하면 모두 불길합니다.
양지 역시 던져서 몸 쪽으로 향하면 좋고 등져서 동쪽을 향하면
마장이 출현한 줄 알아야 하며 나머지도 꽃의 경우[華法]와 같습니다.
차여세수。각이수령 바저라수。경사음지。
次與洗手。各以手領 跋折羅水。敬謝飮之。
다음에 함께 손을 씻고 각각 손으로 바저라수를 받아 공경히 감사하며 마십니다.
바저라수 - 산스크리트로 vajrodaka. 음역하여 바저라오다가(跋折囉鄔陀迦)라 한다.
또는 금강서수(金剛誓水)ㆍ서수(誓水)라 한다.
밀교에서 관정을 받을 때에 반드시 서서 서약하는데 금강수는 그 때에 수자(受者)가 마시는 물이다.
차아사리입단。계백 제불보살금강등 운。
次阿闍梨入壇。啓白 諸佛菩薩金剛等 云。
아이차제 문제제자。우이작법 차제시경。금제제자。욕입단래 공양성중。
我以次第 問諸弟子。又以作法 次第試竟。今諸弟子。欲入壇來 供養聖衆。
여시계이。인입제자 약공양경。발견출외。아사리어 제제자。
如是啓已。引入弟子 略供養竟。發遣出外。阿闍梨語 諸弟子。
각와수거。약유소몽。명조각각 향아도지。
各臥睡去。若有所夢。明朝各各 向我道之。
시 제제자 총와거후。
時 諸弟子 總臥去後。
다음에 아사리가 단에 들어가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 등에게 말씀드립니다.
‘제가 차례대로 모든 제자에게 물었고
또 차례대로 작법하여 시험하기를 마쳤습니다.
지금 모든 제자가 단에 들어가 성스러운 대중들께 공양드리고자 합니다.’
이렇게 아뢰고 나서 제자들을 이끌고 들어가 간략히 공양을 마치고
밖으로 내보내며 아사리가 모든 제자에게 말합니다.
‘각각 가서 누워 자고 만일 꾼 꿈이 있으면 내일 아침에 나에게 말하거라.’
그러면 이 때 모든 제자가 모두 누워 자러 갑니다.
차아사리 입어단내。백불보살금강등 운。
次阿闍梨 入於壇內。白佛菩薩金剛等 云。
제제자등 명일。경욕입도량내 광작공양。제불보살금강천등。청승공중。명욕공양。
諸弟子等 明日。更欲入道場來 廣作供養。諸佛菩薩金剛天等。請昇空中。明欲供養。
임시총부 수중공양 여시삼설 。
臨時總赴 受衆供養(如是三說)。
연후 발견 단내제불보살금강。급제천등。
然後 發遣 壇內諸佛菩薩金剛。及諸天等。
다음에 아사리는 단 안에 들어가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 등에게 말씀드립니다.
‘모든 제자들이 내일 다시 도량에 들어와 널리 공양을 드리고자 하오니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과 천 등께서는 공중에 올라가셨다가
내일 공양하려 할 때에 모두 오셔서 공양을 받으소서.’(이와 같이 세 번 말합니다.)
그런 후에 단 안에 계신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과 모든 천 등을 보냅니다.
차아사리。향단북변。면향남좌。착일화로 송마두주 주백개자。일주일소 일백팔편。
次阿闍梨。向壇北邊。面向南坐。著一火鑪 誦馬頭咒 咒白芥子。一咒一燒 一百八遍。
시 제제자 즉득멸죄。
時 諸弟子 卽得滅罪。
다음에 아사리가 단의 북쪽 변에서 남쪽을 향하여 앉아 화로 하나를 놓고
마두주로써 흰 겨자에 진언을 송하되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개씩 태우기를
백여덟 번 합니다. 그러면 이 때 모든 제자의 죄가 곧 없어지게 됩니다.
차아사리 여이제자。어일야중。이오색분 부치단내。부치법자。선종내원。초이백색。
次阿闍梨 與二弟子。於一夜中。以五色粉 敷置壇內。敷置法者。先從內院。初以白色。
차황청적。후이흑색。도명단기。갱치외원。종동북각 우회작지。이오색물 의전법작。
次黃靑赤。後以黑色。到明旦起。更置外院。從東北角 右迴作之。以五色物 依前法作。
다음에 아사리가 두 명의 제자와 한밤중에 오색가루를 단 안에 뿌립니다.
뿌리는 법은, 먼저 내원으로부터 처음에 백색을 뿌리고 다음에 황색과 청색과
적색을 뿌리고 뒤에 흑색을 뿌립니다.
다음날 아침이 되면 다시 외원에 뿌리기를, 동북 모서리로부터 오른쪽으로
돌면서 뿌리되, 오색가루를 이전의 법과 같이 차례로 뿌립니다.
