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르완다 내전(Rwanda genocide)
1959년에서 1996년까지 아프리카 르완다와 부룬디에서 벌어진 다수파 피지배계인 후투족과 소수파 지배층 투치족의 민족 간 갈등. 르완다 사태라고도 불린다.
수십 년간의 끔찍한 학살과 질병, 기아 등으로 수백만 명이 사망했고 1994년 여름부터 불과 몇 개월 동안 국제사회의 방관 속에 100일만에 80만명이나 죽어나가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정치적 목적으로 특정 민족에 대한 말살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특별히 르완다 집단학살(Rwanda genocide)이라고도 부른다.
2. 분쟁의 시작
원래 르완다와 부룬디는 후투족이나 투치족이 아니라 여러 부족이 부족 국가를 이루며 살던 원시사회였다. 하지만 이곳을 지배하게 된 유럽 국가들이 식민지 정책으로서 두 민족을 구별하고 이를 부추김으로서 민족 간 갈등이 생겨났다. 정확하게는 당시에도 투치나 후투, 트와간의 구분이 없었던 건 아니지만 이미 양반-평민-천민의 구분처럼 신분적인 구분에 가까웠으며, 언어와 문화, 풍습도 공유했기 때문에 쌩판 다른 부족들끼리 묶이던 타 아프리카 국가와 다르게 르완다와 부룬디는 잘만 했으면 하나의 민족으로써의 정체성을 가질 수도 있는 수준이었다. 그런데 벨기에가 원활한 식민통치를 위해서 모호한 기준을 가지고 일부러 분열을 부추기면서 재앙의 씨앗이 싹트기 시작했다.
민족 구분의 기준은 키와 콧대 길이 혹은 재산. 제국주의자들의 민족 구분이 얼마나 쓸데없는지 알려주는 좋은 사례로 뽑힌다. 사실 이러한 방식으로 르완다의 민족을 구분했었던 영국인 탐험가 스피크가 시초였었는데, 대다수가 상위층에 속했던 투치족을 키도 크고 정치적으로 민첩하다고 적어났고, 그가 탐험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르완다와 부룬디의 생활상이 유럽에 전해졌는데, 그 이후에 점차 투치는 우월한 종족, 후투나 트와는 열등한 종족이란 식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후의 식민통치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다가 19세기 중후반에 거치면서 르완다와 부룬디 지역 내의 갈등을 틈타서 독일 제국이 식민통치를 하게 되었는데 독일제국은 르완다와 부룬디가 풍유로운 땅이라서 삥뜯을 게 있다고 파악되고는 있지만 내륙 깊숙히 박혀있었기 때문에 착취는커녕, 독일 본토에서 이민자를 내보내기에 수월치 않아서 인종적인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긴 해도 투치와 후투족이 분리된 민족이라는 인식을 퍼트리고, 현지 족장이나 왕에게 지원을 내보내서 상징적인 건축물을 세우게하고, 그 대가로 자원을 얻어먹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1918년 이후 패전국 독일 대신 벨기에 사람들이 르완다를 위임 통치하게 되었는데 벨기에는 햄족 이론을 내세워 직접적이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투치족 출신 왕들을 내세워 후투 족장을 강제로 폐위시키고 후투 왕국을 해체시켰으며, 소수 상류층인 투치족과 다수의 후투족에 대한 차별 정책으로 후투와 투치족을 분열시켜 르완다와 부룬디 지역을 효과적으로 지배했다. 이에 따라 강제 노동 정책들과 무거운 세금은 투치족의 이름으로 실시되었다. 당시의 많은 젊은 농부들은 높은 세금과 배고픔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우간다로 이주하기도 하였다. 독립 이후, 그동안 쌓여 온 증오는 외양으로 구분된 민족 사이의 선을 고착화시켰고 투치족이 한 번 선점했던 기득권을 두고 두 민족은 계속 갈등과 원한을 쌓아올리게 된다.
3. 증오의 순환
1959년 드디어 투치족과 후투족 사이의 전쟁이 일어나자 국왕 키겔리 5세는 망명을 하고 1961년 1월 르완다는 공화국을 선포했다.
