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С привычным тактом светского человека, по одному взгляду на внешность этой дамы, Вронский определил ее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к высшему свету.
14. вне́шность noun, feminine, inanimate
Somewhat often used word (top 5,000)
appearance, The outer visible part of something
15. суди́ть verb, imperfective
суди́ть / посуди́ть
Often used word (top 1,000)
to judge, to try, to adjudicate. to judge (opine)
16. посуди́ть verb, perfective
суди́ть / посуди́ть
Very rarely used word (top 20,000)
to judge, to try, adjudicate, to form an opinion, to determine
Посудите са́ми.
Judge for yourself.
Сам посуди́.
Judge for yourself.
Не суди́ по вне́шности.
Don't judge by appearances.
12. взгляд noun, masculine, inanimate
Daily used word (top 300)
look, gaze, stare, glance, glare
на первый взгляд - at first glance
13. пе́рвый adjective
Daily used word (top 100)
first, front, former, earliest
пе́рвая по́мощь first aid
Example: На мой взгляд - In my opinion
9. привы́чный adjective
adverb привы́чно
Somewhat often used word (top 2,000)
habitual, Accustomed
привы́чно Adverb of привы́чный
form of привы́чный
Rarely used word (top 6,000)
Familiar, usual
Это привычно и интересно
It is familiar and interesting
Опа́здывать для него привычно.
It's characteristic of him to be late.
для Daily used word (top 100)
for (the benefit of)
Пода́рок для ма́мы. - A present for mom.
11. пода́рок noun, masculine, inanimate
Somewhat often used word (top 2,000)
present, gift
10. опа́здывать verb, imperfective
опа́здывать / опозда́ть
Rarely used word (top 8,000)
be late, be overdue
Их разгово́ры враща́лись вокруг пое́здки.
Their talks centered on their trip.
1. враща́ться verb, imperfective
Rarely used word (top 7,000)
revolve, rotate, turn
5. уве́ренный participle passive past of уве́рить
Often used word (top 800)
assured, sure, confident, positive, certain
6. уверя́ть verb, imperfective
уверя́ть / уве́рить
Somewhat often used word (top 4,000)
to assure
7. уве́рить verb, perfective
уверя́ть/уве́рить
Very rarely used word (top 20,000)
assure
Also: reassure, convince, persuade
8. земля́ noun, feminine, inanimate
Daily used word (top 200)
earth, ground, the Earth, land, soil
Expressions
че́рпать зе́млю excavate
Мы бы́ли уве́рены, что Земля́ враща́ется вокруг Со́лнца.
We were sure the Earth went around the Sun.
2. вокру́г Often used word (top 400)
around, round, about
3. со́лнце noun, neuter, inanimate
Often used word (top 400)
sun
восхо́д со́лнца - sunrise
4. восхо́д noun, masculine, inanimate
Rarely used word (top 10,000)
rising, sunrise, dawn
Chapter 27
‘If I’d only the heart to throw up what’s been set going. . . such a lot of trouble wasted. . . I’d turn my back on the whole business, sell up, go off like Nikolay Ivanovitch. . . to hear La Belle Helene,’ said the landowner, a pleasant smile lighting up his shrewd old face. ‘But you see you don’t throw it up,’ said Nikolay Ivanovitch Sviazhsky; ‘so there must be something gained.’ ‘The only gain is that I live in my own house, neither bought nor hired. Besides, one keeps hoping the people will learn sense. Though, instead of that, you’d never believe it-the drunkenness, the immorality! They keep chopping and changing their bits of land. Not a sight of a horse or a cow. The peasant’s dying of hunger, but just go and take him on as a laborer, he’ll do his best to do you a mischief, and then bring you up before the justice of the peace.’ ‘But then you make complaints to the justice too,’ said Sviazhsky. “지금까지 해 온 일을. . . 그토록 많은 수고를 들인 일을. . . 버리는 것이 아쉽지만 않아도 이 모든 것에 작별을 고하고 그것들을 팔아 치워 니콜라이 이바니치처럼 훌쩍 떠나버릴 텐데요. . . 헬레네를 보러 말입니다.” 지주는 그의 총명하고 늙수그레한 얼굴을 유쾌한 미소로 빛내며 말했다. “그래요, 하지만 당신은 그것을 버리지 않았잖습니까.”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스비야슈스키가 말했다. “그것은 곧 뭔가 이득이 있다는 뜻 아닙니까?” “한 가지 이득이 있다면 집에서 산다는 점이죠. 난 아무 것도 사지 않고 아무 것도 빌리지 않습니다. 그건 그렇고, 다들 민중들이 이성적으로 살기를 바랄 겁니다. 안 믿을지 모르지만, 민중들은 술에 절어 살고 타락에 푹 빠져 있어요! 다들 말 한 마리 암소 한 마리도 나눠 받지 못했어요. 굶어 죽을지도 모를 인간을 데려다 일꾼으로 써 보십시오. 그 인간은 당신에게 해를 입히려고 기회를 노릴 겁니다. 그러고는 치안판사에게 당신을 고발하겠죠.” “그럼 당신도 치안판사에게 고발하십시오.” 스비야슈스키가 말했다.