어단중심。안십일면관세음 이위좌주。연화좌상 안치륜형。
於壇中心。安十一面觀世音 以爲坐主。蓮華座上 安置輪形。
차내원동면중앙。안아미타불。불우변 안석가모니불。좌변 안반야파나밀다。
次內院東面中央。安阿彌陀佛。佛右邊 安釋迦牟尼佛。左邊 安般若波羅蜜多。
북면중앙 안대세지보살。우변 안관세음모。좌변 안마두관세음。
北面中央 安大勢至菩薩。右邊 安觀世音母。左邊 安馬頭觀世音。
남면중앙 안금강왕。우변 안금강모。좌변 안바저라모슬지。
南面中央 安金剛王。右邊 安金剛母。左邊 安跋折羅母瑟知。
서면원문남변。안제두뢰타。북변 안비로타가。
西面院門南邊。安提頭賴吒。北邊 安毘嚧陀迦。
그리고 단의 중심에 십일면관세음을 안치하여 좌주로 삼고
연화좌 위에 수레바퀴 형상[輪形]을 안치합니다.
다음에 내원의 동쪽면 중앙에 아미타불을 안치하고
오른쪽 변에 석가모니불을 안치하고 왼쪽 변에 반야바라밀다를 안치합니다.
북쪽면 중앙에 대세지보살을 안치하고, 오른쪽 변에 관세음모를 안치하며
왼쪽 변에 마두관세음을 안치합니다.
남쪽면의 중앙에 금강왕을 안치하고 오른쪽 변에 금강모를 안치하고
왼쪽 변에 바저라모슬지를 안치합니다.
서쪽면 원문의 남쪽 변에 제두뢰타를 안치하고 북쪽 변에 비로타가를 안치합니다.
바저라모슬지 - 번역하여 금강권인(金剛拳印)이라 한다. 모슬지는 산스크리트로 muṣṭi이다.
차작외원동행。종북두。선안만수실리보살。차미륵보살。차안전단덕불。차아촉불。
次作外院東行。從北頭。先安曼殊室利菩薩。次彌勒菩薩。次安栴檀德佛。次阿閦佛。
차상덕불。차보현보살。차월천。차허공장보살。
次相德佛。次普賢菩薩。次月天。次虛空藏菩薩。
다음에 외원의 동쪽 대열을 만듭니다.
북쪽 끝에서부터 먼저 만수실리보살을 안치하고 다음에 미륵보살ㆍ전단덕불ㆍ
아촉불을 안치합니다. 다음에 상덕불ㆍ보현보살ㆍ월천ㆍ허공장보살을 안치합니다.
외원북면。종동두 선안마가세다 당운대백관세음야 。차마가실리예。차수심관세음。
外院北面。從東頭 先安摩訶稅多(唐云大白觀世音也)。次摩訶室唎曳。次隨心觀世音。
차일차삼발지가라。차아모가파사 당운불공견삭 。차필구치。차비마라말지。
次一瑳三跋底伽羅。次阿牟伽皤賖(唐云不空罥索)。次苾俱致。次毘摩羅末知。
외원의 북쪽면에는 동쪽 끝으로부터 먼저 마하세다(당나라에서는 대백관세음이라고 한다.)를 안치하고,
다음에 마하실리예ㆍ수심관세음ㆍ일차삼발지가라ㆍ아모가파사(당나라에서는 불공견삭이라고 한다.)ㆍ필구치ㆍ비마라말지를
안치합니다.
차원남행 종동두。선안화두금강。차안니람바라다라 당운청금강야 。
此院南行 從東頭。先安火頭金剛。次安尼藍婆羅陀羅(唐云靑金剛也)。
차모로타타가 금강아명 。차소파 사치 가라。차소파휴 역시금강아야 。
次母嚕陀吒伽(金剛兒名)。次蘇皤(二合)斯馳(二合)迦羅。次素婆休(亦是金剛兒也)。
차앙구시。차바저라샹가라。
次央鳩尸。次跋折羅商迦羅。
다음에 원의 남쪽 대열은 동쪽 끝으로부터 먼저 화두금강을 안치하고,
다음에 니람바라다라(당나라에서는 청금강이라 한다.)를 안치하고,
다음에 모로타타가(금강아의 이름이다.)를 안치하고,
다음에 소파사치가라를 안치하며, 다음에 소바휴(역시 금강아이다.)를 안치하고,
다음에 앙구시를 안치하며, 다음에 바저라샹가라를 안치합니다.
외원서행 종남두。선안마리지。차안일천。차안비로박차천왕。차안작문。
外院西行 從南頭。先安摩唎支。次安日天。次安毘嚕博叉天王。次安作門。
문북벽비사문천왕。차안지천。차안일체용왕。
門北壁毘沙門天王。次安地天。次安一切龍王。
외원의 서쪽 대열은 남쪽 끝으로부터 먼저 마리지를 안치하고,
다음에 일천ㆍ비로박차천왕을 안치하고, 다음에 문을 만들어 안치하며,
문의 북쪽 벽에 비사문천왕과 지천과 모든 용왕을 안치합니다.
