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림촬요(醫林撮要) 제2권】 "서증문 7 부록:서풍〔暑證門 七 附 暑風〕"
가만히 있다가 얻은 병은 중서(中暑)라 하고, 활동하다가 얻은 병은 중열(中熱)이라 한다. 중서는 음증(陰證)이고 중열은 양증(陽證)이니, 안으로부터 생긴 증〔內傷〕과 밖에서 침범해 온 증〔外感〕이 나뉜다. 더위〔暑熱〕를 피하려 시원하고 깊은 방에 있다가 얻은 병을 말하기를, ‘중서’라고 하니, 그 증세는 오한이 나고 몸이 뻣뻣하고 사지 관절이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다. 이것은 음증이고 내상(內傷)에 해당하는 병이다. 길을 걷던 사람이나 농부가 땡볕에서 일하다가 얻은 병을 말하기를, ‘중열’이라고 하니 그 증세는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며 피부와 살에 열이 많고 갈증이 심하며 땀을 흘린다. 이것은 양증(陽證)이고 외감(外感)에 해당하는 병이다. 중서는 일명 ‘중갈(中暍)’이라고도 한다.
○무릇 더위는 먼저 심장에 달라붙어서, 몸에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입이 마르고 번갈이 나며 정신이 어질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 손발이 약간 싸늘하고 토하거나 설사를 하기도 한다. 사람이 더위에 감수되면 입과 코로 들어와 어금니 쪽의 뺨 부위〔牙頰〕에 뭉쳤다가 심포(心包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포막)까지 이르게 된다. 노상에서 더위를 만났다가 집에 돌아오면 신속히 입을 헹구고 삼키지는 말아야 한다. 더위의 독이 목구멍을 막을 경우 꼭 입안을 씻어 헹구고 삼키지 말고 뱉어내야 한다. 심하면 곽란(癨亂 토하고 설사하는 증)이나 황반(黃斑 비위가 허하고 습열이 심해 누렇게 뜨는 병) 같은 병이 된다.
○여름철에는 양기가 모두 땅 위로 나오기 때문에 뱃속의 음기가 짝을 잃어 허약한 상태이지 비록 음기가 차가운 상태가 아니다. 시원한 방에 머물렀거나 차가운 음식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기 때문에 따뜻한 약을 쓰는 것이다.
맥이 부맥(浮脈)이 나타나는 것은 풍사(風邪)가 있기 때문이요, 허맥(虛脈)이 나타나는 것은 더위를 먹었기 때문이다. 화열이 금(金)을 제압하여 허약해진 금 기운이 목(木)을 통제하지 못하면 목 기운이 망동하여 근육의 경련〔搐搦〕이 일어나고 인사불성이 되며, 맥에 허맥ㆍ부맥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모두 간목(肝木)의 상화(相火 간의 화 기운)가 발동하였기 때문이다. 향소산(香蘇散)에 황련(黃連)ㆍ강활(羌活)을 넣어 쓴다. 향유산(香薷散)은 더위치료의 통치약으로 쓰는데 심장의 열을 식히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성질이 뜨거운 약을 써서는 안 된다.
○모서(冒暑), 상서(傷暑), 중서(中暑)가 있는데 이들 세 가지는 증세가 가볍고 무거운 점에서 구별된다.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하는 것은 위(胃)와 대장(大腸)이 사기를 받은 것이고, 메스꺼운 것은 위구(胃口)에 담음(痰飮)이 있어서 그러하니, 이 두 가지 증은 모서(冒暑)증이다. 치료 처방으로 황련향유음(黃連香薷飮)을 쓸 수 있다. 몸에 열이 나고 두통이 있으며, 번조하거나, 몸에 침을 찌르는 것 같은 것은 열 기운이 살 속에 있어서 그러하니 이것은 상서(傷暑)증이요, 그에 대한 치료는 열독을 풀어야 하므로 백호탕(白虎湯)에 시호(柴胡)를 넣어서 쓴다. 한열이 왔다갔다 하고, 도한(盜汗)이 그치지 않고, 맥이 삭(數)한 것은 열이 폐경(肺經 폐와 연결되어 있는 경락부위)에 있어서 그러하니 이것은 중서(中暑)증이다. 폐에 가득 찬 화열을 식히는 치료법을 쓴다.
○더위는 심장으로 들어가기를 좋아하므로 가슴이 답답하고 어질하여 사람을 잘 알아보지 못한다. 간으로 들어가면 머리가 어지럽고 피부에 감각이 없다. 비장으로 들어가면 혼수에 빠져 깨어나지 않는다. 폐로 들어가면 숨을 헐떡이고 다리가 마비되어 쓰지를 못한다. 신장으로 들어가면 소갈증(消渴症)을 앓는다.
○중갈(中暍)로 죽게 된 증을 치료할 때는 절대 차가운 약을 쓰지 말고 오직 따뜻하게 조리해 주어야 한다. 냉기를 얻으면 죽는다.
○향유(香薷)와 말똥〔馬通〕을 진하게 달인 다음 조금 식은 물에 사소환(麝蘇丸 사향소합환, 곧 소합향환) 3환을 타서 떠먹인다. 말똥 달인 물〔馬通煎水〕도 좋다.
○맥이 허하고 몸에 열이 있으면 상서(傷暑)증이다. 맥은 활시위같고〔弦〕, 가늘고〔細〕, 가운데가 텅 비고〔芤〕, 속도가 느린〔遲〕 맥(脉)이 나타나거나, 허하면서 미약한 맥이 나타나거나, 위로 떠서 퍼져나가 흩어지는〔浮大而散〕 맥이 나타나거나 숨어서 드러나지 않는 맥이 나타난다. 대체로 더위에 상한 맥은 미약하고, 누르면 힘이 없으며 숨어 잠복해 있으면서 허약하다.