‘I lodge complaints?’ Not for anything in the world! Such a talking, and such a to-do, that one would have cause to regret it. At the works, for instance, they pocketed the advance-money and made off. What did the justice do? Why, acquitted them. Nothing keeps them in order but their own communal court and their village elder. He’ll flog them in the good old style! But for that there’d be nothing for it but to give it all up and run away.’ “고발을 한다고요? 세상에 아무 쓸모도 없는 짓입니다! 너무나 많은 말이 나돌아서 고발한 것을 후회하고 말 겁니다. 공장에서 일어난 일을 보세요. 그 인간들이 선금만 챙기고 고발갔잖아요. 그런데도 치안판사가 어떻게 했는지 아십니까? 그들에게 무죄를 선언했답니다. 그나마 모든 게 이렇게 유지되고 있는 것은 직공장이 관여하는 읍내 재판소 덕분입니다. 그곳에서는 옛날식으로 매질을 하거든요. 그런 것마저 없다면, 우리는 죄다 버리고 세상 끝으로 피해야 할 겁니다.”
Obviously the landowner was chaffing Sviazhsky, who, far from resenting it, was apparently amused by it. ‘But you see we manage our land without such extreme measures,’ said he, smiling: ‘Levin and I and this gentleman.’ He indicated the other landowner. ‘Yes, the thing’s done at Mihail Petrovitch’s, but ask him how it’s done. Do you call that a rational system?’ said the landowner, obviously rather proud of the word ‘rational.’ 지주는 스비야슈스키를 조롱하고 있는 게 분명했다. 하지만 스비야슈스키는 화를 내기는커녕 그의 말을 재미있어 하는 거 같았다. “그렇긴 하지만, 우리는 그런 수단에 의지하지 않고도 농사를 잘 꾸러 가고 있습니다.” 그는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나뿐만 아니라 레빈도, 이분도 그렇게 하고 있어요.” 그는 다른 지주를 가리켰다. “그래도 미하일 페트로비치의 집도 그럭저럭 좋은 편이죠. 하지만 그에게 한 번 물어봅시다. 그것이 과연 합리적인 농업인지 말입니다.” 지주는 ‘합리적’이란 말을 과시하며 말했다.
‘My system’s very simple,’ said Mihail Petrovitch, ‘thank God. All my management rests on getting the money ready for the autumn taxes, and the peasants come to me, ‘Father, master, help us!’ Well, the peasants are all one’s neighbors; one feels for them. So one advances them a third, but one says: ‘Remember, lads, I have helped you, and you must help me when I need it-whether it’s the sowing of the oats, or the hay cutting, or the harvest’; and well, one agrees, so much for each taxpayer-though there are dishonest ones among them too, it’s true.’ : “우리 집의 농사는 단순합니다.” 미하일 페트로비치가 말했다 “하느님께 감사할 뿐이죠. 나의 경영 방법이라 가을의 세금으로 낼 돈을 준비해 두는 것이 전부입니다. 농부들이 찾아와 이렇게 말합니다. 아버지, 우리를 구해 주세요! 이 농부들은 모두 나의 이웃이 아닙니까! 참 가여운 사람들이지요. 그럼 난 처음 3분의 1을 지불할 만큼의 돈을 주고 이렇게 말합니다. 여보게, 기억하게나. 내가 자녀들을 도왔으니 자네들도 필요한 경우 날 도와야 해. 귀를 심을 때나 건초를 거두어들일 때나 곡물을 수확할 때 말일세. 그리고 나서 각각의 돈에 해당하는 부역의 양을 말해 줍니다. 그들 가운데도 역시 몰염치한 놈들이 있지요. 정말입니다.”