마리지 - 산스크리트로 Mārīci. 위광(威光)ㆍ양염(陽炎)이라 번역하며 위광보살(威光菩薩)이라고도 한다.
삼매야형은 몸을 보이지 않게 하는 데 쓰는 천선(天扇)이며, 종자는 ma, maṃ이다.
양염(陽炎)의 신격화로 인도의 민간에 신앙되었다.
은형술에 의해 장애를 제거하고 언제나 태양 앞에서 시중든다.
제석천과 아수라가 전투할 때에는 해와 달을 지키며 아수라를 어지럽게 한다고 전한다.
형상은 3면 6비, 3면 8비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일천 - 산스크리트로 Āditya 또는 Sūrya. 12천(天)의 하나로 태양을 신격화한 것.
일천자(日天子)ㆍ일신(日神)이라고도 한다. 태장만다라의 외금강부에 배치되며, 양손에 연화를 쥐고,
다섯 개의 머리가 붉은 말이 끄는 차에 탄다.
삼매야형은 태장계에서는 금강륜이며, 금강계에서는 일륜형(日輪形)이고, 종자는 a이다.
비로박차천왕 - 산스크리트로 Virūpakṣa. 번역해서 광목천(廣目天)이라 한다.
사천왕(四天王)의 하나로 서방을 수호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습박(濕縛)의 다른 이름이라고도 본다.
지천 - 산스크리트로 Pṛthivī. 인도신화에서 번성과 생육(生育)의 신으로 대지를 담당하는 존격. 따라서 아래 방향에 주한다.
삼매야형은 보병(寶甁)ㆍ발우이며, 종자는 vi, pṛ이다.
밀교작단에서는 우선 지신(地神)을 경발(警發)하고 대지가 일체만물을 생육하는 것처럼
대일여래가 만물을 지배함을 표상으로 한다.
현상은 두 개의 팔을 가졌거나 네 개의 팔을 가진 상이 있으며, 일정하지 않다.
기외원사각。각안교차 이바저라 여십자형 。
其外院四角。各安交叉 二跋折羅(如十字形)。
우 중원사각。준전 각안이바저라。역교차착 여십자형 。
又 中院四角。准前 各安二跋折羅。亦交叉著(如十字形)。
그 외원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두 개의 바저라를 교차시켜 놓고(십자의 모양과 같게 한다.)
또 중원의 네 모서리에는 앞에 준해서 각각 두 개의 바저라를 역시 교차시켜 놓습니다.(십자의 모양과 같게 한다.)
차아사리 기립서문。간단중사。하자시호 하자불호。하자주잡 하불주잡。호호검교
次阿闍梨 起立西門。看壇中事。何者是好 何者不好。何者周匝 何不周匝。好好撿挍
잉어단내。견구제자 수호이주。
仍於壇內。遣舊弟子 守護而住。
다음에 아사리가 서쪽 문에서 일어나, 단 안의 일이 무엇이 잘 되고,
무엇이 잘 되지 않았는지 살펴서 마음에 들도록 바르게 한 다음
단 안에 예전의 제자를 보내 수호하며 머물게 합니다.
차아사리 향탕세욕。착신정의。당이비백 과자두정 홍색역득 잉이황백。요두계액。
次阿闍梨 香湯洗浴。著新淨衣。當以緋帛 裹自頭頂(紅色亦得) 仍以黃帛。繞頭繫額。
다음에 아사리가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붉은 비단으로 자기 머리를 싸(고홍색도 괜찮다.) 이어서 황색 비단을 머리에 둘러 이마에 묶습니다.
차이주삭 계자좌수。정당완절 차작호신인 인어자신。개용마두호신인주。
次以咒索 繫自左手。正當腕節 次作護身印 印於自身。皆用馬頭護身印咒。
다음에 진언을 송한 동아줄을 자기 왼손에 묶어 바로 손목 마디에 대고
호신인을 결하여 자기 몸에 인하되, 모두 마두호신인주를 사용합니다.
차파바저라。작아밀리다군다리신인。삼회우전 어단외변。
次把跋折羅。作阿蜜哩多軍茶利身印。三迴右轉 於壇外邊。
다음에 바저라를 잡고 아밀리다군다리신인을 결하여
단의 바깥 변을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돕니다.
아밀리다 - 산스크리트로 amṛta. 음역하여 아밀리다(阿密哩多)ㆍ아밀율다(阿蜜㗚多)라 한다.
의역하여 불사(不死)ㆍ불사액(不死液)ㆍ천주(天酒)라 한다.
또 하늘에서 내리는 단 이슬이라 하여 감로라 한다.