○길 가던 중에 중서증을 얻어 탕약이 없을 경우 뜨거운 흙으로 배꼽 가운데를 찜질해 준다. 또 처음 더위 먹었을 때에 뜨거운 흙이나 뜨거운 잿가루를 배꼽에 쌓아 두고, 그 가운데 구멍을 하나 뚫은 다음 거기에 사람의 오줌을 붓는다.
○무릇 더위를 먹은 것을 알았을 때 속히 생강(生薑) 큰 덩이 하나를 씹어 냉수와 함께 넘긴다. 만약 이미 정신이 혼미한 경우라면 마늘〔大蒜〕 한 쪽을 씹어 냉수와 함께 넘긴다. 씹을 수가 없을 때는 생강이나 마늘을 물에 갈아서 떠먹이면 곧 깨어난다.
○처음 더위 먹은 것을 알았을 때 중서(中暑)인지, 중열(中熱)인지를 막론하고, 향유(香薷)와 말똥〔馬通〕을 함께 달여 적당한 온도로 수시로 복용한다.
○육화탕(六和湯)은 더위 먹은 증이나 사철의 상한증을 치료한다. 옆구리가 아파 몸을 굽히고 펴지를 못하는 경우 강활(羌活), 청피(靑皮), 생강〔薑〕, 대추〔棗〕를 더하여 달인다.
○향유산(香薷散)은 중서와 중열을 치료한다. 열이 날 때는 황련(黃連), 적복령(赤茯苓), 청피(靑皮)를 더해 쓰는데, 약을 달여 찬물에 식혀서 복용한다. 풍을 동반한 경우는 강활(羌活)을 더하고 향소산(香蘇散)과 합방하여 쓰는데, 이름을 ‘이향산(二香散)’이라 한다. - 〈서문(暑門)〉에 나온다. -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은 내상으로 인한 기운의 부족증을 치료하고 음양의 기운을 조리하며 설사를 멎게 한다. 여름철에 허약해진 비장의 기운을 기르고 더위를 물리친다.
○여름철 더위 먹어 졸도하는 것을 이름하여 말하기를, ‘서풍(暑風)’이라 하는데, 이 또한 강활(羌活), 황련(黃連)을 추가한 향유산(香薷散)을 쓴다. 혹은 향소산(香蘇散)과 합하면 더욱 좋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사소환(麝蘇丸 사향소합환, 곧 소합향환) 3환을 풀어 넘긴다.
○또 다른 처방. 열갈(熱暍)로 가슴이 답답한 경우에는 말똥〔馬通〕을 진하게 달인 즙 1 큰 잔을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또 다른 처방. 죽어 가는 사람의 입을 벌리고 따뜻한 물을 천천히 입속에 떠넣어 주되 머리를 조금 들어 물이 뱃속으로 들어가도록 해 준다.
○또 다른 처방. 쓰러진 사람의 가슴 부위에 숨을 불어 따뜻하게 해 주는데, 부는 사람을 교대해 가면서 한다.
○또 다른 처방. 새로 길어 온 물〔新汲水〕을 콧구멍에 떨어뜨려 주고 부채로 바람을 쏘여 준다. 중한 경우는 지장수(地漿水 황톳물을 가라앉힌 맑은 물)을 떨어뜨려 준다. 만일 찬물을 바로 먹이면 죽는다.
○또 다른 처방. 뜨거운 소변 한 그릇을 복용해도 좋다.
익원산(益元散)
더위에 상하여 몸에 열이 나고, 번갈증이 있으며, 소변이 시원치 않은 것을 치료한다. 오줌이 나가는 길을 터주고 열독(熱毒)을 없앤다. 대장〔大腑〕을 튼튼하게 하고 뭉쳐있는 적취를 뚫어낸다. 비장의 기운을 보하고 화 기운을 식히며 기름기를 씻어낸다.
활석(滑石) - 6냥 -, 감초(甘草) - 구운 것, 1냥 -.
위의 약들을 매우 곱게 가루낸〔飛羅細末〕 다음 매번 3돈이나 5돈씩 꿀물에 타서 복용한다. - 일명 ‘육일산(六一散)’이라고 한다. -
조전경험비방(祖傳經驗秘方)
여름철에 길을 가다가 부딪치거나, 들에서 농사 일로 힘들거나, 혹은 살이 희고 기가 허약한 사람이 더위〔暑熱〕를 감당하지 못하여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져 기가 끊어질 듯할 때, 한 낮이라면 환자를 그늘에 옮겨 천천히 따뜻한 물을 떠먹인다. 그래도 깨어나지 않으면 기해혈(氣海穴)에 급히 뜸을 뜨고, 깬 후에는 보약 대제를 쓴다. 찬물을 주어서는 안 된다. - 《의학정전(醫學正傳)》 〈서문(暑門)〉에 나온다. -
향박음자(香朴飮子)
어른이나 아이나 몸에 숨어 있는 복열(伏熱) 때문에 토하고 설사하면서 허번(虛煩)증이 나서, 곽란(霍亂)이 된 것을 치료한다.
인삼(人參)ㆍ복령(茯苓)ㆍ자소엽(紫蘇葉)ㆍ감초(甘草)ㆍ모과(木瓜)ㆍ택사(澤瀉)ㆍ반하국(半夏麴)ㆍ백편두(白扁豆) - 볶은 것 - ㆍ진피(陳皮)ㆍ오매육(烏梅肉)ㆍ후박(厚朴)ㆍ향유(香薷) - 각 반돈 -.
