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지내는 순서]
1.제수진설: 제사상을 차리고 신위를(지방 또는 사진)을 모신다.
(신위를 먼저 모시는 가문, 지방도 있다)
2. 강신: 모든 참석자(=참사자, =참제자)는 순서대로 차례상 앞에 선다.
제주가 차례상 앞(헌관 위치)에 꿇어 앉아 분향(3개)한 후
동집사가 비위 잔을 주고(별도의 잔을 쓰는 가문, 고위 비위 잔을 다 쓰는
가문도 있다)
술을 조금(3부 정도) 따라주면 퇴주그릇에
(근래에는 모사 그릇을 거의 쓰지 않으므로 그냥 퇴주그릇에 붓는다)
조금씩 세 번 기울여 다 붓는다(뇌주).(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고)
그 빈 잔을 동집사를 통해 원 위치(비위 앞)로 돌려보내고 제주만 재배한다.
(강신: 신위께서 강림하시기를(오시기를) 청하는 절차로써 향을 피우는 것은
위(하늘)에 계시는 신위를 모시고자 함이고 모사에 술을 붓는 것은
아래(땅, 지하)에 계시는 신위를 모시고자 함이다.
분향하는것은 천신께, 뇌주하는 것은 지신께 고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서집사, 동집사: 친척 조카 자식 등이 하며 제사상의 양쪽에 서서
제사의 진행을 돕는 사람)
(고위는 남자 조상, 비위는 여자 조상을 말한다)
(제주는 제사의 주인, 제사 주제하는 사람(장자)을 말한다)
3. 참신: 제주 및 참사자 일동 재배한다. 여자는 4배한다.(근래에는 여자도
재배만 하기도 한다) (참신: 참사자 일동 신위께 문안 인사하는 절차이다)
4. 헌작(술잔 올리기): 제주가 차례상 앞에 꿇어 앉으면
서(좌)집사가 고위 잔을 주고, 동(우)집사가 술을 가득 부어주면.
양손으로 받들어 서집사에게 주면. 서집사는 그것을 받아서 고위 앞에 올린다.
같은 방법으로 비위 잔도 올린다.(동집사가 잔을 주고 술을 따르고 술잔을 올린다)
제주는 재배한다.(차례에는 무축단헌임을 감안하여 전원이 재배하기도한다)
5.삽시정저:
삽시: 집사들이(혹은 제주나 주부가) 숟가락의 안쪽이 동쪽(사람이 봐서 오른쪽)을
향하게 하여 떡국(밥) 가운데에 꽂는다.
(숟가락 손잡이는 서쪽(왼쪽)으로 약간 기울게한다)
정저: 집사들이(혹은 제주나 주부가) 젓가락을 세워 상 바닥에 똑똑똑
세 번 가지런히 한 후 젓가락 끝(가는 쪽)이 동쪽(=오른쪽)을 향하도록 하여
음식 위에 가지런히 올려놓는다.
(시접에 가지런히 놓는 가문, 손잡이 쪽이 상 바닥에 닿게 시접에 걸쳐놓는
가문(지방)도 있다)
(삽시정저를 헌작때, 제주가 재배하기 전에 하는 가문,지방도 있다)
6.합문: 신위께서 음식을 드시도록 방문을 닫고 나오는 것을 말하며,
차례에는 이 절차는 없으나 잠시 조용히 기다린다.
7.헌다: 갱(국)을 내리고 그 자리에 숭늉을 올린다.
떡국(밥)을 조금씩 세 번 떠서 숭늉에 말아 놓고
숟가락도 그대로 숭늉그릇에 담가 놓는다.
잠시 조용히 기다린다.(차례에는 헌다 절차가 없는 가문,지방도 많다)
(숟가락 손잡이는 서쪽(왼쪽)을 향하게 한다)
손잡이 끝이 메 그릇에 닿게 걸쳐 놓는 가문(지방)도 있다)
8.철시복(합)반: 수저 젓가락을 거두어 시저 접시에 놓는다.
떡국(밥) 그릇을 덮는다. (하시 합 반개(下匙 闔飯蓋)라고도 한다)
9.사신: 신위를 전송하는 의식으로, 참사자 일동 재배한다.