곧 불사의 신약(神藥)으로, 천상의 영주(靈酒)이다.
따라서 아밀리다군다리는 감로군다리를 말한다.
차작지결계。사방상방 차제이작。병송마두주。
次作地結界。四方上方 次第而作。幷誦馬頭咒。
다음에 땅에 결계를 하는데 사방과 윗방향에 차례대로 하고
아울러 마두주를 송합니다.
차취수관 일십삼구 각수일승허。만성정수。어중소소 성착오곡。병착소소 용뇌향。
次取水罐 一十三口 各授一升許。滿盛淨水。於中少少 盛著五穀。幷著小小 龍腦香。
울금향등 급석류황。공전오보。과중성이。착어관내。기관구상。이류백지 병섭죽지。
鬱金香等 及石榴黃。共前五寶。裹中盛已。著於罐內。其罐口上。以柳柏枝 幷葉竹枝。
새두종수。각이백견 속령불산。
塞頭嵷豎。各以白絹 束令不散。
다음에 각각 한 되들이 수관을 열세 개 취하여 깨끗한 물을 가득 채우고
그 안에 조금씩 오곡을 넣어 채우며, 아울러 조금씩 용뇌향ㆍ울금향ㆍ석류황 등을
앞의 다섯 가지 보물과 같이 안에 넣고 나서 수관을 안에 놓습니다.
그리고 그 관의 입구 위에는 버드나무와 측백나무의 가지와 잎
그리고 대나무 가지로 입구를 막아 단단히 우뚝 세우고
각각 백색 비단으로 묶어 흩어지지 않게 합니다.
차주수관 일백팔편。용십일면관세음주 주관여시 일백팔편。주이장입。선안내원
次咒水罐 一百八遍。用十一面觀世音咒 咒罐如是 一百八遍。咒已將入。先安內院
사각중심。각일수관。차어외원 사각사문。각안일관。
四角中心。各一水罐。次於外院 四角四門。各安一罐。
다음에 수관에 십일면관세음주를 백여덟 번 송합니다.
송하고 나서 들어가려 할 때에 먼저 내원의 사각의 중심에 각각 수관 한 개씩을
놓고 나서 외원 사각의 네 문에 각각 수관 한 개씩을 놓습니다.
차취양은반。일반 성향수 일반 성화。차취피반내화。착어일반향수중。침경。
次取兩銀盤。一盤 盛香水 一盤 盛華。次取彼盤內華。著於一盤香水中。浸竟。
차취피화소허。착자장중。즉작신인。선청단중심 십일면관세음。송칠편이。
次取彼華少許。著自掌中。卽作身印。先請壇中心 十一面觀世音。誦七遍已。
즉작좌인。역송좌주 만칠편이。연후 방화투어본위。안치기경。
卽作坐印。亦誦坐咒 滿七遍已。然後 放華投於本位。安置旣竟。
다음에 두 개의 은쟁반을 취하여 하나에는 향수를 담고 하나에는 꽃을 담은 다음에
그 쟁반 안의 꽃을 가져다쟁반 속에 있는 향수 안에 놓아 잠기게 합니다.
다음에 그 꽃을 조금 집어 자기 손바닥 안에 놓고 곧 신인 결하고
먼저 단의 중심에 있는 십일면관세음을 청하며 일곱 번 진언을 송합니다.
그리고 곧 좌인을 결하고 역시 좌주를 일곱 번 송하여 채운 다음에
꽃을 본위에 던져 안치하여 마칩니다.
차청중원동행。일일여전。차청북행。차청남행。차청서행경。
次請中院東行。一一如前。次請北行。次請南行。次請西行竟。
차청외원동행。차청북행。차청남행。차청서행 총봉청경。
次請外院東行。次請北行。次請南行。次請西行 總奉請竟。
다음에 중원의 동쪽 대열의 낱낱을 앞과 같이 하고,
다음에 북쪽 대열과 남쪽 대열과 서쪽 대열을 청하여 마칩니다.
다음에 외원의 동쪽 대열과 북쪽 대열과 남쪽 대열과 서쪽 대열을 청하여
봉청하기를 모두 마칩니다.
차작대결계인。차취향수。산어단내 제불보살금강등전。차산제화。
次作大結界印。次取香水。散於壇內 諸佛菩薩金剛等前。次散諸華。
다음에 대결계인을 결하고 향수를 취하여 단 안에 계신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 등의 앞에 뿌리고, 모든 꽃을 뿌립니다.