위의 약들을 달여서 복용한다. - 《성혜방(聖惠方)》에 나온다. -
춘택탕(春澤湯 봄의 연못처럼 갈증을 해소하는 서열 치료 처방)
복서(伏暑 몸에 잠복된 더위) 때문에 갈증이 나고 물이 당기는 것, 소변이 시원치 않은 것, 그리고 상한증에 음양이 분명하게 가려지지 않는 증을 치료한다.
택사(澤瀉) - 3돈 -, 저령(猪苓)ㆍ복령(茯苓)ㆍ백출(白朮) - 각 2돈 -, 계심(桂心)ㆍ시호(柴胡) - 각 1돈 -, 인삼(人參)ㆍ맥문동(麥門冬) - 각 1돈 반 -.
위의 약들을 매번 7돈씩 물 1잔 반에 등심(燈心) 20줄기와 함께 넣고 1잔이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밥 먹은 지 한참 후에 복용한다. ○갈증이 있으면 계심(桂心)을 빼고 오미자(五味子)ㆍ황련(黃連) 각 2돈을 더한다. - 《기효양방(奇效良方)》에 나온다. -
오령산(五苓散)에 계피를 빼고 인삼(人參)을 더한 처방도 이름을 ‘춘택탕’이라 하는데, 소변이 시원치 않은 것을 치료한다. 차전자 가루〔車前子末〕를 더하면 더욱 좋다. - 민간에서는 인삼(人參)을 백출(白朮) 분량〔數〕만큼 쓴다. ○《십삼방(十三方)》에 나온다. -
해서보기탕(解暑補氣湯)
몹시 어려운 일을 당하여 힘을 너무 많이 소모한 경우 효과를 본다. 과로 때문에 오는 내상 발열병의 발생을 면할 수 있으며, 기를 보하는 데에 주효한다.
황기(黃耆)〔黃蓍〕 - 1돈 반, 꿀에 발라 구운 것 -, 인삼(人參)ㆍ맥문동(麥門冬)ㆍ진피(陳皮)ㆍ백출(白朮) - 각 1돈 -, 감초(甘草) - 구운 것, 7푼 -, 오미자(五味子) - 20알〔粒〕, 절구에 찧은 것 -.
위의 약들을 한 번 복용량으로 하여 생강〔薑〕 3쪽, 대추〔棗〕 2알과 함께 물 1잔 반에 넣어 8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식전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노권상(勞倦傷 과로로 인한 내상)이 심하면 구운 부자(附子) 4~5푼을 더한다. - 《명의잡저(名醫雜著)》에 나온다. ○《필용방(必用方)》에서는 이름을 ‘인삼음(人參飮)’이라고 하였다. -
향유산(香薷散) - 이름을 ‘향유음(香薷飮)’이라고도 한다. -
일체의 서열증(暑熱症)과 복통, 토사곽란증, 심번증 등을 치료한다.
향유(香薷) - 1근 -, 백편두(白扁豆) - 볶은 것 - ㆍ후박(厚朴) - 각 8냥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매번 4돈씩 물 2잔에 넣고 8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따뜻하게 복용한다.
○백편두(白扁豆)를 빼고 황련(黃連) 4냥을 더한 처방을 황련향유산(黃連香薷散)이라고 한다. - 또는 이름하여 말하기를, ‘황련향유음(黃連香薷飮)’이라고 한다. - 치료병증은 앞과 같다. - 《득효방(得効方)》, 《의학정전(醫學正傳)》에 나온다. -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 - 혹은 십미향유산(十味香薷散)이라고 한다. -
더위를 없애주고 비위를 보한다.
향유(香薷) - 1돈 -, 인삼(人參)ㆍ진피(陳皮)ㆍ백출(白朮)ㆍ백복령(白茯苓)ㆍ백편두(白扁豆) - 볶은 것 - ㆍ황기(黃耆)〔黃蓍〕ㆍ모과(木瓜)ㆍ후박(厚朴) - 생강으로 법제하여 검은 색이 나는 것 - ㆍ감초(甘草) - 구운 것, 각 반돈 -.
위의 약들을 1회 복용량으로 하여 물 2잔에 넣고 1잔이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따뜻하게 복용한다. - 《의학정전(醫學正傳)》 〈서문(暑門)〉에 나온다. -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장마철 습열이 매우 심할 때 사람이 감수되어, 사지가 피곤하고 정신이 흐려지며 움직이기 싫어하고 가슴이 그득하며 숨이 가쁘고 사지 관절이 쑤시며 아프고 숨이 차 헐떡이며 몸에 열이 나고 답답하며 명치 부위가 막히고 소변은 누렇고 잦으며 대변은 자주 설사하고 절로 땀이 나고 몸이 무거우며 음식 생각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황기(黃耆)〔黃蓍〕 - 1돈. ○땀이 많으면 볶은 것 1돈 반 -, 승마(升麻) - 1돈 -, 창출(蒼朮) - 1돈 반 -, 인삼(人參)ㆍ백출(白朮)ㆍ진피(陳皮)ㆍ신국(神麴) - 볶은 것 - ㆍ택사(澤瀉) - 각 5푼 -, 감초(甘草) - 구운 것 - ㆍ황백(黃栢) - 술에 담갔다가 볶은 것 - ㆍ당귀〔川歸 천귀(川歸)는 사천산(四川産) 당귀(當歸))ㆍ청피(靑皮)ㆍ맥문동(麥門冬)ㆍ건갈근〔乾葛〕 - 각 3푼 -, 오미자(五味子) - 9알〔粒〕 -.