(여자는 4배이나 근래에는 재배하기도한다.)
(제사에서 일동재배는 대개 2회(참신, 사신) 뿐이나,
가문 지방에 따라서는 제주, 헌관 등이 절(헌작)할 때마다 일동재배하기도 한다)
10.분축(신위봉환): 축문과 지방을 불사른다(신주를 사당으로 모신다).
11.음복: 음식 한 가지를 내려놓은 후.(제사상을 들어 약간 이동시키기도 한다)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제관들(제주)이 술 한 잔과 고기 한 점(안주 혹은 다른 음식)을
내려먹는 일.
12.철상: 제수를 물린다.(뒤에서부터..)
13.음복,식사,준: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온 가족이 모여 시식을 하며 친척 및 이웃 어른께 대접하기도 한다)
(제사상 차림도)
1).주자가례(구준):
. . . . . . . . 지방(사진)
밥 . . 잔 . . 수저.젓가락 . . 초 . . 국
국수 . 고기 . . . 적 . . . . 어물 . . 떡
포혜 . 소채 . 포혜 . 소채. 포혜 . 소채
과일 . . 과일 . . 과일 . . 과일 . . 과일
2).사례편람(도암):
위의 주자가례 제찬도와 같으나 과일이 6접시이고
나물줄이: 포 . 혜 . 간장 . 생채 . 혜 . 김치 로 다르다.
3).격몽요결(율곡):
. . . . . . . . . 지방(사진)
밥 . 잔 . 국 . 수저.젓가락 . 밥 . 잔 . 국
국수 . 떡 . 육물 . 적 . 어물 . 국수 . 떡
. . . 탕 . . 탕 . . 탕 . . 탕 . . 탕
자반 . .포 . .나물 . .간장 . .식혜 . .김치
밤 . . . 대추 . . . 곶감 . . . 배 . . . 은행
4).가정의례준칙:
. . . . . . . . . . . 사진(지방)
. . 밥 . . . . . 국 . . . . . . . . 밥 . . . . . 국
. . . . . . 잔 . . . . . . . . . . . . . . . 잔
촛대 . . 채소 . . . . . 간장 . . . . . 김치 . . 촛대
. . . . . .어류 . . . . . . 탕 . . . . . . 육류
. . . . . .과일 . . . . . 과일 . . . . . .과일
(일반적인 상차림방법): 가문 지방마다 조금씩 다름
조율시이(대추.밤.감.배 순서), 조율이시, 율조시이(栗棗枾梨)(=이율곡의 격몽요결)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오른쪽) 흰색은 오른쪽에진설
서포동혜(左脯右醯)=좌포우혜
동두서미(東頭西尾):성균관 석전대제
혹은 동미서두(東尾西頭)로 놓는 가문(지방)도 있다.
어동육서(魚東肉西)생선은 조기外 민어 도미등을 한마리씩 담아 한 두접시 더올리기도 한다.
(주로영남지방)
등南배北(혹은 그 반대)
포는 한두 가지만(북어,오징어,문어,육포중에서)
적전중앙(炙奠中央): 고기적은 제사상의 중앙에
혹은 전(煎)은 안쪽, 적(炙)은 바깥쪽에 놓는 가문(지방)도 있다
계적: 원래는 닭의 머리가 있는 것
시저(匙箸)는 두 신위의 사이(중앙)에 놓는다
혹은 서쪽(왼쪽)에 놓는 가문(지방)도 있다
생동숙서(生東熟西)
건서습동(乾左濕右)
근동엽서(根東葉西)
서면동병(左麪右餠): 면(麪:국수)은 왼쪽, 편(떡)은 오른쪽
반서갱동(飯西羹東): 메(밥)는 왼쪽, 갱(국)은 오른쪽 (반동갱서하는 가문(지방)도 있다)
숙채(熟菜):나물(익혀서 만드는 나물)
침채(沈菜):김치(물김치, 나박김치)
삼색나물(서울경기 등): (푸른색: 시금치, 쑥갓. 갈색: 고사리, 고비나물. 흰색: 도라지, 무나물,
숙주나물)
고서비동(考西妣東):(지방, 메 잔 갱): 고위(男)는 왼쪽, 비위(女)는 오른쪽
신위: 사진으로 지방대체: 서울 경기 등(그 외 지방(가문) 등: 지방 혹은 2가지 함께)
자손위치: ..⑤④③②①←남자(중앙)여자→①②③④⑤....