Levin, who had long been familiar with these patriarchal methods, exchanged glances with Sviazhsky and interrupted Mihail Petrovitch, turning again to the gentleman with the gray whiskers. ‘Then what do you think?’ he asked; ‘what system is one to adopt nowadays?’ ‘Why, manage like Mihail Petrovitch, or let the land for half the crop or for rent to the peasants; that one can do-only that’s just how the general prosperity of the country is being ruined. Where the land with serf-labor and good management gave a yield of nine to one, on the half-crop system it yields three to one. Russia has been ruined by the emancipation!’ 레빈은 오래전부터 이런 가부장적 수법을 알고 있었으므로 스비야슈스키와 눈짓을 하여 미하밀 페트로비치의 말을 가로막고는 수염이 희끗희끗한 지주에게 다시 말을 걸었다. “그럼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제 어떻게 농사를 지어야 할까요?” 그가 물었다. 글쎄요. 미하일 페트로비치와 똑같이 할 수도 있겠죠. 아니면 땅을 빌려 주고 농작물의 반을 받는다든지 농부들에게 세를 받고 임대해 준다든지 할 수 있고요. 하지만 그런 방법은 단지 국가의 전반적인 부에 해악을 가져올 뿐입니다. 농노들과 훌륭한 경영 방법을 이용할 때는 아홉 배의 수확을 내던 내 땅에서, 수확을 반씩 나누기로 했더니 세 배의 수확만 나오더라는 거죠. 농노해방이 러시아를 파멸시킨 겁니다.
Sviazhsky looked with smiling eyes at Levin, and even made a faint gesture of irony to him; but Levin did not think the landowner’s words absurd, he understood them better than he did Sviazhsky. A great deal more of what the gentleman with the gray whiskers said to show in what way Russia was ruined by the emancipation struck him indeed as very true, new to him, and quite incontestable. 스비야슈스키는 미소를 띤 눈으로 레빈을 바라보았고 심지어 희미한 조소의 신호를 보내기까지 했다. 하지만 레빈은 지주의 말이 우습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지주가 농노해방이 어째서 러시아를 파멸시켰는지 입증하며 던진 말들은 대부분 레빈에게 매우 신뢰할 만한 내용으로 들렸고, 그의 입장에서는 새롭고 반박할 여지가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The landowner unmistakably spoke his own individual thought-a thing that very rarely happens-and a thought to which he had been brought not by a desire of finding some exercise for an idle brain, but a thought which had grown up out of the conditions of his life, which he had brooded over in the solitude of his village, and had considered in every aspect. ‘The point is, don’t you see, that progress of every sort is only made by the use of authority,’ he said, evidently wishing to show he was not without culture. ‘Take the reforms of Peter, of Catherine, of Alexander. Take European history. And progress in agriculture more than anything else—the potato, for instance, that was introduced among us by force. 그는 분명 자기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있었다. 그런 일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게다가 그 생각은 그가 나른한 지성을 무언가로 채우고자 하는 열망에서 이르게 된 생각이 아니라, 그의 삶의 조건에서 나온 생각이며 그가 시골의 고독 속에 칩거하며 모든 측면을 곰곰이 숙고하여 얻은 생각이었다. “보세요. 문제는 바로 진보가 권력에 의해서만 일어난다는 점입니다.” 그는 자신도 교약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려는 생각에 이렇게 말헸다. “표트르 대제, 예카체리나 여제,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을 보십시오. 또 유럽의 개혁을 보십시오. 무엇보다 농업의 진보를 보세요. 가령 감자만 해도 우리나라에 강제로 도입되었잖습니까.