위의 약들을 1회 복용량으로 하여 물 2잔에 넣고 1잔이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따뜻하게 복용한다. - 《의학정전(醫學正傳)》 〈서문(暑門)〉에 나온다. -
생맥산(生脉散)
더위로 인해 원기가 상한 증이나 허로로 인해 생긴 열증을 치료한다. 여름철 숭늉〔熟水〕을 대신하여 수시로 마신다.
인삼(人參)ㆍ오미자(五味子)ㆍ맥문동(麥門冬) -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잘게 썰어 매번 3돈씩 물에 달인다. ○여름철에는 반드시 오미자(五味子)를 복용하여 오장(五臟)의 기운을 보해야 한다. 황기(黃耆)〔黃蓍〕, 감초(甘草)를 더하면 기력이 샘솟는다. - 《의학정전(醫學正傳)》 〈서문(暑門)〉에 나온다. -
육화탕(六和湯)
더위에 상하거나 곽란증으로 인해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거나 사시사철에 생기는 상한증을 치료한다.
반하(半夏)ㆍ사인(砂仁)ㆍ행인(杏仁)ㆍ인삼(人參)ㆍ감초(甘草) - 각 1냥 -, 적복령(赤茯苓)ㆍ곽향(藿香)ㆍ모과(木瓜)ㆍ백편두(白扁豆) - 각 2냥 -, 향유(香薷)ㆍ후박(厚朴) - 각 4냥 -.
위의 약들을 매번 4돈씩, 생강〔薑〕 3쪽, 대추〔棗〕 2알과 함께 물 2잔에 넣고 1잔이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따뜻하게 복용한다. - 《득효방(得効方)》에 나온다. -
청서익원탕(淸暑益元湯)
열이 나고 땀이 심하게 빠져 나가 움직일 기운이 없거나 맥이 가늘게〔細〕 나타나고, 더위로 인해 원기가 상한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人參)ㆍ황기(黃耆)〔黃蓍〕 - 꿀을 발라 구운 것 - ㆍ맥문동(麥門冬)ㆍ백작약(白芍藥)ㆍ진피(陳皮)ㆍ백복령(白茯苓) - 각 1돈 -, 향유(香薷)ㆍ지모(知母) - 각 7푼 -, 황련(黃連) - 볶은 것 - ㆍ감초(甘草) - 구운 것, 각 5푼 -, 황백(黃栢) - 3푼 -, 백출(白朮) - 1돈 2푼 -.
위의 약들을 1회 복용량으로 하여 생강〔薑〕 3쪽과 함께 물 반 잔에 넣고 7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식전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 《명의잡저(名醫雜著)》에 나온다. ○《필용방(必用方)》에서는 이름을 ‘청기음(淸氣飮)’이라 하였다. ○《의방집략(醫方集略)》에서는 이름을 ‘청서탕(淸暑湯)’이라고 하였다. -
소서보혈탕(消暑補血湯) - 민간에서는 심장의 열을 치료하는 데에 쓴다. 곧 당귀음(當歸飮)이다. 또한 심열로 인해 대하가 멎지 않을 때도 쓰는데 신효하다. -
마음을 쓰고 사려가 많아 정신을 소모하고 심기가 허약하며 경계증으로 번열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보혈을 위주로 한다.
인삼(人參) - 1돈 2푼 -, 오미자(五味子) - 15개(箇) -, 당귀(當歸) - 술에 담근 것 - ㆍ복신(茯神)ㆍ맥문동(麥門冬)ㆍ백작약(白芍藥) - 볶은 것 - ㆍ산조인(酸棗仁) - 볶은 것, 각 1돈 -, 산치자(山梔子) - 볶은 것 - ㆍ천궁(川芎)ㆍ생지황(生地黃) - 술에 적셔 씻은 것 - ㆍ감초(甘草) - 구운 것 - ㆍ진피(陳皮) - 각 5푼 -.
위의 약들을 1회 복용량으로 하여 생강〔薑〕 2쪽과 함께 물 1잔에 넣고 7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식전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 《명의잡저(名醫雜著)》에 나온다. ○《필용방(必用方)》에서는 이름이 ‘당귀음(當歸飮)’이다. ○또 다른 이름은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이다. -
각서청건탕(却暑淸健湯)
더위를 먹어서 나타나는 곽란, 설사, 이질증을 보이는 것을 치료한다. 여름철 길 가는 중에 늘 복용하면 원기를 튼튼하게 하고 열을 식히며 더위를 쫓는다.
인삼(人參) - 1돈 2푼 -, 맥문동(麥門冬)ㆍ백작약(白芍藥) - 볶은 것 - ㆍ백복령(白茯苓) - 각 1돈 -, 오미자(五味子) - 10알〔粒〕 -, 백출(白朮) - 1돈 반 -, 향유(香薷)ㆍ지모(知母) - 볶은 것 - ㆍ진피(陳皮) - 각 7푼 -, 감초(甘草) - 구운 것, 5푼 -, 황금(黃芩) - 볶은 것, 3푼 -.
위의 약들을 1회 복용량으로 하여 생강〔薑〕 2쪽과 함께 물 1잔 반에 넣고 7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식전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 《필용방(必用方)》에서는 이름을 ‘삼유음(參薷飮)’이라 하였다. ○《의방집략(醫方集略)》에서는 이름을 ‘도중소서음(途中消暑飮)’이라고 하였다. -
온중화체탕(溫中化滯湯)
여름철 찬물이나 바람, 한기에 상하여 구토와 설사를 하고 오한과 발열이 나며, 가슴이 그득하고 먹지 못하며, 몸의 겉이나 속이 모두 차가운 데에 상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人參)ㆍ건강(乾薑) - 자주색이 나게 볶은 것 - ㆍ후박(厚朴)ㆍ진피(陳皮)ㆍ강활(羌活)ㆍ지실(枳實)ㆍ백복령(白茯苓) - 각 1돈 -, 백출(白朮) - 1돈 반 -, 감초(甘草) - 구운 것, 5푼 -.
