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기와 비수기의 수요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겨울철 에어컨 예약 할인 판매와 같이 기업들이 당면한 다양한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성과를 극대화 하는데유용한 경영혁신기법. 1980년대 초 미국의 경영 컨설턴트 E.M Goldratt 박사가 개발.
2. 기업의 목표와 제약 조건의 관계
제약조건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조직의 목표가 명확해야 함.
EX) 조직의 목표가 원가 절감 인 경우
성수기의 주문량을 다 소화하지 못하더라도 공장가동률의 변동폭을 최소화
시키고 유휴자원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목표 설정
조직의 목표가 수익 창출 인 경우
기업의 상황에 맞게 어떻게 시장수요를 창출하고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개선
방안 모색
3. 겨울철 에어컨 할인 예약 판매의 제약 조건 적용사례
겨울철 에어컨 판매는 단순히 재고 처분보다는 수요예측과 창출, 분산이라는 적극적인 의미가 있음.
1) 비수기인 겨울철로 수요를 분산시킴으로써 공장가동률의 편차를 줄임.
이는 곧 고정비의 감소로 이어져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음.
2) 할인 판매를 통해 구매 동기를 자극함으로써 수요 창출
3) 예약 판매는 재고처분과 달리 정확한 수요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어
재고관리에 용이
4. 제약조건이 경쟁력 결정
기업의 경쟁력은 가장 취약한 부분. 즉, 제약조건에 따라 결정되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약조건을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함.
5. 제약조건의 도출과 개선과정
1단계) 시스템의 제약조건을 찾아낸다.
=>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고리 중 가장 약한 고리를 찾아내는 단계
2단계) 제약조건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다.
=> 제약조건의 능력이 곧 조직전체의 능력이기 때문에 제약조건을 찾아내면
관리의 촛점을 제약조건에 맞추어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는 방안 모색
3단계) 시스템의 모든 활동은 제약조건을 최대한 이용하는데 종속시킨다.
=> 비제약조건의 활동을 제약조건의 활동에 종속시킴으로써 모든 자원을
동기화시켜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
4단계) 시스템의 제약조건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 동기화를 거쳐 지원간에 효율성이 유지되면 제약조건의 공급능력을 향상
시킴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공급능력을 향상시킴.
5단계) 4단계에서 제약조건이 제거되었다면 다시 1단계로 돌아가 전과정을 반복
6. 제약조건이론의 성공정착 요인
1) 기본원리가 이해하기 쉽고 오랫동안의 현장경험에서 체득한 실무자들의 직관과
일치하기 때문에 도입이 용이하다.
2) 시스템의 제약조건을 찾아 집중적으로 개선하기 때문에 단기간 내에 가시적인
경영개선의 성과를 볼 수 있다.
3) 프로젝트 관리, 유통, 가격결정, 물류, 장기전략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결책을 제시한다.
4) ERP나 6 시그마 등 다른 경영혁신기법들에 비해 투자비용이 적어서 최소의 비용
으로 최대의 효과 창출 가능
앞서 말한 TOC 창시자 골드랫 박사가 지은 저서 더골 이란 책을 보면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답니다. 다 아시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