The wooden plough too wasn’t always used. It was introduced maybe in the days before the Empire, but it was probably brought in by force. Now, in our own day, we landowners in the serf times used various improvements in our husbandry: drying machines and thrashing machines, and carting manure and all the modern implements-all that we brought into use by our authority, and the peasants opposed it at first, and ended by imitating us. Now by the abolition of serfdom we have been deprived of our authority; and so our husbandry, where it had been raised to a high level, is bound to sink to the most savage primitive condition. That’s how I see it.’ ‘But why so? If it’s rational, you’ll be able to keep up the same system with hired labor,’ said Sviazhsky. ‘We’ve no power over them. With whom am I going to work the system, allow me to ask?’ ‘There it is-the labor force-the chief element in agriculture,’ thought Levin. ‘With laborers.’ ‘The laborers won’t work well, and won’t work with good implements. Our laborer can do nothing but get drunk like a pig, and when he’s drunk he ruins everything you give him. 우리 시대만 해도 우리 지주들은 농노제 아래서 개량 농기구로 농사를 지었습니다. 건조기, 키, 거름 운반기 등 모든 농기구로 말입니다. 우리는 그 모든 것을 자신의 권력으로 도입했지요. 농부들은 처음에 저항을 하다가 나중에는 우리를 따라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농노제가 폐지된 지금, 우리를 권력을 잃었고 최고의 수준으로 향상되었던 우리의 농업은 가장 야만스럽고 원시적인 상태로 추락하려 합니다. 난 그렇게 생각합니다. “도대체 이유가 뭘까요? 그것이 합리적이라면, 당신도 일꾼을 고용하여 그렇게 해 나가면 될 텐데요.” 스비야슈스키가 말했다. “권력이 없으니까요. 이렇게 물어봐도 되겠습니까? 도대체 내가 누구와 농사를 짓습니까?” ‘바로 그거야. 노동력이야말로 농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 레빈은 생각했다. “노동자들이죠.” “노동자들은 일을 잘하고 싶어하지 않아요. 좋은 농기구로 일하려는 생각도 없죠. 우리의 노동자들이 아는 것이라고는 돼지처럼 진탕 마시로 취해 우리들이 준 것을 망가뜨리는 것뿐입니다.
He makes the horses ill with too much water, cuts good harness, barters the tires of the wheels for drink, drops bits of iron into the thrashing machine, so as to break it. He loathes the sight of anything that’s not after his fashion. And that’s how it is the whole level of husbandry has fallen. Lands gone out of cultivation, overgrown with weeds, or divided among the peasants, and where millions of bushels were raised you get a hundred thousand; the wealth of the country has decreased. If the same thing had been done, but with care that. . .’ And he proceeded to unfold his own scheme of emancipation by means of which these drawbacks might have been avoided. This did not interest Levin, but when he had finished, Levin went back to his first position, and, addressing Sviazhsky, and trying to draw him into expressing his serious opinion:-‘That the standard of culture is falling, and that with our present relations to the peasants there is no possibility of famling on a rational system to yield a profit-that’s perfectly true,’ said he. 말에게 물을 잔뜩 먹이고, 좋은 마구를 망가뜨리고, 바퀴에서 쇠테를 뜯어 그것을 팔아 술을 마시고, 탈곡기를 망가뜨리기 위해 그 안에 이음 볼트를 쑤셔 넣는단 말입니다. 그들은 자기 방식에 맞지 않는 것은 뭐든지 싫어해요. 그 때문에 농업은 전체 수준은 낮아졌지요. 토지는 내팽개쳐지고 쑥 더미로 뒤덮였어요. 또, 백만 석을 내던 토지를 농부들에게 분배한 다음에 이제 겨우 이삼십만 석 정도 생산합니다. 그러니 전체적인 부는 줄어든 셈이에요. 똑같은 결과를 이루었다 해도 계산으로는. . . 그는 해방에 대한 자신의 입장과 계획을 늘어놓기 시작했다. 그의 계획대로 이뤄진다면 이런 불편이 없어질지도 모른다. 그 애기는 레빈에게 흥미롭지 않아싿. 하지만 지주가 이야기를 마치자, 레빈은 그의 처음 화제로 돌아가서 스비야슈스 키에게 말을 걸어 그가 자신의 진지한 의견을 말하도록 애썼다. “농업 수준이 낮아지고 있고, 우리와 노동자의 관계에서 이익을 남기는 합리적인 농업을 할 수 없다는 말씀은 전적으로 옳습니다.” 그가 말했다.