독립 후에 많은 투치족이 외국으로 쫓겨났고 1963년 이웃나라 부룬디의 투치족이 르완다를 기습 공격하여 이에 대한 후투족들의 복수로 르완다의 투치족이 피해를 입기도 했다. 그러다가 1966년에 부룬디에서도 왕정이 뒤엎어졌으나 부룬디에서 대체로 투치족들이 득세하는 양상이었다. 르완다에서 1973년 후투족의 쥐베날 하뱌리마나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고 투치족 지도자들을 살해했다. 살아남은 투치족들이 이웃 나라 우간다로 도망쳐 1987년 르완다애국전선(Rwandan Patriotic Front)을 결성했다.
1990년, 대다수가 투치족 난민들로 구성된 르완다애국전선(RPF)이 우간다의 지원을 받으며 북부 르완다로 침입했다. 프랑스와 프랑코포니 아프리카의 지원을 받는 후투족 정권과 우간다의 지원을 받는 르완다애국전선(RPF) 간에 벌어진 르완다 내전으로 인해 르완다 국내의 인종간 긴장이 높아지고 후투파워(Hutu Power)의 등장을 가져왔다. 이데올로기로서의 후투파워는 투치족이 후투족을 노예로 만들려고 하고 있으니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실 1980년대 후반들어서 커피값 폭락으로 르완다의 경제가 파탄나자 후투 기득권층은 빈민층으로 전락한 후투족들의 불만을 투치족들에게 돌리려는 목적으로 이런 프로파간다를 널리 보급했다고... 이 당시 후투족 촌락에는 투치족을 죽여야 한다는 프로파간다가 하루종일 방송되었다고 한다.
계속되는 민족 갈등과 반군에 의해 상당수의 후투족이 북부에서 밀려나고 투치족이 남부에서 조직적으로 학살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쥐베날 하뱌리마나 정부에 대한 압력의 결과 1993년 정전 협정이 체결되고 아루샤 조약(Arusha Accords, 조약이 체결된 탄자니아의 아루샤 시의 이름을 땀)이 소급 실시되었다. 하지만 이는 후투족 기득권층의 반발을 더욱 불러일으켰는데 이 조약을 준수하자면 후투족이 독차지하고 있던 르완다 정부와 군의 고위직을 후투족과 투치족이 나눠가져야 하는데다가 후투족 몫에서 또 여당인 MRND가 야당들과 나눠가져야 했기 때문이다.
한편 남부의 부룬디에서는 반대로 투치족 독재정권 시대가 마무리되면서 민주선거가 치러졌고 그 결과 후투족 출신의 멜키오 은다다예 정권이 들어서게 되는데 멜키오 은다다예는 복수심에 사로잡힌 막장은 아니라서 신중하게 정책을 펴면서, 투치족을 고위직에 임명하는 행보를 보였지만 이로 인해 의회와 관계가 악화되었고, 한편으로는 투치족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군대 재편과 토지개혁 정책을 폈고, 후투족 난민을 귀환시키는 정책을 폇다. 하지만 이로 인해서 기득권을 잃을까바 두려워한 투치족들과의 긴장관계는 더더욱 고조되면서, 투치족 장교들이 멜키오 은다다예를 살해하는 쿠데타 미수사건이 터지게 되었다. 그래도 쿠데타가 진압되고 1994년에 시프리앵 은타랴미라가 대통령이 되면서 총리를 투치족으로 임명하는 화합정책을 계속 유지하지만 후투와 투치족간의 갈등은 위험수위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르완다에서는 아루샤 조약은 범과도정부를 요구했으나 과도 정부는 성립되지 않았고 르완다 후투족 내에서의 강경파와 온건파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던 와중에 1994년 4월 6일 후투족 출신 르완다 대통령 쥐베날 하뱌리마나와 부룬디 대통령 시프리앵 은타랴미라가 비행기 요격 사고로 수도 키갈리 근처에서 사망했다. 이 암살 사건으로 인해 르완다와 부룬디의 위기는 걷잡을 수 없는 수준으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이 사건의 진범은 오랫동안 오리무중 상태였다가 2012년 프랑스 조사단의 조사결과 후투족 극단주의자들의 소행인 것으로 밝혀졌다.