위의 약들을 1회 복용량으로 하여 생강〔薑〕 3쪽과 함께 물 1잔에 넣고 7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식전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 《명의잡저(名醫雜著)》에 나온다. ○《필용방(必用方)》에는 이름을 ‘강출산(薑朮散)’이라고 하였다. ○《의방집략(醫方集略)》에는 이름을 ‘익위탕(益胃湯)’이라고 하였다. -
인삼백호탕(人參白虎湯)
더위〔暑熱〕로 갈증이 나고 맥이 허약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人參)ㆍ지모(知母) - 각 2돈 -, 석고(石膏) - 반냥 -, 감초(甘草) - 1돈 -.
위의 약들을 썰어 멥쌀 한 줌을 넣고 달인다. - 《명의잡저(名醫雜著)》에 나온다. -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석고(石膏) - 1냥 -, 감초(甘草)ㆍ인삼(人參) - 각 2돈 -, 반하(半夏) - 2돈 반 -, 맥문동(麥門冬) - 5돈 -, 죽엽(竹葉) - 5~6쪽 -.
위의 약들을 썰어 매번 4돈씩 물 두 잔에 죽엽, 생강(生薑) 각 5돈을 넣고 반이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멥쌀 100여 알을 넣은 뒤 다시 달여 수시로 복용한다. - 《명의잡저(名醫雜著)》에 나온다. -
위령탕(胃苓湯 평‘위’산에 오‘령’산을 합한 처방)
더위에 상하여 번갈증이 생기고, 설사가 물처럼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오령산(五苓散)과 평위산 약재를 각각 2돈씩 합하여 자소엽(紫蘇葉)과 오배자 달인 물에 넘긴다. - 《득효방(得効方)》 〈설과(泄科)〔泄門〕〉에 나온다. -
통령산(通苓散)
더위에 상하여 조열증(潮熱症)이나 번갈증이 나고 소변이 막히며 대변은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저령(猪苓)ㆍ백출(白朮)ㆍ택사(澤瀉)ㆍ적복령(赤茯苓)ㆍ차전자(車前子)ㆍ목통(木通)ㆍ인진(茵蔯)〔茵陳〕ㆍ구맥(瞿麥) -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썰어 매번 4돈씩 물 1잔 반에 등심(燈心)과 맥문동(麥門冬)을 각각 20알씩 함께 넣고 달인다. 혹은 죽엽(竹葉) 10쪽과 차전자 이삭〔車前穗〕 5개를 더한다.
사령산(四苓散)
오령산 본방에서 계지〔桂〕를 빼고 나머지는 같은 양으로 하여 물에 달인다. - 《단계심법(丹溪心法)》에는 같은 양으로 쓰라는 글자〔等分〕가 없다. -
제호탕(醍醐湯 제호(醍醐)는 신선의 음식)
더위를 풀고 갈증을 멈춘다. 여름철에 숭늉 대신 마신다. - 《경험양방(經驗良方)》에는 제호고(醍醐膏)가 있는데 이와 대동소이하다. -
오매(烏梅) - 과육을 별도로 갈은 것, 1근 -, 초과(草果) - 1냥. ○분량을 그대로 하면 냄새가 좋지 않기 때문에 2/3로 줄여 쓰면 된다. -, 좋은 꿀〔好蜜〕 - 5근 -, 사인(砂仁)ㆍ백단(白丹) - 썰어서 말리고 가루낸 것, 각 5돈 -.
위의 세 가지 약재초과, 사인, 백단를 매우 곱게 가루내어 둔다. 그 다음 졸인 꿀의 뜬 거품을 제거한 뒤 오매 가루〔烏梅末〕를 두세 번에 꿀 속에 넣고 달이는데 고루 저어 준다. 그 후에 세 가지 가루낸 약재를 넣고 약이 어느 정도 달여지면 불을 뺀다. 자기나 와기에 담아 놓고 매번 끓인 물이나 냉수에 적당히 타서 복용한다.
향유탕(香薷湯)
중기(中氣 비위의 기운)를 편안하게 하고, 영위(榮衛 몸속과 겉을 운영하고 보호하는 기운)를 고르게 하며, 음식을 당기게 한다. 곽란증과 더위 먹은 것, 바람과 추위, 안개와 이슬에 상한 것을 치료한다.
향유(香薷)ㆍ백편두(白扁豆) - 볶은 것, 각 2냥 -, 후박(厚朴)ㆍ복령(茯苓) - 각 1냥 -, 감초(甘草) - 구운 것, 5돈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매번 2돈씩 끓인 물에 타서 복용한다. 소금을 넣고 타 먹어도 좋다. 수시로 복용한다. - 《화제국방(和劑局方)》 〈서문(暑門)〉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에는 복령이 백복령(白茯苓)으로 되어 있고 향유(香薷)는 분량이 두 배인데, 이름을 ‘오물향유탕(五物香薷湯)’이라고 한다. ○《수진방(袖珍方)》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
소서원(消暑圓)
더위에 상하여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반하(半夏) - 8냥, 식초 5되에 넣고 끓여서 말린 것 -, 감초(甘草)ㆍ복령(茯苓) - 각 8냥 -.
