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준대표님의 카톡에서]
월요哲메세지
- 길
'길’은 사람들이 정말 자주 쓰는 흔한 말입니다.
나는 이상하게 이 한 글자 단어(單語)가 오래 전부터 참 좋았습니다.
그 어감이 입에 착 감깁니다.
긴 세월(歲月) 참 친구(親舊)처럼 다정(多情)하게 긴 여운(餘韻)을 줍니다.
‘에움길’
이 뜻을 모르는 이도 많을 거 같습니다. ‘빙 둘러서 가는 멀고 굽은 길’ 이라는 뜻입니다.
둘레를 빙 '둘러싸다’ 는 동사(動詞) ‘에우다’에서 나왔습니다.
지름길은 질러 가서 가까운 길이고, 에움길은 에둘러 가서
먼 길입니다.
‘길’은 순수(純粹) 우리말입니다.
한자(漢字)를
쓰기 전부터 길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신라(新羅) 향가(鄕歌)에도 나옵니다. 길을 칭하는 말들은 거개가 우리말입니다.
그런데 길 이름에는 질러가거나 넓은 길보다
돌아가거나 좁고 험한 길에 붙은 이름이 훨씬 많습니다.
우리 인생사(人生事)처럼 말입니다.
집 뒤편의
뒤안길,
마을의 좁은 골목 길을 뜻하는 고샅(길),
꼬불꼬불한 논두렁 위로 난 '논틀길',
거칠고 잡풀이 무성(茂盛)한 '푸서릿길',
좁고 호젓한 '오솔길',
휘어진 '후밋길', 낮은 산비탈 기슭에 난 '자드락길',
돌이 많이 깔린 '돌서더릿길'이나 '돌너덜길',
사람의 자취가 거의 없는 '자욱길',
강가나 바닷가 벼랑의 험한
'벼룻길'...
'숫눈길’을 아시나요?
눈이 소복이 내린 뒤 아직 아무도 지나가지 않은, 그대의 첫 발자국을 기다리는 길입니다.
‘길’이란 단어는 단어 자체만으로도 참 문학적(文學的)이고 철학적(哲學的)이고 사유적입니다.
‘도로(道路)’나 ‘거리(距離)’가 주는 어감(語感)과는 완전(完全) 다릅니다.
‘길’은 단순(單純)히 사람들이 밟고 지나 다니는 것만을 의미(意味)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길이 없다” 거나 “내 갈 길을 가야겠다”라는 표현(表現)에서 보듯 길은 삶에서의 방법이거나 삶 그 자체입니다.
영어 ‘way’도 ‘street’와 달리 같은 중의적 의미를 갖습니다. 서양(西洋) 사람들도 길에서 인생을 연상하는구나 싶어 신기(新奇)했습니다.
불교(佛敎)나 유교(儒敎), 도교(道敎) 등 동양(東洋) 사상(思想)에서의 공통적(共通的) 이념(理念)도
'도(道)'"라고 부르는 길입니다.
우리는 평생(平生) 길 위에 있습니다.
누군가는 헤매고, 누군가는 잘못된 길로 가고, 누구는 한 길을 묵묵히 갑니다.
오르막길이 있으면 반드시 내리막길도 있습니다.
탄탄대로가 있으면 막다른 골목도 있습니다.
세상(世上)에
같은 길은
없습니다.
나만의 길만 있을 뿐입니다.
프랭크 시내트라에게는 “Yes, it was my way” 였고 “I did it my way” 였습니다.
나이가 지긋한 이들은 그 유명(有名)한 흑백(黑白) 영화(映畵) ‘길’(La Strada,1954년)을 기억(記憶)할 것입니다.
야수 같은 차력사 잠파노(안소니 퀸)와 순진무구(純眞無垢)한 靈魂을 가진 젤소미나 (줄리에타마시나)는 평생(平生) 서커스 동반자(同伴者)로 길을 떠돕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場面), 자기(自己)가 버린 젤소미나의 죽음을 알고 잠파노는 짐승 처럼 울부짖습니다.
9길이 끝나는 바닷가에서 입니다. 애절(哀切)하게 울려 퍼지는 니노 로타의 그 유명한 트럼펫 연주(演奏) 테마 음악(音樂)... 영화와 제목(題目)이 너무나 잘 어울립니다.
미국인(美國人)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詩人) 로버트 프로스트는 명시 ‘가지 않은 길’에서 이렇게 술회(述懷)했습니다.
“숲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
나는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택했다.
그리고 그것이 나의 모든 것을 바꿔놓았다.”
길은 목적지(目的地)에 가기 위해서도 존재(存在)하지만 떠나기 위해서도 존재합니다.
‘길을 간다’ 라는 말보다 ‘ 길을 떠난다’ 는 말은 왠지 낭만적(浪漫的)이거나 애잔하거나 결연합니다.
결국 우리는
길 위에서 길을 물으며 살아가는 겁니다.
그게 입신양명(立身揚名)의 길이거나, 고행(苦行)의 길이거나, 득도(得道)의 길이거나, 산티아고 길이거나, 바이칼 호수(湖水)의 자작나무 숲길이거나, 동네 둘레길이거나 ~~
우리네 인생이 곧 길이요,
우리의 발이
삶입니다.
결국은 ‘마이 웨이’를 가는 겁니다.
