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낄 색(嗇)자는 논밭에 자라는 곡식을 그린 글자입니다. 글자 윗부분에 흙 토(土)자 사이에 사람 인(人)자가 들어 있는 글자는 곡식 이삭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글자 아래에 돌 회(回)자는 논밭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아낀다는 말은 먹을 곡식을 아낀다는 말입니다. 지금도 농부들은 곡식 한 알이 마당에 떨어져 있어도 그냥 지나치지 않습니다. 인색(吝嗇) 탐색(貪嗇) 부유색(夫唯嗇) 치인사천막약색(治人事天莫若嗇) 전부위지색부(田夫謂之嗇夫)
변방 새(塞)자는 집 면(宀)자 아래에 장인 공(工)자를 4개하고, 손 수(手)자를 두 개하고 그 아래에 흙 토(土)자를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장인 공(工)자는 무엇을 만든다는 뜻이 아리라, 벽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그래서 집을 지을 때, 지붕 아래에 벽돌(工)을 손(手)으로 쌓고 흙(土)을 발라서 집(宀)을 짓는다는 표시입니다. 지붕 아래 집(宀)을 벽돌(工)로 막았다(手)는 뜻이겠지요. 벽돌로 막아야 추위와 바람도 피하고 방도 만들겠지요. 굿할 새(賽)자도 성부(聲符)가 같아서 ‘새’로 읽습니다. 새옹지마(塞翁之馬) 새상(塞上) 요새(要塞) 새외(塞外) 변새(邊塞) 새신(塞神) 발본색원(拔本塞源)
찾을 색(索)자는 동아줄 삭(索)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동아줄은 새끼를 여러 겹 꼬아서 만든 튼튼하고 굵은 밧줄을 뜻합니다. 여기서 실 사(糸)자는 새끼줄을 뜻하고 동아줄 삭(索)자 윗부분은 새끼를 겹쳐서 다시 꼰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색출(索出) 승삭(繩索) 삭조(索條) 강삭(鋼索) 색인(索引) 검색(檢索) 수색(搜索) 탐색(探索)
색 색(色)자는 빛, 얼굴 빛, 남녀의 색정 등을 나타내는 글자였습니다. 이 글자의 옛 글자가 무릎을 꿇고 있는 사람 위에 또 사람이 그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청색(靑色) 색상(色相) 색정(色情) 염색(染色) 안색(顔色)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