위의 약들을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고 생강즙(生薑汁)을 넣고 쑨 묽은 풀과 함께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매번 50환씩 복용하는데 물로 넘긴다. ○《이간방(易簡方)》에는 “좋은 식초를 넣고 반하(半夏)를 삶고, 생강즙을 넣고 풀을 쑤며, 생수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여름철에 상복하면 갈증이 멎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고 했다. - 《화제국방(和劑局方)》 〈서문(暑門)〉에 나온다. -
계령원(桂苓圓)
더위의 독을 잘 풀고 번갈로 인해 과도하게 물을 마시고 배와 가슴이 창만(脹滿)하며 소변이 적고 시원치 않은 데 쓴다.
계심(桂心)ㆍ복령(茯苓) - 각 1냥 -.
위의 약들을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고 꿀에 반죽하여 1냥 당 8환을 만들어 매번 1환씩 복용한다. 새로 길어 온 물이나 숭늉으로 녹여 넘긴다. 씹어 먹어도 좋다. - 《화제국방(和劑局方)》 〈서문(暑門)〉에 나온다. -
유령산(薷苓散) - 혹은 유령탕(薷苓湯)이라고도 한다. -
여름이나 가을철의 추위나 더위로 인해 배가 아프고 토사곽란이 일어나 이질이 되려는 증상을 치료한다.
택사(澤瀉) - 1돈 2푼 -, 저령(猪苓)ㆍ적복령(赤茯苓)ㆍ백출(白朮)ㆍ향유(香薷)ㆍ백편두(白扁豆)ㆍ후박(厚朴)ㆍ황련(黃連) - 생강즙〔薑汁〕에 적셔 볶은 것, 각 1돈 -, 감초(甘草) - 3푼 -.
위의 약들을 1회 복용량으로 하여 생강〔薑〕을 넣고 달인다. - 《의방집략(醫方集略)》 〈설문(泄門)〉에 나온다. -
혹은 이르기를, “더울 때에 설사 및 적백리(赤白痢)를 앓고 두통, 발열하는 경우 오령산(五苓散)과 향유산 합방에 황련(黃連)을 더한 9가지 약재를 같은 양으로 하여 매번 5돈씩 복용한다고 한다.”라고 하였다. 혹은 볶은 백작약(白芍藥)을 더한다. 혹은 계지〔桂〕를 빼고 인삼(人參)이나 맥문동(麥門冬)으로 대체한다.
소서십전음(消暑十全飮)
수태음(手太陰 폐), 족태음(足太陰 비(脾))의 기운을 따뜻하게 퍼뜨리는 약제로 곧 기를 돕는 약이다.
향유(香薷)ㆍ백편두(白扁豆)ㆍ후박(厚朴)ㆍ감초(甘草)ㆍ자소엽(紫蘇葉)ㆍ백출(白朮) - 볶은 것 - ㆍ복령(茯苓)ㆍ곽향(藿香)ㆍ모과(木瓜)ㆍ백단향(白檀香) -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을 잘게 썰어 물에 달인다. - 《옥기미의(玉機微義)》 〈서문(暑門)〉에 나온다. -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여름철에 생랭물(生冷物 날 것이나 찬 음식)을 과식하여 병이 난 것을 치료한다.
백복령(白茯苓) - 1돈 -, 진피(陳皮)ㆍ반하(半夏)ㆍ후박(厚朴)ㆍ창출(蒼朮) - 볶은 것 - ㆍ축사인〔縮砂〕ㆍ곽향(藿香) - 각 5푼 -, 감초(甘草) - 구운 것, 3푼 -, 인삼(人參) - 4푼 -.
위의 약들을 생강〔薑〕, 대추〔棗〕를 함께 넣고 달여 복용한다. - 《의방집략(醫方集略)》 〈비위문(脾胃門)〉에 나온다. -
어애강소환(御愛薑蘇丸)
더위에 상하여 메슥거리고 머리가 아프며 번조한 증상을 치료한다. 진액을 생성하여 갈증을 멎게 한다.
자소엽(紫蘇葉)〔紫蘇〕 - 5냥 -, 오매육(烏梅肉) - 볶은 것, 2냥 -, 감초(甘草) - 날 것, 7돈 반 -, 계심(桂心)ㆍ향유(香薷) - 각 5돈 -, 생강(生薑) - 썰어서 구운 것, 2돈 반 -, 모과(木瓜) - 2냥 -.
위의 약들을 꿀에 반죽하여 앵두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 다음 잘게 씹어서 숭늉으로 넘긴다. - 《기효양방(奇效良方)》 〈서문(暑門)〉에 나온다. -
삼유사령탕(參薷四苓湯)
심(心) 경락에 잠복해 있는 더위 때문에 신(腎)이 영향을 받아 소변이 붉고 탁한 것을 치료한다. 사령산(四苓散)에 인삼(人參), 향유(香薷), 황련(黃連), 맥문동(麥門冬)을 추가한 8가지 약재를 같은 양으로 하여 썰어서 물에 달인 다음 복용한다. - 《의방집략(醫方集略)》에 나온다. -
향유축비음(香薷縮脾飮)
더위를 쫓아내고 속을 화평하게 하며 번갈(煩渴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름)을 없앤다.
축사인(縮砂仁)ㆍ초과인(草果仁)ㆍ오매육(烏梅肉)ㆍ향유(香薷)ㆍ감초(甘草) - 볶은 것, 각 반냥 -, 건갈근〔乾葛〕ㆍ백편두(白扁豆) - 각 1냥 -.
위의 약들을 썰어 매번 3돈씩 생강〔薑〕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인 다음 따뜻하게 복용한다.
해서삼백음(解暑三白飮 세 가지 흰 색 약재〔三白〕 곧 택사, 백출, 백복령이 들어가 더위를 풀어주는 처방)
더위〔暑熱〕로 인해 토사곽란, 구토을 하고, 소변이 시원치 않은 증상을 치료한다.