‘I don’t believe it,’ Sviazhsky replied quite seriously; ‘all I see is that we don’t know how to cultivate the land, and that our system of agriculture in the serf days was by no means too high, but too low. We have no machines, no good stock, no efficient supervision; we don’t even know how to keep accounts. Ask any landowner; he won’t be able to tell you what crop’s profitable, and what’s not.’ ‘Italian bookkeeping,’ said the gentleman of the gray whiskers ironically. ‘You may keep your books as you like, but if they spoil everything for you, there won’t be any profit.’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스비야슈스키는 진지한 얼굴로 반박했다. “내 눈에는 우리가 농업을 꾸려 나가는 방법을 모른다는 사실, 우리가 농노제 시절에 해 온 농사는 지나치게 수준이 높기는커녕 오히려 지나치게 수준이 낮았다는 사실만 보입니다. 우리에게 기계도, 좋은 가축도, 실질적인 관리도 없어요. 우리는 계산을 할 줄도 모르죠. 아무 농산 주인에게나 물어 보십시오. 무엇이 이익이 되고 무엇이 이익이 되지 않는지도 모를걸요.” “이탈리아 부기법 말입니까? 그런 걸로는 아무리 계산을 해 봐야 모든 게 엉망이 될 뿐이에요. 이익 따위는 없을 겁니다.” 지주가 비꼬듯이 말했다.
‘Why do they spoil things? A poor thrashing machine, or your Russian presser, they will break, but my steam press they don’t break. A wretched Russian nag they’ll ruin, but keep good dray-horses—they won’t ruin them. And so it is all round. We must raise our farming to a higher level.’ ‘Oh, if one only had the means to do it, Nikolay Ivanovitch! It’s all very well for you; but for me, with a son to keep at the university, lads to be educated at the high school—how am I going to buy these dray-horses?’ “어째서 엉망이 된다는 겁니까? 쓸모없는 탈곡기나 당신네들의 러시아식 디딤판이나 망가지지, 내 증기식 기계는 멀쩡합니다. 러시아의 말은 또 어떻고요? 꼬리를 질질 끄는 게 전부인 게으른 말이 당신네 일을 망치는 겁니다. 페르슈롱이나 하다못해 러시아의 xhwd 짐말이라도 부려보세요. 그 녀석들은 일을 망치는 법이 없죠. 모든 게 그런 식이에요. 우리는 농업의 수준을 한 층 높여야만 합니다.” “그 돈이 어디서 나오는데요,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당신이라면 그게 가능하겠죠. 하지만 우리 집에는 아들이 한 명, 김나지움에 다니는 아들도 여럿 있어요. 그런데 어떻게 페르슈롱을 살 수 있겠습니까?”
‘Well, that’s what the land banks are for.’ ‘To get what’s left me sold by auction? No, thank you.’ ‘I don’t agree that it’s necessary or possible to raise the level of agriculture still higher,’ said Levin. ‘I devote myself to it, and I have means, but I can do nothing. “그래서 은행이라는 게 있잖아요?” “내 마지막 재산마저 경매에 붙이라는 얘깁니까? 아니요. 사양합니다.” “난 농업의 수준을 한층 높여야 하고 또 그렇게 할 수 있다는 말에 동의할 수 없군요.” 레빈이 말했다. “난 이 일에 관심을 기울여 왔고 또 내겐 그렇게 할 만한 수단도 있어요. 하지만 난 아무것도 해낼 수 없었습니다.
