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사건]
1996년 6월 25일
사우디아라비아 다란 부근 미군공군기지 폭탄테러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항구도시 다란 부근 미 공군기지 앞 도로에서 1996년 6월 25일 밤10시30분쯤 차량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이 폭발사건으로 도로와 접한 기지 내 8층 건물이 부서지면서 19명이 숨지고 중상자 73명 등 2백70여명이 부상했다. 사망자 19명은 전원 미군인 것으로 알려졌다.
클린턴 미 대통령은 폭발사건 직후 이번 사고를 테러공격으로 규정하고 “이 사건을 직접 조사할 것이며 끝까지 범인을 추적 반드시 응징할 것”이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파괴된 건물은 사우디아라비아 국방부 소유로 미군 가족 아파트와 미 공군 4404비행단 사령부로 사용돼 왔다. 폭발 현장은 깊이 11m 폭 28m의 구덩이가 파여졌으며 사건 현장에서 5km 떨어진 주택가 유리창들도 모두 박살나 폭발물의 위력을 실감케 했다.
이날 폭탄 테러는 1983년 2백41명의 사망자를 낸 레바논 미 해병대 건물 폭탄테러사건 이래 최악의 것이라고 미 국방부 측이 밝혔다.
[오늘의 인물]
2004년 6월 25일
국내 최장신 농구선수 하승진, 한국인으로서 첫 미국 NBA 진출
국내 최장신 농구선수 하승진(연세대·2m23·사진)이 한국선수로서는 처음으로 NBA(미 프로농구)에 진출했다.
하승진은 25일(한국시각) 미국 뉴욕 매디슨스퀘어가든에서 실시된 04~05시즌 신인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17번, 전체 46순위로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에 의해 지명됐다. 하승진은 2년 계약기간 최저연봉 34만9458달러(약 4억247만원)를 보장받는다.
한국 선수로선 처음으로 NBA에 이름을 올린 하승진은 자신이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에 지명됐다는 소식을 드래프트가 실시된 뉴욕이 아닌 LA에서 들었다. NBA측이 1라운드 상위 지명이 예상되는 선수들만 초청했기 때문이었다. 당초 예상과는 달리 일급 대우가 보장된 1라운드 지명에서 제외되고, 2라운드 17번째 만에 이름이 불려졌으나 그의 목소리에선 실망감을 찾아볼 수 없었다.
“미국에 와보니 뛰어난 선수들이 너무 많았어요. 몇 라운드, 몇 순위에 지명되는가보다는 일단 NBA에 진출한다는 것 자체가 중요했습니다. 오히려 2라운드에 지명되고 보니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의욕이 앞서요.”
2m23의 큰 키로 국내 고교(삼일상고)·대학(연세대) 무대를 간단히 평정했던 하승진은 스스로 ‘우물 안의 개구리’였음을 절실히 느꼈다고 했다.
그 해, 오늘 무슨 일이... 총 40건
ㆍ2009년 · ‘미녀 삼총사’ 파라 포셋 사망
ㆍ2009년 · 마이클 잭슨 심장마비 사망
ㆍ2005년 · 이란 대선에서 강경보수파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당선
ㆍ2004년 · 국내 최장신 농구선수 하승진, 한국인으로서 첫 미국 NBA 진출
ㆍ2002년 · 한국, 월드컵 준결승전서 독일에 0대1 패
ㆍ2000년 · 6.25전쟁 5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기획전 `아! 6.25`전 전쟁기념관서 개막
ㆍ1998년 ·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98` 영문판 판매
ㆍ1996년 · 불교계 대표적 스님 서경보 스님 입적
ㆍ1995년 · 미국 대법원장 워렌 버거 별세
ㆍ1995년 · 대북 지원용 우리쌀을 실은 ‘씨 아펙스호’ 동해항 출발
ㆍ1991년 · 유고연방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포
ㆍ1987년 · 세균무기(생물무기) 및 독소무기의 개발, 생산 및 비축의 금지와 그 폐기에 관한 협약(BWC) 국내에서 발효
ㆍ1986년 · 브라질, 22년 만에 쿠바와 외교관계 재개
ㆍ1984년 ·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 사망
ㆍ1982년 · 김상협 국무총리 서리 취임
ㆍ1981년 · 전두환 대통령 아세안5국 방문 등정
ㆍ1980년 · 엘살바도르, 국외탈출 꾀한 시민에 군의 무차별발포로 600여명 사망
ㆍ1979년 · 중국, 월남과 평화협상 재개
ㆍ1977년 · 국내 최초의 해양자원탐사선 `탐해호` 명명식
ㆍ1975년 · 모잠비크, 포르투갈로부터 독립
ㆍ1973년 · 한미경제협의회 발족
ㆍ1966년 · 김기수(金基洙) 세계챔피언에 올라
ㆍ1963년 · 거제도 장승포 압사
ㆍ1962년 · 한국-시에라리온 국교 수립
ㆍ1962년 · 한국-도미니카 공화국, 국교 수립
ㆍ1952년 · 이승만 대통령 암살미수사건
ㆍ1951년 · 미 CBS방송, 최초의 상업 컬러TV 방송 개시
ㆍ1950년 · 6·25전쟁 발발
ㆍ1949년 · 북한서 남북의 민전(民戰)을 통합한 한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ㆍ1947년 ·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서울-평양에서 각 단체와 합동회의
ㆍ1944년 · 미술사학자 고유섭 사망
ㆍ1920년 · 한국 최초의 월간 종합지 `개벽` 창간
ㆍ1910년 · 미국연방의회, 백인노예금수법 가결
ㆍ1907년 · 을사조약의 불법성을 알리기 위한 헤이그 밀사 3명, 헤이그 도착
ㆍ1905년 · 낙동강철교 준공
ㆍ1904년 · 허위 등, 배일통문(排日通文)을 전국에 발송
ㆍ1891년 · 북로전신선(한성·원산간) 개통
ㆍ1876년 · 미 제7기병대, 인디언에게 전멸
ㆍ1852년 · 건축가 가우디 출생
ㆍ1676년 · 스웨덴 장군 칼 구스타프 브랑겔 사망
[출처 : 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