4. 르완다 학살
친절했던 이웃집 아저씨와 학교 선생님, 목사님이 하루아침에 저를 죽이려고 달려들었어요. 저는 죽어라고 계속 달렸어요. 그들이 계속 뒤에서 제 이름을 불렀어요.
너를 꼭 죽이고 말겠다고요.
- 르완다 대학살 생존자 인터뷰 中
"처음에는 죽음을 순순히 받아들였습니다. 언제고 누구에게나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으니까요. 다만 그런 상황에서는 누구나 죽더라도 잔인하게 죽지 않기를 바랄 뿐이지요. 칼에 맞아 죽느니 차라리 총에 맞아 죽기를 바라지요. 돈을 주고 죽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면 아마도 사람들은 대게 총으로 죽여달라고 말할 겁니다. 사는 것보다 죽는 게 오히려 예삿일이다 보니 절로 체념이 되더군요. 싸울 의지조차 생기지 않았습니다. 키갈리 이웃 도시인 카시루에서만 4,000명의 투치족이 살해되었습니다. 군인들이 사람들을 이곳으로 데려와 한데 모여 앉으라고 말하더군요. 수류탄을 터뜨려 한꺼번에 살해할 생각이었던 게지요. 사람들은 모여 앉았습니다."
- 당시 대학살의 생존자 중 한 명이었던 로랑 은콩골리가 필립 고레비치와의 인터뷰에서 했던 말
르완다 학살은 1994년에 불과 100일만에 약 80만 명의 사람들이 인종 학살을 당한 사건으로 그 규모나 잔혹성에서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 홀로코스트 이후 최악의 인종 학살로 꼽힌다. 1994년 4월 6일 하뱌리마나 대통령의 암살 사건부터 시작하여 7월 중순까지 Human Rights Watch의 추산에 의하면 최소 80만 명이 학살당했다고 한다. 사망자 수는 50만 명에서 1백만 명까지도 잡는다. 일반적으로 인용하는 수치는 80만 명, 혹은 르완다 전체 인구의 20%.
대통령 암살로 촉발된 이 인종 청소는 후투족 정치 단체의 지원을 받는 후투족 민병대인 인테라하므웨 (Interahamwe 함께 일하는 자들이라는 뜻의 르완다어), 임푸자무감비 (Impuzamugambi 같은 목적을 가진 이들이라는 의미의 르완다어)가 실행하였고 아카주(Akazu)라고 하는 후투 권력 집단이 지도했다. 신청서를 작성하면 AK-47 같은 총기가 지급되었으며 수류탄은 서류를 작성할 필요도 없이 그냥 뿌렸다. 이 대량 학살은 필연적으로 평화 협정의 끝을 의미했으며 투치족 르완다 애국 전선은 공격을 재개하여 최종적으로는 국가를 점령했다.
수도 키갈리에서는 자동 화기로 무장한 군과 민병대가 학살에 동원되었다. 그러나 학살이 지방으로 확산되면서 가담자가 많아짐에 따라 원시적인 살인 무기들이 동원되기 시작했다. 칼과 창, 벌채용 칼(마체테Machete), 망치 등 일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모든 도구들이 사람을 죽이는 데 사용되었으며, 학살에 가담한 사람들 중에는 한쪽 손에는 무기를, 다른 한쪽 손에는 밀 콜린 방송을 듣기 위해 라디오를 들고 있는 경우도 많았다.