As to the banks, I don’t know to whom they’re any good. For my part, anyway, whatever I’ve spent money on in the way of husbandry, it has been a loss: stock-a loss, machinery-a loss.’ ‘That’s true enough,’ the gentleman with the gray whiskers chimed in, positively laughing with satisfaction. ‘And I’m not the only one,’ pursued Levin. ‘I mix with all the neighboring landowners, who are cultivating their land on a rational system; they all, with rare exceptions, are doing so at a loss. Come, tell us how does your land do-does it pay?’ said Levin, and at once in Sviazhsky’s eyes he detected that fleeting expression of alarm which he had noticed whenever he had tried to penetrate beyond the outer chambers of Sviazhsky’s mind. 난 은행이 누구에게 유익을 주는지 모르겠습니다. 적어도 난 농업에 들인 돈을 모두 날렸거든요. 가축돼 손해, 기계도 손해.” “그 말이 맞습니다.” 수염이 희끗희끗한 지주는 흡족한 듯 웃음가지 지으며 그의 말을 긍정했다. “게다가 나만 그런 게 아닙니다.” 레빈이 계속 말을 이었다. “난 합리적으로 농사를 꾸려 가고 있는 모든 지주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겁니다. 가끔 예외가 있긴 하지만, 다들 손해를 보며 농사를 짓고 있어요. 자 대답해 보세요. 당신의 영지는 이익을 내고 있습니까?” 레빈이 말했다. 그 순간 레빈은 스비야슈스키의 지성의 응접실 안으로 다 파고들려 할 때마다 보았던 그 두려움의 표정이 순간적으로 스비야슈스키의 시선에 떠오른 것을 알아차렸다.
Moreover, this question on Levin’s part was not quite in good faith. Madame Sviazhskaya had just told him at tea that they had that summer invited a Gemman expert in bookkeeping from Moscow, who for a consideration of five hundred roubles had investigated the management of their property, and found that it was costing them a loss of three thousand odd roubles. She did not remember the precise sum, but it appeared that the Gemman had worked it out to the fraction of a farthing. 게다가 레빈의 입장에서 볼 때 이 질문은 결코 양심적인 것이 아니었다. 방금 전 안주인은 차를 마시면서 그들이 올여름에 모스크바에서 부기에 정통한 독일인을 초빙하여 500루블의 사례를 주고 영지의 손익을 계산해 보았더니 손해액이 무려 3000루블 남짓에 달하더라고 그에게 말헸던 것이다. 그녀는 정확한 액수를 기억하지 못했지만, 독일인은 4분의 1 코페이카까지 다 정산한 것 같았다.
The gray-whiskered landowner smiled at the mention of the profits of Sviazhsky’s famling, obviously aware how much gain his neighbor and marshal was likely to be making. ‘Possibly it does not pay,’ answered Sviazhsky. ‘That merely proves either that I’m a bad manager, or that I’ve sunk my capital for the increase of my rents.’ 지주는 스비야슈스티의 영지의 이익을 언급하는 말에 웃음을 지었다. 이웃인 귀족 회장이 얼마의 이익을 얻었는지 분명 잘 알고 있는 것 같았다. <어쩌면 이익이 없었는지도 모르죠> 스비야슈스키가 말했다. <그것은 다만 내가 무능한 영주이거나 지대를 높이는 데 자금을 들인다거나 하는 것을 입중할 따름입니다>
‘Oh, rent!’ Levin cried with horror. ‘Rent there may be in Europe, where land has been improved by the labor put into it, but with us all the land is deteriorating from the labor put into it-in other words they’re working it out; so there’s no question of rent.’ ‘How no rent? It’s a law.’ 아니 지대라니! 레빈은 경악을 하며 소리쳤다. 유럽에는 지대라는 것이 있는지도 모르지요. 그곳에서는 땅에 투입된 노동으로 인해 토질이 좋아지니까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토지나 할 것 없이 그것에 투입된 노동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즉 비료 부족과 연속 경작으로 토지가 메말라 가고 있단 말입니다. 그러니 지대라는 것은 있을 수 없어요. 어떻게 지대가 없을 수 있습니까? 그것은 법률로 정해진 건데
‘Then we’re outside the law; rent explains nothing for us, but simply muddles us. No, tell me how there can be a theory of rent?. . .’ ‘Will you have some junket? Masha, pass us some junket or raspberries.’ He turned to his wife. ‘Extraordinarily late the raspberries are lasting this year.’ And in the happiest frame of mind Sviazhsky got up and walked off, apparently supposing the conversation to have ended at the very point when to Levin it seemed that it was only just beginning. Having lost his antagonist, Levin continued the conversation with the gray-whiskered landowner, trying to prove to him that all the difficulty arises from the fact that we don’t find out the peculiarities and habits of our laborer. 그렇다면 우리가 법률 밖에 있는 거죠. 지대라는 건 우리에게 아무것도 설명해 주지 못합니다. 오히려 혼란만 줄 뿐이죠. 아니 당신이 말씀해 보세요. 지대 이론이 어떻게. . . <여러분 야구르트 좀 드시겠습니까? 마샤 우리에게 요구르트나 산딸기 좀 가져와요.> 그는 아내쪽을 보며 말했다. <올해는 꽤 늦게까지 산딸기가 열리는군> 스비야슈스키는 무척 유쾌한 기분으로 자리를 떴다. 레빈에게는 겨우 시작인 듯한 그 대화가 그에게는 다 끝난 것처럼 보인 모양이었다. 말상대를 읽은 레빈은 지주와 계속 이야기를 나누며 모든 어려움이 발생하는 원인은 우리가 우리의 노동자들이 특성과 습성을 알고 싶어 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입증하려 애썼다.