차어단중심 착일향로。사방팔문 각일향로。총소향경。연후 아사리 파일향로
次於壇中心 著一香鑪。四方八門 各一香鑪。總燒香竟。然後 阿闍梨 把一香鑪
소종종향。종단외변 우요일잡。행도이경후。방착향로。당어서수관변。
燒種種香。從壇外邊 右繞一匝。行道已竟後。放著香鑪。當於西水罐邊。
단의 중심에 향로 한 개를 놓고 사방의 여덟 개의 문에 각각 향로 한 개씩을 놓아
모두 향을 피워 마친 다음에 아사리가 향로 하나를 잡고 온갖 향을 피우며 단의
왼쪽 변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한 바퀴 돕니다. 돌고난 후 향로를 서쪽 수관 옆에
놓습니다.
차취서문수관지상 오색선일두。장우전요 어단외변 죽간지상。환도서문 일잡계지。
次取西門水罐之上 五色線一頭。將右轉繞 於壇外邊 竹竿之上。還到西門 一匝繫之。
다음에 서쪽 문의 수관 위에 있는 오색실의 한 끝을 취하여
단의 바깥 변의 대나무 깃대 위에 오른쪽으로 빙빙 돌리고
다시 서쪽 문으로 돌아와 한 바퀴 돌려 묶습니다.
차착음식。어단중심 관세음전 사반음食 기여제보살등전 각착일반。차어중심
次著飮食。於壇中心 觀世音前 四盤飮食 其餘諸菩薩等前 各著一盤。次於中心
저사잔등。기여좌변 각착일잔。
著四盞燈。其餘坐邊 各著一盞。
다음에 음식을 놓되 단의 중심의 관세음 앞에 네 쟁반의 음식을 놓고
그 나머지 모든 보살들 앞에 각각 한 쟁반씩 놓습니다.
그리고 중심에 네 잔의 등을 놓고 그 나머지 자리의 곁에 각각 한 잔씩 놓습니다.
차어불보살등。보시 금은견백 전재등물。수유보시。
次於佛菩薩等。布施 金銀絹帛 錢財等物。隨有布施。
다음에 부처님과 보살 등에게 금과 은과 비단과 돈과 재물 등을 보시하되
있는 대로 보시합니다.
차아사리 장구제자。파향화수 급자오곡 삼사승허。
次阿闍梨 將舊弟子。把香花水 及煮五穀 三四升許。
기아사리。시일댁중 시방귀신 음식。
其阿闍梨。施一宅中 十方鬼神 飮食。
다음에 아사리는 앞의 제자를 보내서 향과 꽃과 물과
서너 되쯤 되는 익힌 오곡을 가져 오게 하여
아사리가 한 집 안에 있는 시방의 귀신에게 음식을 베풉니다.
이경。차아사리 세수수구。입단삼례。각축출래。차구일제자 파일화첩。
已竟。次阿闍梨 洗手漱口。入壇三禮。卻縮出來。次舊一弟子 把一花疊。
우 일제자 수파향로 급백개자。축아사리후。
又 一弟子 手把香鑪 及白芥子。逐阿闍梨後。
다 베풀고 난 다음에 아사리가 손을 씻고 양치질을 하고
단에 들어가 세 번 예배하고 송구스러워하며 나오면
앞의 제자 한 사람이 화첩 하나를 잡고 또 한 제자가 손에 향로와 흰 겨자를 잡고
아사리 뒤를 따릅니다.
일일별환 신제자래。재단서북각외립。차아사리 선파백개자。이마두주 주칠편이。
一一別喚 新弟子來。在壇西北角外立。次阿闍梨 先把白芥子。以馬頭咒 咒七遍已。
삼회타 어제자두상。차작호신인。인어제자。
三迴打 於弟子頭上。次作護身印。印於弟子。
그런 다음에 낱낱이 따로 새로운 제자를 불러들여
단의 서북 모서리 밖에 서게 합니다.
그리고 아사리가 먼저 흰 겨자를 쥐어 마두주로 일곱 번 진언을 송한 다음에
제자의 머리 위를 세 번 때리고 다음에 호신인을 결하여 제자에게 인합니다.
차취향수。여기세수。위제자 작관세음삼마야인。인중착화。물령방기。
次取香水。與其洗手。爲弟子 作觀世音三摩夜印。印中著花。勿令放棄。棄(내 버릴 기)
다음에 향수를 취하여 손을 씻고 제자를 위하여 관세음삼마야인을 결하고
인 가운데 꽃을 놓되, 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차이백과 기제자안。아사리 심구발원。이평등보대자비심。실개회향일체중생。
次以帛裹 其弟子眼。阿闍梨 心口發願。以平等普大慈悲心。悉皆迴向一切衆生。
그리고 비단으로 제자의 눈을 가리고 아사리가 마음과 입으로 발원합니다.
‘평등하고 두루한 대자비심으로써 모든 중생에게 회향하여지이다.’
차아사리 인장제자。입단서문。아사리 재남변립。제자 재북변립。
次阿闍梨 引將弟子。入壇西門。阿闍梨 在南邊立。弟子 在北邊立。
그런 다음에 아사리가 제자를 이끌고 단의 서쪽 문으로 들어가
아사리는 남쪽 변에 서고 제자는 북쪽 변에 섭니다.
