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러시아 해군 관함식에 참석할 예정이었던 남아프리카 해군의 프리깃 F145 SAS 아마톨라함이 수 년 동안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기계류들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연이은 작동이상으로 방문을 취소했다고 합니다.
위키를 찾아보니 F145 SAS 아마톨라는 MEKO A-200 SAN 호위함(남아공에선 코르벳으로 구분) 2006년 2월 16일 취역한 만재 3,759톤, 전장 121m의 함정이네요. 탈레스제 MRR-3D NG 멀티롤 레이더, 로이테크 RTS 6400 X밴드 레이더/광학 트래커, 오토브레다 76mm 주포, 30mm 2연장 기관포, 20mm 기관포 2문, 엑조세 블록II 8발, 데넬제 움콘토 SAM 32발 등을 장착하고 있네요. 2018년부터 개조작업이 예정돼 있었지만 현재까지 작업이 시행되지 않았고, 2024년 예정이었던 MLU도 2027년으로 연기됐다고 합니다. 수리가 완료되기 전까진 배가 사실상 작동할 수 없다고 하네요.
Machinery not working properly cited for SAN frigate not going to Russia - defenceWeb
Machinery not working properly cited for SAN frigate not going to Russia
defenceWeb -
23rd August 2024
SAS Amatola (F145) in the Simon's Town drydock.
SA Navy (SAN) Chief, Vice Admiral Monde Lobese, explaining cancellation of a planned voyage to Russia by SAS Amatola (F145) put it down to “technical challenges” manifesting in machinery that has not worked properly for a number of years.
The three-star used his regular column in the SAN publication Navy News to elaborate on Amatola remaining alongside and unseaworthy as well as keeping options open on SAS Drakensberg (A301) transiting the Atlantic en route to Cuba.
“The decision not to deploy Amatola to Russia,” he writes in the latest Navy News, “was made by the entire Naval Command Council and it was based on reports received by the fleet on the state of readiness to SAS Amatola to deploy”.
“I am very much aware of the monumental effort of the entire ship’s company as well as hundreds of members in the fleet who worked so hard to try and get the vessel ready in time to complete this very long voyage to Russia. I have asked, urged and instructed these people for many months to do all in their power to get the ship ready for the deployment. They have heeded my call.
“Unfortunately, when you are dealing with machinery that have not worked properly for a number of years, there are bound to be technical challenges that are not always visible. Thus, as SAS Amatola was preparing all her systems, there were constant technical problems that emerged. As soon as one problem was solved, another one raised its head. At the end of the day the Navy Command Council decided that there will always be another opportunity to attend this parade.”
The Amatola transit to Russia for that country’s June navy anniversary parade in St Petersburg was made public by Lobese at a medal parade in February with the cancellation put down to “current defects to the vessel” by SAN Public Relations in June.
Lobese further informed Navy News “the safest decision was to ensure that all systems on board SAS Amatola functions (sic) optimally and then attempt this voyage again next year”.
He was slightly more upbeat on the Drakensberg Cuba visit saying the sole SAN support platform was not scheduled to attend a specific event on the Caribbean island.
“There will still be time in this financial year for SAS Drakensberg to undergo this voyage to Cuba with the understanding that when the ship sails, the Navy Command Council is going to be convinced that she can complete the voyage safely.”
SAS Amatola - Wikipedia
Status[edit]
According to a presentation made to the Joint Standing Committee on Defence by Rear Admiral B.K. Mhlana, Deputy Chief of the Navy in May 2023, Amatola had been scheduled for a refit since 2018 but no work had been done to date. Her mid-life update, originally scheduled for 2024, had been postponed to 2027. The admiral described the ship as effectively non-operational until a refit could be completed.[5]
첫댓글 그리펜은 제대로 비행하고 있을라나요???
2022년 9월 13대만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했었죠. ( https://cafe.daum.net/NTDS/5q2/709 )
근데 또 사브에 돈을 못 줬는지 2023년 말 기준으로 그리펜 26대중 비행가능 기체는 2대, 호크 Mk.120 고등훈련기 24대중 비행가능 기체는 3대라고 합니다. @.@ ( https://www.timesaerospace.aero/features/defence/lifeline-for-the-saaf )
"By the end of 2023 only two out of 26 Gripens and three of 24 Hawk Mk.120 advanced trainers were airworthy."
https://cafe.daum.net/NTDS/5q3/502
대형 함정을 보유한 국가가 자연스럽게 국제적 해군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것인지 아니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대형 함정을 구입하는 경우도 있는지는 실제 과정을 확인해봐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부터 큰 규모의 함대전력을 유지해온 강대국들이나 서구 선진국들의 경우는 전자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아마도 후자의 경우임을 확인하는 한가지 방법 중 하나는 외부위협 등과 같이 대규모 해군함대를 유지해야 하는 확실한 다른 이유들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다른 확실한 이유가 없다면, 국제사회의 일원임을 고려하여 그러한 무기체계를 도입했을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대형 해군함정을 요구할 만한 두드러진 지전략적 (geostrategic) 위협에 당면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001년부터 4척의 신형 유도탄 호위함(3,590톤)과 4척의 209급 잠수함(1,400톤)을 도입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벨 부이(Bell Buoy)나 굿홉(Good Hope) 같은 다국적 해군훈련의 적극적 참가국이다.
(중략)
특히 바다에 접해 있는 국가들이 경제력과 기술력을 갖추고도 대형 해군함정을 건조하여 보유하지 않았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운 연구주제일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스웨덴은 해군 관련 기술력이 발달한 바다를 접한 국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웨덴은 연안작전에만 특화된 해군전력을 유지하고 있다.
===> 딱히 위협이 없는데 대형함(?)은 가진 사례로 언급되네요.
결국 당장 쓸모는 없는 큰 배를 지어놓으니 오버홀 기간 오기 전까지 5년 동안 여기저기 국제연습에 참가하다가 돈 드는 유지보수 기간 되니 짱박아버렸네요. ( https://en.wikipedia.org/wiki/SAS_Amatola#Notable_Deployments )