(남녀 위치를 위와는 반대로 하는 지방(가문)도 많다)
혹은 자손위치:①②③④⑤⑥⑦⑧⑨⑩....
※금물: 복숭아, 뱀장어, 잉어, 씨 없는 과일, 고춧가루, 마늘양념(기름, 깨 양념은 무방)
~치 생선 및 등 푸른 생선(고등어, 방어, 정어리)
※차례(茶禮):
기제사(忌祭祀)보다 간략하다.
무축단잔(배)(無祝單盞(拜)):
축문을 읽지 않는다.
(예법서 에 따라서는 명절 제사의 축문 서식이 수록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대에는 사문화되어 사용하지 않는다)
헌작(잔 올리기)은 1회만 한다.(기제사처럼 헌작을 다하는 가문(지방)도 있다)
(차례에는 헌작 시 주전자로 상위의 잔에 직접 따르는 가문(지방)도 있다)
첨작, 합문, 계문절차가 없다.
작은집 식구들끼리 작은집 차례를 아침일찍 지내고나서 큰집으로 가서
다 모여 큰집차례를 지내는 가문(지방)도있고 큰집부터 지내기도 한다.
설에는 차례를 먼저 지내는 가문(지방)도 있고 세배(歲拜: 살아있는 사람들끼리
인사를 올린다)를 먼저하는 가문(지방)도 있다.
가문(지방)에 따라 새벽~이른 아침에 지내기도하고
혹은 좀 늦게 오전 중에 지내기도한다.
기제사 대상 전 조상을 모신다.(기제사는 해당 조상 내외만 모신다)
촛불을 켜지 않는다(촛대와 초를 진설은 하지만 아침~오전이므로)
헌다(=진다, 숭늉 올리는 절차)절차가 없는 가문(지방)도 있다.
기제에는 식혜, 차례에는 해(생선젓, 조기)를 올리는 가문(지방)도 있다.
초헌 잔 올린 후 (제주만 재배 하나, 차례는 무축단잔임을 감안하여,
다 같이 제사를 모신다는 의미에서)일동재배 하기도 한다.
적(炙)은 고기(육적)와 생선(어적) 닭(계적)을 따로 담지 않고
한 접시에 담아 올리는 가문(지방)도 있다.
설: 메 대신 떡국을 올린다.(요즈음에는 메도 같이 올리기도 한다)
추석: 송편, 햇곡식, 햇과일, 토란국(요즈음에는 메와 송편을 다 올린다)
주부님들이 제일 싫어하시는 무시무시한 추석이 다가오고있네요~
차례상에 올라갈 음식들은 벌써부터 가격이 치솟고 있습니다.
내년 오는 추석이지만 내년 차례상차리는 것 처럼 서투르고 익숙하지 않는 주부를 위해
추석상차리는법·차례상차리는법을 준비해보았어요
시접, 잔반, 밥(메)과 국(갱)을 신위 수대로 올린다.
명절 차례에는 떡국이나 송편을 올린다.
V추석상차리는법·차례상차리는법 2열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頭東尾西)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V추석상차리는법·차례상차리는법 3열
생선탕, 두부탕, 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음
V추석상차리는법·차례상차리는법 4열
좌포우혜(左脯右醯) :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V추석상차리는법·차례상차리는법 5열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놓음
또는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추석상차리는법/차례상 차리는 법 - 주의사항
*복숭아는 올리지 않습니다.
*꽁치,갈치,삼치등 이름이 치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
*잉어,븡어 등 두꺼운 비늘이 있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
*고춧가루 등 붉은 양념은 쓰지 않습니다.
*마늘향이 강한 양념은 쓰지 않습니다.
*짜거나 맵게 양념하지 않습니다.
*간장 대신 소금으로 간을 맞춥니다.
|
여러분은 추석때 본인이 차례상을 차리시나요?
혹은 엄마나 부인이 차례상을 차리시는데 도움을 주시나요?
그렇다면,
차례상차리는법을 알아두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첫댓글 자료 감사합니다.
자료,,,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