택사(澤瀉)ㆍ백출(白朮)ㆍ백복령(白茯苓) -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썰어 매번 4돈에, 생강〔薑〕 5쪽, 등심(燈心) 10줄기를 함께 물 1잔에 넣고 8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수시로 복용한다.
계령감로음(桂苓甘露飮)
잠복된 더위로 인하여 물을 켜며 배가 창만한 것, 토사곽란, 이질 설사를 치료한다.
백복령(白茯苓)ㆍ백출(白朮)ㆍ저령(猪苓)ㆍ활석(滑石) - 각 2냥 -, 한수석(寒水石 소금의 간수를 굳혀만든 투명한 물질) - 갈아 놓은 것 - ㆍ감초(甘草) - 구운 것 - ㆍ택사(澤瀉) - 각 1냥 -, 육계(肉桂) - 껍질을 제거한 것, 반냥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매번 2돈씩 뜨거운 물이나 냉수와 함께 넘긴다. 꿀을 조금 넣으면 더욱 좋다.
계령백출산(桂苓白朮散)
더위〔暑熱〕로 인하여 토사곽란하며 근육이 뒤틀리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어린아이도 복용할 수 있다.
관계(官桂 육계(肉桂)) - 껍질을 제거한 것 - ㆍ백출(白朮)ㆍ저령(猪苓) - 각 5돈 -, 복령(茯苓)ㆍ택사(澤瀉) - 각 1냥 -, 감초(甘草) - 구운 것 - ㆍ석고(石膏)ㆍ한수석(寒水石) - 각 2냥 -, 활석(滑石) - 4냥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매번 2돈씩 뜨거운 물이나 냉수에 타서 복용한다. - 이상은 《단계심법부여(丹溪心法附餘)》에 나온다. -
삼귀익원탕(參歸益元湯)
주하병(注夏病)을 치료한다.
인삼(人參) - 5푼 -, 당귀(當歸)ㆍ백작약(白芍藥)ㆍ숙지황(熟地黃)ㆍ백복령〔白茯〕ㆍ맥문동(麥門冬) - 각 1돈 -, 오미자(五味子) - 10알〔粒〕 -, 진피(陳皮)ㆍ황백(黃栢) - 술에 적셔 볶은 것 - ㆍ지모(知母) - 술에 적셔 볶은 것, 각 7푼 -, 감초(甘草) - 3푼 -.
위의 약들을 썰어 1제(劑)로 하여 대추〔棗〕ㆍ오매(烏梅) 각 1알〔枚〕씩과 볶은 쌀 한 줌을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복용한다. - 《만병회춘(萬病回春)》에 나온다. -
천리수호로(千里水葫蘆)
길 가다가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바로 마실 차나 물이 없을 경우 이 약 1환을 머금어 녹이면 진액을 생성하고 열을 식히며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인다.
붕사(硼砂)ㆍ시상(柿霜)ㆍ오매육(烏梅肉)ㆍ박하엽(薄荷葉)ㆍ백사탕(白砂糖).
위의 약을 같은 양으로 하여 오매육(烏梅肉)과 반죽하여 환을 만든 다음 입에 머금고 녹인다. - 《고금의감(古今醫鑑)》에 나온다. -
청폐생맥산(淸肺生脉散)
더위가 폐로 들어가 기침하거나, 비위가 허약하여 숨이 가쁜 것을 치료한다.
황기(黃耆)〔黃蓍〕 - 2돈 -, 당귀(當歸)ㆍ생지황(生地黃)ㆍ인삼(人參)ㆍ맥문동(麥門冬) - 각 5푼 -, 오미자(五味子) - 10알〔粒〕 -.
위의 약들을 한 번 복용량으로 하여 물에 달여 복용한다. - 《만병회춘(萬病回春)》에 나온다. -
[주-D001] 향소산(香蘇散) :
《동의보감(東醫寶鑑)》 〈서문(暑門)〉의 ‘향소산’ 조에 《득효방》을 인용하여, “사철에 생기는 온역(瘟疫)을 치료한다. 향부자(香附子) 3돈, 자소엽(紫蘇葉) 2돈 반, 진피(陳皮) 1돈 반, 창출(蒼朮)ㆍ감초(甘草) 각 1돈.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薑〕 3쪽, 총백(葱白) 2대와 함께 달여 복용한다.〔治四時瘟疫. 香附子三錢, 紫蘇葉二錢半, 陳皮一錢半, 蒼朮ㆍ甘草各一錢. 剉, 薑三葱白二, 煎服.〕”고 했다.
[주-D002] 향유산(香薷散) :
《동의보감》 〈서문〉의 ‘향유산’ 조에 《화제국방》을 인용하여, “온갖 서병(暑病)으로 곽란ㆍ토사하거나, 혼미하여 죽을 것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향유(香薷) 3돈, 후박(厚朴)ㆍ백편두(白扁豆) 각 1돈 반. 이것을 썰어 술을 조금 넣고 물에 달여 찌꺼기를 뺀 다음 찬물에 식혀서 복용한다.〔治傷中一切暑病, 或霍亂吐瀉, 或昏塞欲絶. 香薷三錢, 厚朴ㆍ白扁豆各一錢半. 右剉, 入酒少許, 水煎去滓, 沈冷服之.〕”고 했다.
[주-D003] 이들 …… 구별된다 :
뒤에 잘 설명되어 있지만, 모서(冒暑)는 비교적 가벼운 증세에 해당하고 상서(傷暑)와 중서(中暑)는 비교적 중한 병증에 해당된다.