아사리 송관세음삼마야주。
阿闍梨 誦觀世音三摩耶咒。
주왈
咒曰
옴 바모 바바 야 사바하
唵(一) 般母 婆皤(去音)夜(二) 莎 訶(三)
그리고 아사리가 관세음삼마야주를 송합니다.
그 진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옴 바모 바바야 사바하(oṃ padma utpavaye svāhā)
송칠편이。교제자운。향전산화。
誦七遍已。敎弟子云。向前散華。
산경호간。화타하좌。지이어운。여소산화。착어모불모보살등。호념불망。
散竟好看。花墮何坐。知已語云。汝所散花。著於某佛某菩薩等。好念不忘。
기여제자 여상법용。야삼회산시。총불착자。경막해백 수변빈출。
其餘弟子 如上法用。若三迴散時。總不著者。更莫解帛 隨便擯出。
진언을 일곱 번 송한 다음에 제자에게 가르쳐 말합니다.
‘앞을 향하여 꽃을 던져라.’
던지고 나면 꽃이 어떤 자리에 떨어졌나 잘 살펴 그 자리를 알고 난 다음에
제자에게 말합니다.
‘네가 던진 꽃이 어느 부처님과 어느 보살 등에게 떨어졌으니,
잘 염하여 잊지 말라.’
그 나머지 제자들에게도 위와 같은 법용으로 하고
만일 세 번 던져서도 모두 부처님의 그림에 놓이지 않았으면
다시 비단을 풀지 말고 임의대로 쫓아냅니다.
시대죄인 불합입단。교령지심 참회중죄。제인경후。경계청불。방시인입。준전산화。
是大罪人 不合入壇。敎令至心 懺悔衆罪。諸人竟後。更啓請佛。方始引入。准前散華。
착자방백。약불착자 지경빈출。경물령입。
著者放帛。若不著者 至竟擯出。更勿令入。
이는 크게 죄를 지은 사람이어서 단에 들어가기에 적합하지 않으니
지심으로 온갖 죄를 참회하도록 시킵니다.
모든 사람이 참회하기를 다 끝내면,
다시 부처님께 계청하고 비로소 이끌고 들어가 앞에 준해서 꽃을 던지게 하여
그 앞에 떨어지면 비단을 벗기고 떨어지지 않으면 끝내 쫓아내고
다시 들어오지 못하게 합니다.
기여제자 법용여전 일일작경。차제제자 재서문외。정면향동。작행렬좌。
其餘弟子 法用如前 一一作竟。次諸弟子 在西門外。正面向東。作行列坐。
기화로중 착호탄화。어서문외 관정단상。착일장상。류일반식。착사잔등 공양。
其火鑪中 著好炭火。於西門外 灌頂壇上。著一張床。留一盤食。著四盞燈 供養。
그 밖의 나머지 제자들에게도 낱낱이 이전의 법용과 같이 행하게 하여 마친 다음에
모든 제자들을 서쪽 문 밖에서 동쪽을 바라보고 줄지어 앉게 합니다.
그리고 그 화로 안에 좋은 탄불[炭火]을 놓고 서쪽 문 밖에 있는 관정단 위에
상 하나를 펴고 한 쟁반의 음식을 놓고 네 잔을 등을 놓아 공양합니다.
차견이제자 각경일개。일자이비。비개 개제제자。자개 개아사리。
次遣二弟子 各擎一蓋。一紫二緋。緋蓋 蓋諸弟子。紫蓋 蓋阿闍梨。
다음에 두 제자를 보내어 각각 일산[蓋] 하나씩을 받들게 합니다.
첫째는 자색이고, 둘째는 비색입니다.
비색 일산은 모든 제자가 쓰고, 자색 일산은 아사리가 씁니다.
일일차제 인제제자。아사리 경수관。출도관정단。우요삼잡。
一一次第 引諸弟子。阿闍梨 擎水罐。出到灌頂壇。右繞三匝。
령기상상。아사리 역자상상。제자변립。
令其上床。阿闍梨 亦自上床。弟子邊立。
문운。여전산화。착하등 불보살지좌。
問云。汝前散花。著何等 佛菩薩之坐。
제자답운。착모불등。
弟子答云。著某佛等。
시 아사리 수기소답。교작기인。인기정상。인중착화。령지심념。
時 阿闍梨 隨其所答。敎作其印。印其頂上。印中著華。令至心念。
그리고 낱낱이 차례대로 모든 제자를 이끌고 아사리가 수관을 들고 나아가
관정단에 이르러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돕니다.
그리고 나서 그들로 하여금 상 위로 올라가게 한 다음
아사리 역시 상 위에 올라가 제자들 옆에 서서 묻습니다.
