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띄워주기?... 이상한 여론조사 결과 보도
2030 응답자 많은 지지 받았다... 결과분석지 확인해 보니...
|
▲ 12월 18일 TV조선이 보도한 한동훈 전 장관 관련 여론조사 결과 그래프 |
ⓒ 유튜브 갈무리 |
지난 18일 <TV조선>의 '박정훈의 정치다'에서는 한동훈 전 장관과 이준석 전 대표를 비교하는 여론조사를 인용 보도했다. 기자는 두 사람의 나이와 경력 등을 비교하면서 한 전 장관이 2030응답자에게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고 말했다.
방송에 나온 여론조사 그래프를 보면 1년 전 한 전 장관은 5%에 불과했지만 올해 12월 조사에서는 18%로 껑충 뛰어올랐다. 하지만 누리꾼들은 "한동훈을 띄워주기 위해 그래프를 왜곡했다"고 지적했다.
기자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게재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분석지를 확인한 결과 누리꾼들의 이야기는 상당히 신빙성이 있었다.
연령대별 지지율 합산? 여론조사 결과를 왜곡할 수도
|
▲ TV조선이 인용보도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분석 |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자료 |
<TV조선>이 방송에 사용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결과를 보면 장래 대통령감을 묻는 질문에 18~29세는 6%, 30대는 12%가 한동훈 전 장관을 선택했다. 방송에 나온그래프 속 18%는 이 수치를 모두 합산한 결과이다.
흔히 일반적인 여론조사에서는 연령대의 지지율을 모두 합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0대에서 60%가 나오고 30대에서 70%가 나온다고 가정할 경우 합산하면 130%라는 수치가 나온다. 이처럼 황당한 결과가 나올 수 있어 언론은 여론조사 기관이 발표한 연령대별 지지율을 각각 보도한다.
여론조사 결과를 마음대로 합산하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는 가중처리를 하기 때문이다. 여론조사는 성별, 연령대별, 거주지 등의 구성비율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고 모집단에 맞게 구성비를 조정하기도 한다. 공직선거법에서는 여론조사의 대표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가중처리를 하고 그 수치도 공개하도록 규정돼 있다. 만약 이를 어길 경우 선거법 위반이 될 수 있고, 여론조사 결과도 공표할 수 없다.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할 때는 반드시 항목(성별, 연령대, 지역)마다 '가중값 적용 기준 사례수(명)'를 표기한다. 일각에서는 이런 방식을 무시하고 연령대별 지지율을 합산하는 자의적인 해석은 여론을 왜곡시킬 위험성이 커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동훈 띄워주기? 많은 언론이 보도한 여론조사 결과
|
▲ 한국여론평판연구소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 보도한 언론사와 기사들 |
ⓒ 네이버뉴스 검색 결과 갈무리 |
22일 많은 언론들이 한동훈 전 장관이 이재명 대표를 앞질렀다며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 보도했다. 한 전 장관이 이 대표보다 높게 나온 여론조사는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라는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하고 발표한 결과이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수많은 여론조사 기관에서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하지만 언론이 모든 여론조사 기관의 발표를 인용 보도하지는 않는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한국갤럽'이나 '리얼미터', '한국리서치' 등 규모가 있고 유명한 곳의 조사 결과만 주로 발표한다. 여론조사 기관의 성향에 따라 결과도 왜곡될 수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 위해서다.
예를 들어 방송인 김어준씨가 주도한 '여론조사 꽃'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매주 여론조사 결과를 게재하지만 인용 보도하는 언론은 찾아보기 어렵다. 민주당에 우호적이며 편향적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
▲ 2023년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게재된 '한국여론평판연구소' 여론조사와 의뢰자들 |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갈무리 |
올해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게재된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의 여론조사를 보면 총 14개 중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인 '고성국TV' 의뢰가 12개로 가장 많았고, 1개는 자체 조사, 나머지 1개는 <뉴데일리>였다.
현경보 대표는 전직 SBS 기자 출신으로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의 제주일고 선배이다. 현 대표는 지난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소속으로 제주시 출마 의사를 밝힌 적도 있었다.
그동안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의 조사 결과를 인용 보도했던 언론사가 소수였다는 점과 비교하면 이번 한동훈 전 장관 지지율 보도는 매우 이례적이다. 언론이 한동훈 전 장관에 우호적인 여론조사 결과만 선택적으로 보도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