[주-D004] 기해혈(氣海穴) :
인체의 정중선, 곧 임맥(任脈)상의 혈자리로 배꼽 아래 1.5촌에 위치한다.
[주-D005] 이름을 …… 치료한다 :
오령산의 가감방인 ‘춘택탕’은 《동의보감》에는 《십삼방》이 아니라, 《득효방》의 처방을 인용하였다.
[주-D006] 육화탕(六和湯) :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雜病) 〈서문(暑門)〉에는 《고금의감(古今醫鑑)》을 인용하여 육화탕(六和湯)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더위로 심(心)과 비(脾)를 상하여 토사나 곽란으로 전근이 일어나고, 부종(浮腫)과 학질ㆍ이질이 된 것을 치료한다. 향유(香薷)ㆍ후박(厚朴) 각 1돈 반, 적복령(赤茯苓)ㆍ곽향(藿香)ㆍ백편두(白扁豆)ㆍ모과(木瓜) 각 1돈, 축사인〔縮砂〕ㆍ반하(半夏)ㆍ행인(杏仁)ㆍ인삼(人蔘)ㆍ감초(甘草) 각 5푼. 이것을 썰어서 생강〔薑〕 3쪽, 대추〔棗〕 2알을 넣고 달여 복용한다. ○밀기울을 넣고 볶은 황련(黃連) 1돈을 더한 것은 이름을 ‘청서육화탕(淸暑六和湯)’이라고 한다.〔治暑傷心脾, 吐瀉, 或霍亂轉筋, 及浮腫瘧痢. 香薷ㆍ厚朴各一錢半, 赤茯苓ㆍ藿香ㆍ白扁豆ㆍ木瓜各一錢, 縮砂ㆍ半夏ㆍ杏仁ㆍ人蔘ㆍ甘草各五分. 右剉, 薑三, 棗二, 煎服. ○加麩炒黃連一錢, 名淸暑六和湯.〕
[주-D007] 인삼백호탕(人參白虎湯) :
인삼이 추가된 백호탕 가감방. 백호탕(白虎湯)은 상한병에 극심한 열증을 신속히 치료하는 데 쓰이는 처방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의학입문》을 인용하여, 백호탕은 “양명병으로 땀이 많고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며, 맥이 홍대(洪大)한 것을 치료한다. 석고 5돈, 지모 2돈, 감초(甘草) 7푼, 멥쌀 반 홉. 이것을 썰어 달여 복용한다.〔治陽明病, 汗多ㆍ煩渴, 脉洪大. 石膏五錢, 知母二錢, 甘草七分, 粳米半合. 右剉, 煎服.〕”라고 하였다.
[주-D008] 좋은 …… 한다 :
《이간방(易簡方)》의 내용까지 모두 《화제국방》에 실려 있는 부분이다. 《화제국방》에서 《이간방》을 인용하여 보충한 뜻은 감초와 복령이 없이 반하만 사용하는 치료법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주-D009] 적백리(赤白痢) :
붉은 곱똥을 누는 적리(赤痢)와 흰 곱똥을 누는 백리(白痢)를 함께 일컫는다.
[주-D010]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
《고금의감(古今醫鑑)》과 《만병회춘(萬病回春))》에는 이 처방과 이름이 같지만 구성이 다른 약이 있어 아래에 비교해 둔다.
《고금의감》의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조에는, “음식 생각이 없으며 속이 막혀서 거북하여 편안치 않은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위가 차갑기 때문이다. 백출(白朮) 1돈, 축사(縮砂)ㆍ창출(蒼朮)ㆍ후박(厚朴)ㆍ진피(陳皮)ㆍ백복령(白茯苓) 각 8푼, 백두구(白豆蔲) 2푼, 인삼ㆍ목향(木香)ㆍ감초(甘草) 각 5푼.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薑〕 3쪽, 대추〔棗〕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복용한다.(治飮食不思, 痞悶不舒, 此胃寒也. 白朮一錢, 縮砂ㆍ蒼朮ㆍ厚朴ㆍ陳皮ㆍ白茯苓各八分, 白豆蔲 二分, 人蔘ㆍ木香ㆍ甘草各五分. 剉, 薑三, 棗二, 煎服.)”라고 하였다.
《만병회춘》의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조에는, “음기(陰氣)가 잠복하고 양기(陽氣)가 쌓여서 속이 더부룩한 것을 치료하는데, 비위(脾胃)를 고르게 보양하고 음기와 양기가 제대로 오르내리게 하여 하늘과 땅이 서로 소통하여 편안한 태괘의 기운을 이룬다. 백출(白朮)ㆍ진피(陳皮)ㆍ반하(半夏)ㆍ백복령(白茯苓) 각각 1돈, 향부자(香附子)ㆍ축사(縮砂)ㆍ목향(木香)ㆍ지실(枳實)ㆍ곽향(藿香)ㆍ후박(厚朴)ㆍ백두구(白豆蔲) 각각 7푼, 감초(甘草) 3푼. 위의 약재를 썰어서 생강〔薑〕 3쪽, 대추〔棗〕 2알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가미지출환도 효과가 같다.(治陰伏陽蓄而爲痞滿, 能調養脾胃, 升降陰陽, 成天地交之泰. 白朮ㆍ陳皮ㆍ半夏ㆍ白茯苓各一錢, 香附子ㆍ縮砂ㆍ木香ㆍ枳實ㆍ藿香ㆍ厚朴ㆍ白豆蔻各七分, 甘草三分. 右剉, 薑三, 棗二, 煎服. 加味枳朮丸, 同功.)”라고 하였다.
[주-D011] 만병회춘(萬病回春)에 나온다 :
《만병회춘(萬病回春)》에는 약의 분량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