‘너희들이 전에 던진 꽃이 어느 부처님과 보살의 자리에 놓였느냐?’
제자들이 어느 부처님 등이라고 답하면,
아사리가 그 대답하는 데 따라 그 인을 결하도록 하여 그 정수리 위에 인하게 하고,
인 가운데 꽃을 놓도록 하여 지심으로 염하도록 합니다.
수기본주불보살등。아사리 즉송피불보살등주。여관정이。교령산화해인。
隨其本主佛菩薩等。阿闍梨 卽誦彼佛菩薩等咒。與灌頂已。敎令散華解印。
착의입단사불。의본위좌。기여제자 법용여전。총관정이。차아사리 좌어서문
著衣入壇謝佛。依本位坐。其餘弟子 法用如前。總灌頂已。次阿闍梨 坐於西門
근화로변。정면향동。단신정념。선환화천 좌화로중。차여소밀 급호마등。각칠편주
近火鑪邊。正面向東。端身正念。先喚火天 坐火鑪中。次與酥蜜 及胡麻等。各七遍咒
어화중소。차아사리 심리기운。화신차출 어화로외。근로변좌。
於火中燒。次阿闍梨 心裏記云。火神且出 於火鑪外。近鑪邊坐。
그 본주불과 보살 등에 따라 아사리가 곧 그 부처님과 보살 등의 진언을 송하고
관정을 해준 다음 꽃을 던지고 인을 풀고 옷을 입고 단에 들어가
본위의 자리에 의거하여 부처님께 인사하게 합니다.
그 나머지 제자들도 이와 같은 법용으로 모두 관정하고 난 다음에
아사리가 서쪽 문의 화로와 가까운 곳에 동쪽을 향하여 앉아
몸을 단정히 하고 정념하여 먼저 화천을 부릅니다.
화천이 화로 가운데 앉으면 소와 꿀과 깨 등에 각각 일곱 번씩 진언을 송하여
화로 속에서 태웁니다.
그리고 아사리가 마음속으로 생각합니다.
‘화신이 화로 밖으로 나와 화로 옆에 앉아 있다.’
차환마두관세음。좌화로중 연화좌상。차아사리 파바저라。일일차제 환제제자。
次喚馬頭觀世音。坐火鑪中 蓮花座上。次阿闍梨 把跋折羅。一一次第 喚諸弟子。
근아사리。교령정념 호궤합장 이바저라인 기장중。차여호마 급소밀등。주삼칠편
近阿闍梨。敎令正念 胡跪合掌 以跋折羅印 其掌中。次與胡麻 及酥蜜等。咒三七遍
령투화중경。어귀본좌。기여제자 법용여전。차방화중 마두관음。귀본위경。
令投火中竟。語歸本坐。其餘弟子 法用如前。次放火中 馬頭觀音。歸本位竟。
다음에 마두관세음을 불러 화로 가운데 있는 연화좌에 앉으면
아사리가 바저라를 잡고 일일이 차례대로 모든 제자를 불러
아사리 옆으로 오게 해서 정념하고 무릎 꿇고 합장하여
바저라인으로써 그 손바닥 안에 인하게 합니다.
다음에 깨와 소와 꿀 등에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고 불 속에 던지게 하여 마치면,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라고 말합니다.
그 밖의 나머지 제자들에게도 이와 같은 법용으로 한 다음에
불 속의 마두관음을 보내어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게 합니다.
차청단중심 십일면관세음。좌화로중 연화좌상。소호마등 송주일백팔편。이경。
次請壇中心 十一面觀世音。坐火鑪中 蓮花座上。燒胡麻等 誦咒一百八遍。已竟。
견귀본위。
遣歸本位。
다음에 단의 중심의 십일면관세음을 불러 화로 가운데의 연화좌 위에 앉으면
깨 등에 진언을 백여덟 번 송하여 태우고 나서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도록 보냅니다.
차청일일불。차청일일보살 차청일일금강 급제천등。법용여전。각소호마 소밀등물。
次請一一佛。次請一一菩薩 次請一一金剛 及諸天等。法用如前。各燒胡麻 酥蜜等物。
주삼칠편。차제각령 귀본좌경。
咒三七遍。次第各令 歸本坐竟。
다음에 낱낱의 부처님과 낱낱의 보살을 청합니다.
다음에 낱낱의 금강과 모든 천 등을 청하되 법용은 앞과 같이 하여
각각 깨와 소와 꿀 등의 물건에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여 태운 다음에
차례로 각각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게 합니다.