But the landowner, like all men who think independently and in isolation, was slow in taking in any other person’s idea, and particularly partial to his own. He stuck to it that the Russian peasant is a swine and likes swinishness, and that to get him out of his swinishness one must have authority, and there is none; one must have the stick, and we have become so liberal that we have all of a sudden replaced the stick that served us for a thousand years by lawyers and model prisons, where the worthless, stinking peasant is fed on good soup and has a fixed allowance of cubic feet of air. 그러나 지주는 독자적으로 고독하게 사고하는 사람들이 다들 그러하듯 남의 생각을 이해하는 데는 둔하고 자신의 생각에만 유달리 집착했다. 그는 이런 주장을 고집스럽게 내세웠다. 러시아 농부는 돼지이고 불결한 생활을 좋아한다. 그들을 돼지 같은 생활에서 끌어내기 위해서는 권력이 필요하며 권력이 없을 때는 몽둥이가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는 천 년이나 내려온 몽둥이를 갑자기 변호사 나부랭이나 투옥 같은 것으로 뒤바꿀 만큼 열렬한 자유주의자가 되어 버렸다. 그리고 감옥에 들어온 쓸모도 없도 악취나 품기는 농부들에게 좋은 수프를 먹이고 그들에게 너무나 많은 제곱피트의 공기를 산정해준다. . .
‘What makes you think,’ said Levin, trying to get back to the question, ‘that it’s impossible to find some relation to the laborer in which the labor would become productive?’ ‘That never could be so with the Russian peasantry; we’ve no power over them,’ answered the landowner. ‘How can new conditions be found?’ said Sviazhsky. Having eaten some junket and lighted a cigarette, he came back to the discussion. ‘All possible relations to the labor force have been defined and studied,’ he said. <어째서 당신은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레빈은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려고 애쓰며 말했다. <노동을 생산적으로 만드는 노동력, 당신은 왜 노동력에 대한 그런 관계를 찾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시죠?> <몽둥이 없이는 러시아 농민에게서 결코 그런 것을 기대할 수 없을 거요. 권력이 없으니 말입니다.> 지주가 대답했다. 도대체 어떤 조건을 찾을 수 있단 말입니까? 스비야슈스키는 요구르트를 먹고 담배에 불을 붙인 후 다시 논쟁하는 이들에게도 다가오며 말했다. <노동력에 대한 모든 가능한 관계가 이미 정의되고 연구되었습니다.> 그는 말했다.