지름길을 택할 것인가, 에움길로 돌아서 갈 것인가.
인생길은 결국은 속도(速度)와 방향(方向)의 문제(問題)입니다.
지름길로 가면 일찍 이루겠지만' 그만큼 삶에서 누락(漏落)되고 생략(省略)되는 게 많을 것입니다.
에움길로 가면 늦지만 많이 볼 것입니다.
꽃구경도 하고, 새소리 바람소리도 듣고, 동반자와 대화(對話)도 나눌 것입니다 .
사랑도 그렇지 않을까?
모든 사랑은 차표(車票) 한 장으로 쉽게 가는 지름길이 아니고, 수만 갈래의 에움길을 돌고 돌아서 이루는 것입니다.
여기, 사랑의 신산함을 에움길로 묘사(描寫)한 명시가 있습니다.
“너에게로 가지 않으려고 미친 듯 걸었던
그 무수한 길도
실은 네게로 향한 것이었다
나의
생애(生涯)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하나의 에움길이었다...”
당신의 '길' 응원합니다.
======================
=====================
인 연
깨와 소금을 섞으면
깨소금이 되듯..
깨와 설탕을 섞으면?
깨달음이 탄생합니다.
뉴턴과 사과와의 인연이
만유인력의 법칙을 낳았고,
잡스와 애플과의 만남이
세상을 바꿨으며,
유성룡과 이순신과의 인연은 나라를 구했습니다.
원효대사는 해골바가지를 만나서 일체유심조를 깨달았듯...
인생길에는 수많은 인연의 깨달음들이 있습니다.
밤하늘의 별을 보며 우주의 섭리를 깨우칠 수도..
스치는 바람에도 계절의 원리를, 서로 나누는 악수에서도 사랑을 깨닫습니다.
모든 것에는 존재 이유가 있습니다.
내가,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 그것은 감사하고,
사랑하며, 나누고,
베풀고, 행복하게 살아야 할 이유일것입니다.
일체 유심조(一切 唯心造)모든 일은 마음에 달려있다.
어떤 관광객이 나이아가라 폭포의 장관에 감탄사를 연발하며 구경하다가 목이 말라 폭포의 물을 떠서 맛있게 마셨습니다.
“아, 물맛 좋네!”하고 걸어 나오던 그는 폭포 옆에 “포이즌”(POISON)이라고 쓰여 있는 팻말을 보았다.
자신도 모르게 독성분이 든 물을 마신 것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배가 아파 오기 시작했습니다.
창자가 녹아내리는 것 같은 아픔을 느꼈습니다.
동료들과 함께 급히 병원에 달려가서 자초지종을 이야기하고 살려 달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상황을 전해 들은 의사는 껄껄 웃으면서“포이즌은 영어로는 ‘독’이지만 프랑스어로는 ‘낚시 금지’란 말입니다.
"별 이상이 없을 테니 돌아가셔도 됩니다”라고 말했다.
의사의 이 말 한마디에
그렇게 아프던 배가 아무렇지도 않게 됐다.
이 같이 내가 알고 있는 어떤 상식이나 믿음은
우리의 마음과 몸까지도 다스리고 지배합니다.
덥다고 짜증을 부리면
몸도 마음도 상합니다.
행복은 우리의 마음 먹기에 달렸다.
어떤 상황이나 조건 때문에 행복하고 불행한 것이 아니다. 나의 마음가짐이
행복과 불행을 결정한다.
자살'이라는 글자를 반대로 하면 '살자'가 되며
영어의 스트레스(stressed)를 반대로 하면 디저트(desserts)란 말이 됩니다.
나폴레옹은 유럽을 제패한 황제였지만, 내 생애 행복한 날은 6일밖에 없었다고 고백했고
시각 장애자인 헬렌 켈러는 내 생애 행복하지 않은 날은 단 하루도 없었다는 고백을 남겼습니다.
마음먹기에 따라 천국과 지옥이 갈림길이 됩니다.
신라의 원효 대사도 해골에 고인 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어 득도하였다는 一切唯心造는, 세상사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고 설파하였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난 것만으로 행복해야 합니다.
부자여도, 가난하여도,
그런대로 살만한 세상이었으니, 누굴 원망하고
미워해야 하는가요?
그저 삶은 마음 먹기에 달린 것, 비우고 또 비워내며, 바람같이 물같이 살다가 가야겠습니다.
「욕심」은 부릴수록 더 부풀고
「미움」은 가질수록 더 거슬리며
「원망」은 보탤수록 더 분하고
「아픔」은 되씹을수록 더 아리며
「괴로움」은 느낄수록 더 깊어지고
「집착은 할수록 더 질겨지는 것이니
부정적인 일들은 모두 모두 지우는 게 좋습니다.
지워 버리고 나면 번거럽던 마음이 편안해지고,
마음이 편안해지면 사는 일이 언제나 즐겁습니다.
「칭찬」은 해줄수록 더 잘 하게 되고
「정」은 나눌수록 더 가까워지며
「사랑」은 베풀수록 더 애틋해지고
「몸」은 낮출수록 더 겸손해지며
「마음」은 비울수록 더 편안해지고
「행복」은 감사할수록 더 커지는
평범한 일상 생활에서도 언제나 감사한 마음으로
즐겁고 밝게 사는 것보다 더 좋은 게 또 있을까요?
좋은날 행복한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