르완다 학살은 불과 100일 동안 80만명(최대 100만명까지도 잡는다)의 투치족이 학살당하는 사태로 발전했다. 학살당한 사람들 중 약 10%는 강경파 후투족들의 주장에 동조하지 않은 온건파 후투족들이었다. 민족간 분쟁이라 서양인이나 동양인들은 비교적 통행이 자유로웠기 때문에 지금도 동영상을 검색해보면 도로에 경계석 같이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시체들의 줄이라든지 르완다 호텔로 짐작되는 높은 곳에서 촬영한 집단 린치 및 학살 장면도 볼 수 있다. 학살 중에는 서양이나 UN의 외부 조력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정부 수반들도 대통령 경호대에 의해 암살되었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총리 포스탱 트와기라뭉구(Faustin Twagiramungu)는 르완다에 주둔 중이던 유엔 평화유지군의 보호를 받아서 처형을 피할 수 있었다. 이 학살에는 항공기나 전차 같은 대형 장비나 강력한 최신 무기 등은 쓰이지 않았고 전부 아프리카산 칼(마체테)이나 농기구와 엽총, AK-47 같은 총기류 정도나 사용되었다.
당시 학살이 벌어진 100일 동안 정말 천인공노할 만행들이 계속해서 보고되었다. 후투족이 밀림에서 쓰는 넓적한 벌목용 칼 마체테를 휘두르며 투치족의 아킬레스건과 수족을 잘라 피를 흘리며 서서히 죽어가는 모습을 바로 옆에서 지켜보게 했으며, 투치족의 가정을 방문해 그 아버지에게 어린 자식들을 변소에 던져 넣으라고 명령한 뒤 아이들의 시신 위에 부모를 죽여 덮어버리는 만행을 저질렀다.
병원에서 후투족 의사가 투치족 환자들을 죽이고, 회사에서 마을에서 살생부를 작성해서 골라서 죽였으며 성당으로 피해 들어간 이들을 사제들이 교묘하게 속여 살인자들에게 넘기거나 아예 자신이 직접 나서서 그들을 죽이기도 했으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강간이 벌어지고 임산부의 배를 갈라 태아가 나오게 하는 처참한 살육이 벌어졌다. 게다가 총알을 아낀다는 이유로 희생자들에 몸에 돌을 넣어 강에 던지기도 했는데 시체가 얼마나 많았는지 살해당한 사람들의 시체가 케냐의 빅토리아 호수까지 떠내려오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당시의 르완다 학살의 참상을 말해주는 일화 중 하나로 후투족 민병대에게 칼로 난도질당하던 투치족 소년이 울부짖으며 "다시는 투치안할게요! 살려주세요!"라고 애걸했다고 한다. 너무 어려서 투치가 뭐고 후투가 뭔지도 모르는 아이들까지 모조리 도륙된 것이다.
이때 르완다에는 UN 평화유지군이 주둔하고 있었지만 안전보장 이사회 소속 국가들의 반대로 인해 제대로 된 활동을 할 수 없었다. 국제연합의 캡스톤 원칙(Capstone Doctrine)에 따라 평화유지군은 폭력 사태를 저지하는 데는 재량권이 있지만 강제력을 행사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건 안전보장 이사회의 결정이기 때문이다. 오직 벨기에만이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세계의 반응은 "르완다와 주변국을 이렇게까지 개판으로 만든 장본인이 무슨 생각하셨길래 평화유지군을 보내자는 개소리를 하시는 겁니까?"뿐이었고, 벨기에는 세계의 냉담한 반응 속에 혼자 독단적으로 병력을 보내야 했다. 뭐, 프랑스도 르완대에 파병하긴 했는데 예네들은 학살을 말리는게 아니라 되려 조장을 하는 수준. 결국 아가테 우윌링기아마나(Agathe Uwilingiyimana) 총리를 보호하던 평화유지군 소속 벨기에 병사 10명이 수상 부부와 함께 살해당하는 사건이 터졌다. 배후자인 투야하가 대령은 후에 체포되어 벨기에에서 20년 형을 선고받았다. 이런 일 때문에 국내 여론이 나빠진 벨기에는 병력을 철수시켰다. 거기에 더해서 평화유지군의 병력은 270명으로 감축되었다. 이렇게 되자 평화유지군 총지휘관인 로메오 달레르(Roméo Dallaire) 중장은 그나마 남아 있던 네덜란드, 가나, 캐나다인 평화유지군을 모아서 '안전지대' 를 형성하는 데 주력했다. 이 당시의 경험을 회고한 저서 《악마와의 악수(Shake Hands with the Devil)》가 있다. 그리고 달레르 중장은 이때의 경험으로 인해 PTSD를 앓고 있다.