차위당국천자。소호마등。주만일백팔편 이경。차위력겁 일체사승 부모 급선지식。
次爲當國天子。燒胡麻等。咒滿一百八遍 已竟。次爲歷劫 一切師僧 父母 及善知識。
각소송주。개동전법。차위육도 일체중생。소동전법。주삼칠편。차위택주。
各燒誦咒。皆同前法。次爲六道 一切衆生。燒同前法。咒三七遍。次爲宅主。
역동전소 주삼칠편。차아사리 위자신소 주삼칠편。상종천자 지아사리。
亦同前燒 咒三七遍。次阿闍梨 爲自身燒 咒三七遍。上從天子 至阿闍梨。
총용십일면관세음주。
總用十一面觀世音咒。
다음에 나라의 천자를 위하여 깨 등에 진언을 백여덟 번 송하여 태우고,
다음에 역겁 동안의 모든 스승과 부모와 선지식을 위해서 각각 진언을 송하여
태우기를 모두 이전의 법과 같이 합니다.
그리고 6도의 모든 중생들을 위하여 이전의 법과 같이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여
태우고, 집주인을 위해서 역시 앞과 같이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여 태운 다음에
아사리가 자신을 위해서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여 태웁니다.
위로 천자로부터 아래로 아사리에 이르기까지 모두 십일면관세음주를 사용합니다.
차아사리 파향로소향。우요단외일잡。내도서문전이。예배사운。
次阿闍梨 把香鑪燒香。右繞壇外一匝。來到西門前已。禮拜謝云。
종종향화 음식공양 개불여법。
種種香花 飮食供養 皆不如法。
대대참괴。연후 종단중심。일일발견。일일각작 본인발견。발견인주 환시무별。
大大慚愧。然後 從壇中心。一一發遣。一一各作 本印發遣。發遣印咒 喚時無別。
다음에 아사리가 향로를 잡고 향을 태우며 단 밖의 오른쪽으로 한 바퀴 돌고
서쪽 문 앞에 도달하여 예배하고 사죄하며 말합니다.
‘온갖 향과 꽃과 음식 공양이 모두 여법하게 하지 못하였습니다.’
이렇게 크게 크게 참괴한 다음에 단의 중심으로부터 낱낱이 보내드리되,
일일이 각각 본래의 인을 결하여 보냅니다.
보낼 때의 인과 진언은 부를 때와 다름이 없습니다.
차수보시 불보살등 전재보물。약기제불보살물자。응용작불보살형상。반야물자。
次收布施 佛菩薩等 錢財寶物。若其諸佛菩薩物者。應用作佛菩薩形像。般若物者。
용사제경。약아사리 욕자작불보살경자。자수조상 사경처용。약불작자。부촉삼강。
用寫諸經。若阿闍梨 欲自作佛菩薩經者。自收造像 寫經處用。若不作者。付囑三綱。
보시금강천등물자。아사리신 자용역득 불용제일
布施金剛天等物者。阿闍梨身 自用亦得(不用第一)
다음에 부처님과 보살들에게 베풀었던 돈과 재물과 보물을 거둡니다.
그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의 물건은 마땅히 부처님과 보살의 형상을 만드는 데
써야 하고, 반야의 물건은 모든 경을 베껴 쓰는 데 써야 합니다.
만일 아사리가 스스로 부처님이나 보살이나 경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스스로 거두어 상을 조성하고 경을 베껴 쓰는 데 사용하고,
만일 할 수 없을 때에는 삼강에게 부촉하여야 합니다.
금강과 천 등에게 보시한 물건은 아사리 자신이 사용해도 됩니다.
(그러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단중음식。기아사리 급제자등 개부득식。약끽용자 부득신험。여노비食。급여인등
壇中飮食。其阿闍梨 及弟子等 皆不得食。若喫用者 不得神驗。與奴婢食。及餘人等
내지축생。불입단승 끽용역득。
乃至畜生。不入壇僧 喫用亦得。
단 안에 있는 음식은 아사리와 제자들이 모두 먹으면 안됩니다.
만일 먹으면 신통한 효험을 얻을 수 없으니 노비에게 주어 먹게 하거나
그 밖의 사람이나 축생에게 주어야 합니다.
단에 들어가지 않은 스님들은 먹어도 됩니다.
차아사리 수집거화。시제제자。차시 모불 모보살위 금강천등。일일차제 지시위경。
次阿闍梨 手執炬火。示諸弟子。此是 某佛 某菩薩位 金剛天等。一一次第 指示位竟。
연후 이니니각단상。막견일출。이상 약설단법식경。차설 인급다라니법。
然後 以泥泥卻壇上。莫見日出。以上 略說壇法式竟。次說 印及陀羅尼法。
다음에 아사리가 손에 횃불을 들고 모든 제자에게 이는 바로 어느 부처님이며
어느 보살의 자리라는 것을 가르쳐 보여주고, 금강과 천 등도 일일이 차례대로
그 자리를 지적하여 보여주기를 마친 다음에 진흙으로 단 위를 거슬러 칠합니다.
그리고 해가 뜨는 것을 보면 안 됩니다.
이상으로 간략히 단을 건립하는 법식을 말씀드렸습니다.
다음은 인과 다라니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