‘‘The relic of barbarism, the primitive commune with each guarantee for all, will disappear of itself; serfdom has been abolished-there remains nothing but free labor, and its forms are fixed and ready made, and must be adopted. Permanent hands, day-laborers, rammers-you can’t get out of those forms.’ ‘But Europe is dissatisfied with these forms.’ ‘Dissatisfied, and seeking new ones. And will find them, in all probability.’ ‘That’s just what I was meaning,’ answered Levin. ‘Why shouldn’t we seek them for ourselves?’ ‘Because it would be just like inventing afresh the means for constructing railways. They are ready, invented.’ 야만의 잔재인 원시공동체는 연대책임과 더불어 저절로 무너지고 있습니다. 농노제는 폐지되고 이제 남은 것은 자유로운 노동이지요. 그 형식은 이미 정해지고 주어졌기 때문에 그것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날품팔이 농부, 일용 노동자, 소작동, 당신네들은 이런 것에서 벗어나지 못할 겁니다. <하지만 유럽은 그 형식들에 불만을 품고 있어요.> <불만을 느끼며 새로운 것을 찾고 있죠. 그리고 아마 찾아낼 겁니다.> <그건 바로 내가 한 말이 아닙니까?> 레빈이 말했다. <어째서 우리 입장에서 찾으려 하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그건 철도를 놓기 위해 새로 방법을 고안하는 것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죠. 그런 것들은 이미 고안되어 나와 있으니까요.>
‘But if they don’t do for us, if they’re stupid?’ said Levin. And again he detected the expression of alarm in the eyes of Sviazhsky. ‘Oh, yes; we’ll bury the world under our caps! We’ve found the secret Europe was seeking for! I’ve heard all that; but, excuse me, do you know all that’s been done in Europe on the question of the organization of labor?’ ‘No, very little.’ ‘That question is now absorbing the best minds in Europe. The Schulze-Delitsch movement. . . And then all this enormous literature of the labor question, the most liberal Lassalle movement. . . the Mulhausen experiment? That’s a fact by now, as you’re probably aware.’ ‘I have some idea of it, but very vague.’ ‘No, you only say that; no doubt you know all about it as well as I do. I’m not a professor of sociology, of course, but it interested me, and really, if it interests you, you ought to study it.’ ‘But what conclusion have they come to?’ ‘Excuse me. . .’ The two neighbors had risen, and Sviazhsky, once more checking Levin in his inconvenient habit of peeping into what was beyond the outer chambers of his mind, went to see his guests out. 하지만 그것들이 우리에게 맞지 않는다면요? 어리석은 것이라면요? 레빈이 말했다. 그래요, 그 말은 곧 이런 건가요? 우리는 쉽게 이길 것이다. 유럽이 모색하고 있는 것을 모두 찾아냈다. 나도 모든 얘기는 알고 있습니다. 실례지만 당신은 노동자 조직 문제로 유럽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알고 있습니까? <아뇨 잘 모릅니다> <지금 유럽의 최고의 지성들이 이 문제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슐체-델리츠 학파. . .그리고 가장 자유주의적인 라살레 학파이 노동문제에 관한 그 모든 방대한 저술. . . 뮐하우스 체제(1850년대에 독일의 경제학자 헤르만 슐체-데리츠는 노동자와 고용자의 이해를 모두 충족시킨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독립 은행과 협동조합이라는 제도를 고안했다. 러시아에서는 1865년에 그의 사상에 입각한 회사가 등장하였다. 페르디난트 라사라레는 독일이ㅡ사회주의자 이자 전독일노동자연맹(독일사회민주당의 뿌리)의 설립자이다. 그는 슐체-델리츠의 협동조합 대신 국가가 지원하는 제조업 조합을 선호하였다. ‘뮐하우스 체제’란 아랄스 지방의 뮐하우스 시에서 돌푸스라는 공장주가 노동자들의 생활 개선을 위해 설립한 단첵를 말한다. 박애의 목적을 가지고 상업 관련 일을 하는 이 단체는 노동자들이 신용 대부로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을 건설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이미 사실로 존재합니다. 아마 당신도 알텐데요. 알긴 합니다만 아주 막연한 수준입니다. 아뇨, 당신은 말만 그렇게 하는 겁니다. 당신은 분명 이것에 대해 나 못지않게 알고 있어요. 물론 난 사회학 교수는 아닙니다만 이것에 흥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당신도 이것에 흥미가 있다면 한 번 연구해 보세요. <그런데 그들은 도대체 어떤 결론에 도달했습니까?> <실례합니다. . .> 지주들이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러자 스비야슈스키는 또 다시 자기의 지성의 응접실 너머를 들여다보려는 레빈의 불쾌한 버릇을 저지하며 손님들을 배웅하러 나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