이렇게 최악의 상황에서도 평화유지군은 사람들의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평화유지군 일원으로 파병된 세네갈 육군 대위 Mbaye Diagne는 단순히 검문소를 통과하면서 사람들을 실어나르는 것으로 약 1천 명의 목숨을 구했으며 다른 이들은 투치족 피난민들이 숨어있는 교회 앞에서 경비를 서서 그들을 구했다. 평화유지군이 앞에 서있으면 후투족 민병대가 그냥 침입 자체를 포기했기 때문이었다. 후투족의 목적은 정복전쟁이나 무차별 테러가 아니라 투치족 말살을 통한 르완다 전체의 후투족화였기 때문에 투치족이 아닌 다른 민족이나 세력은 공격하지 않았고, 나중에 이걸 강조하면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아루샤 조약에 따라 키갈리에 주둔하고 있던 르완다 애국 전선(투치족)의 부대는 비행기 사고가 일어나자마자 곧 공격을 받기 시작했다. 이들은 가까스로 포위망을 뚫고 북부의 본대와 합류했다.
1994년 7월 4일, RPF는 반격을 개시하여 수도 키갈리를 함락시키고 외부로 통하는 유일한 통로를 차단했다. 이에 수도 키갈리에 갇힌 6만 명의 후투족 민간인들이 투치족인 반군의 보복이 두려워 탈출하기 시작했고 RPF가 르완다 제2의 도시인 부타레와 후투족 최후 거점인 기세니까지 진격하자 후투족들이 피난을 떠났다.
그동안 르완다 및 세계의 구호 기구들은 미 정부 및 UN의 개입을 요청했다. 학살이 일어나기 전에 Mouvement Démocratique Républicain de Parmehutu라는 단체에서 고위 층에 속하는 후투족 남성이 UN과 미국에 학살에 관련된 문서를 팩스로 송부했다. 이 문서에는 학살에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이 들어었지만 이 정보는 무시되었다. 미국은 모가디슈 전투 이후 여론의 반발 때문에 움직이기 어려웠고, UN도 서양 국가들의 눈치를 보느라 도움을 주지 못했다.
5. 르완다 학살 이후
피난을 떠난 후투족들은 키갈리에서 서남쪽으로 30km 떨어진 임시정부의 잠정 수도 기타라마시로 가거나 서북부의 국경을 넘어 콩고 민주 공화국 등지로 피난을 갔다. 피란 중 300만 명의 후투족 난민이 발생했고 식량 부족과 콜레라 등의 전염병으로 많은 피난민이 사망했다. 또한 이 피난민들 사이에 르완다 학살 사건 때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후투족 민병대원들이 섞여서 난민촌을 병영화시켰다. 이는 내전이 종결된 후 르완다와 콩고 민주 공화국(옛 이름은 자이르)간의 국경 분쟁 원인이 되었으며 1998년에 일어난 아프리카의 세계대전이라는 별명이 붙은 2차 콩고 전쟁의 불씨 중 하나가 되었다. 물론 근본 원인은 르완다가 내부 혼란 상황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의 불안정화를 의도하여 외부 개입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한편 RPF는 7월 말에 전투 중지를 선언했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받기 위해 후투족에 대한 사적 보복을 금지. 후투족 난민은 1996년 말과 1997년 초에 다시 르완다로 돌아왔다. 이 과정에서 1,200여명의 난민을 100일간의 학살 속에서 보호한 호텔 지배인이 있었는데, 이후 호텔 르완다라는 영화로 각색되었다. 이밖에 르완다 학살을 다룬 영화로 키갈리에서의 일요일, 4월의 어느날, 슈팅독스 등이 있다.
피그미라 불리는 트와(Twa)족은 이 전쟁통에 애꿎게 30% 가량이 학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르완다 정부는 학살에 연루된 프랑스 관리들에 대한 공식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2017년 3월 20일, 바티칸을 방문한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과 만난 교황 프란치스코는 르완다 내전 당시 학살에 가담한 일부 가톨릭 성직자들의 잘못을 사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